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이츠의 초기시 연구 : 이상과 현실의 갈등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 Vol.0 No.20

        시인으로서 W. B.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의 주된 관심사는 현실과 이상, 자아와 반자아, 육체와 영혼 등 서로 대립적인 요소들 사이의 갈등과 그것을 통한 양자의 조화이다. 이러한 조화의 상태는 예이츠의 시적ㆍ정신적 성숙도와 더불어 그의 의식 속에서 치열하게 대립되는 갈등을 극복함으로써 후기시에 이르러 성취된다. 예이츠의 초기시는 주로 현실세계와 이상세계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시인은 슬픔으로 가득 찬 현세적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고 요정의 나라로 대변되는 영원한 이상세계로의 도피를 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그가 이상으로 삼은 영원한 요정의 나라가 현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좌절된다. 그는 무작정 현실을 도피하기 위해 백일몽과 환상의 세계로 날아간 것이 아니라, 그 세계와의 균형을 원했다. 그 세계는 현실적 갈등과 고뇌가 없는 영원한 미와 꿈의 세계일지라도, 현실과는 너무도 유리된 세계이기 때문에 시인은 두 세계 사이에서 갈등만 느낀 채 현실로 돌아온다. 결국 예이츠는 현실을 인간 삶의 조건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므로 시인의 최종 목적인 조화에 대한 가능성이 감지된다. 본 논문에서는 『어쉰의 방랑』( The Wandering of Oisin (1889))에서부터 『십자로』( Crossways (1889)), 『장미』(The Rose (1893)), 그리고 『갈대 밭 속의 바람』( The Wind Among the Reeds (1899))에 이르기까지 예이츠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현실과 이상이라는 대립적인 요소들이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 조화를 향해 나아가는지를 다룬다. Yu, Keon-Sang. 2008. A Study of Yeats's Early Poetry : A Conflict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World. Studies in Humanities. Vol. 20. pp. The main concern of W. B. Yeats as a poet is embodying the harmony of the conflictive opposites: the real and the ideal world, the self and the anti-self, and the body and the soul. This state of harmony is accomplished in his later poems by overcoming the conflicts, which have severely opposed in his mind, with his poetic and spiritual maturity. Yeats's early poetry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the real and the ideal world. Yeats attempts to transcend the frustration and sorrow of the real world by leaving for the ideal world that is represented by an eternal fairyland beyond time and space. But because of his ideal world, which is dreamy and eternally beautiful as it may be, and is so remote from the real world, he cannot attain the harmony between the real and ideal world. He does not blindly fly to the fantasy world in order to escape reality, but he wants a balance between the two. He ultimately comes back to the real world with the conflict in his mind. As a result, Yeats recognizes the real world as the condition of human life and accepts it. Therefore, we can find a positive note with the vision of hope, the final achievement of 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o describe the two opposite aspects of the ideal and the real world and to make steady progress toward harmony, the "Unity of Being," reflected in his early poems, The Wandering of Oisin, Crossways, The Rose, and The Wind Among the Reeds.

      • KCI등재후보

        『시편들』 연구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테니슨(Alfred Lord Tennyson)은 대표적인 빅토리아 조 시인이자 전형적인 19세 기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시에 빅토리아적 경험의 중요한 부분들을 반영했을 뿐 아니라 그의 동시대인들은 그를 자신들의 문화와 사고의 지도자로서 인정했기 때문이다. 당대에 “테니슨풍”이라는 말이 “빅토리아 풍”이라는 말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음은 테니슨에 대한 대중들의 의존도와 당대에 대한 그의 공헌도가 얼마나 지대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는 사회가 요구하는 시대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에만 만족할 수는 없었다. 그는 대중의 지도자로서의 시인의 역할과 심미적 은둔자로서의 시인의 역할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였다. 그는 동시대의 누구보다도 사회적 요구에 민감한 시인이었고 또한 대중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본능적인 경향에의 동경과 도덕적 사명감 사이에서 고뇌하였다. 그의 본능적인 경향은 자신만의 예술의 성에 머물며 미의 세계를 노래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대의 아버지로서 대중들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당대의 문제들에 대한 확고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때로 그에게 너무나 버거운 일이었다. 그 결과는 대중의 지도자로서의 시인의 역할과 심미적 은둔자로서의 시인의 역할 사이의 갈등으로 나타나며, 이는 『시편들』(Poems, 1832)에서 첨예한 대립양상으로 드러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과정을 살펴봄에 있다. Alfred Lord Tennyson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Victorian poets and a representative man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re can be no other opinions in this matter. It's not only because he reflected vital parts of the Victorian experiences in his poems, but because his contemporaries recognized him as a leader of their culture and thoughts. That “Tennysonian” became through the years unavoidably synonymous with “Victorian” shows the general public's reliance on him and his contribution to his age. But he could not satisfy the only role as a spokesman to his age whom the society wanted. He continuously came into conflict between the poet as a public leader and the role as an aesthetic recluse. Tennyson was the poet who was more sensitive to the social demand than any other poet in his age. But in an effort to satisfy the public need, Tennyson was torn between two impulses: his natural bent and public's insistence. His natural bent was for intensely personal expressions. But to provide a firm guidance in the problems of his age, was a task that sometimes appalled him. The result was a conflict between the poet as a public leader and the poet as an aesthetic recluse which is manifested in Poems(1832). To examine this proces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 KCI등재

        중도장애인 대상 인문치료 사례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해 수행된 시와 미술활동 중심의 인문치료 임상사례이다. 연구대상은 F시에 소재한 G병원에 장기입원중이거나 통원치료 중인 성인 중도장애인 5명이다. 그들은 갑작스런 장애로 인해 자신감을 잃고 무기력하며 우울한 상태이다. 본 인문치료 프로그램은 2013년 3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로서 벡의 우울척도(BDI)와 동적 집?나무?사람 검사(KHTP)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중도장애인의 회기별 자기표현을 증가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중도장애인의 자신감을 회복시켜 우울감을 감소시킨다. 결론적으로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는 중도장애인의 우울감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중도장애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depression of the acquired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acquired disabilities by stroke who was received regular outpatient treatment or were long-stay patients in G hospital located in the city of F for years. They had lost their confidences from the diseases and depressed with their fears for the future. From March 2013 to May 2013, 10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an hour. As the evaluation tool, BDI and KHTP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umanities therapy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of the acquired disabilities. Secondly, the humanities therapy restored the self-confidence of the acquired disabilities, and thus reduced their depression.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the acquired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to reduce depression of the acquired disabilities.

      • KCI등재

        인문치료가 재활환자의 재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시와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한 인문치료가 재활환자의 재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모재활병원에 입원중인 척수마비 환자 A(48)이다. 그는 경추협착 수술 후유증으로 장애를 갖게 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실망감과 앞날에 대한 두려움으로 우울한 상태이다. 사전ㆍ사후 검사로서 HTP와 BDI를 실시하였으며, 2010년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총 10회기의 인문치료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은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를 실시함으로써 A의 갑작스런 장애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과 위축된 자아를 보살펴주고, 자신감을 북돋아줌으로써 재활의지를 고취시켜 주는 것이다. 매 회기마다 그 변화추이를 관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재활환자의 회기별 자기표현을 증가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재활환자의 자기표현 능력을 배양시키고, 그 결과 자신감을 회복하게 하여 재활의지를 고취시킨다. 셋째, 인문치료는 재활환자의 HTP와 BDI검사상의 변화를 가져온다. 결론적으로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는 재활환자의 재활의지 고취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인문치료는 재활환자의 재활의지를 고양시키기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Humanities Therapy centered around the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will to recover of patient with disa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48), a disabled person by spinal paralysis who was in the hospital located in B city. He had suffered from aftereffects spinal stenosis surgery and depressed with his fears for the future. As the evaluation tools, HTP developed by Buck(1948) and BDI developed by Beck(1967)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From October 2010 to December 2010, 10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one hou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of patient with disability. Second,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restored the confidence of patient with disability, and thus improved his will to recover. Third,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changed positively the results of HTP and BDI of patient with disability. In conclusion,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centered around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brought positive changes in improving the will to recover of patient with disability. Accordingly,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to improve the will to recover of patient with disability.

      • KCI등재후보

        예이츠의 사랑시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 시 쓰기를 통한 실연의 극복

        유건상 ( Yu¸ Keon Sa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2 영어권문화연구 Vol.5 No.2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W. B. Yeats's love poems for Maud Gonne from the viewpoint of poetry therapy. It's because in his love poems,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and recovery from the grief of lost love coincides with the principles of the poetry therapy. Poetry therapy gives chances of self-examination to those who suffer from mental crisis by making them read and write poetry and then let them newly recognize others and their world, and cope with the changes of the life.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ntroduces the history, goal, and principles of the poetry therapy. The main parts of the paper survey how Yeats's relationship with Gonne began and continued, and analyze his love poems selected from his early and later poetry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first, he portrays her as an ideal beauty like goddesses. He does not understand her way of life entirely and even blames her because of his being rejected. But gradually, she becomes more objectified in his later poetry. He realizes their differences between temperamental and political opinions, accepts the lost love, and praises her spirit of sacrifice and patriotism. That is to say, he recovers from the grief by writing poems and becomes more perceptive than before. In this sense, Yeats's love poems deal with the growth of the self that is the very aim of poetry therapy.

      • KCI등재

        행복한 삶을 위한 인문치료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본 연구는 중년남성 재활환자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수행된 시와 미술활동 중심의 인문치료 임상사례이다. 연구대상은 F시에 소재한 E병원에 입원중인 중년남성 재활환자 4명이다. 그들은 갑작스런 장애로 인해 자신감을 잃고 무기력하며 우울한 상태이다. 가장으로서 앞날에 대한 걱정과 스트레스로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 본 인문치료 프로그램은 2014년 1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주 2회, 1시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로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와 스트레스검사(S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중년남성 재활환자의 회기별 자기표현 능력을 증진시키고 자신감을 회복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중년남성 재활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킨다. 결론적으로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는 중년남성 재활환자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중년남성 재활환자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ities therapy utiliz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who were in the E hospital located in the city of F for years. They had lost their confidences from the sudden physical disabilities and depressed with their fears for the future. From November 2014 to December 2014, 10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an hour. As the evaluation tool, PITR and SI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umanities therapy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and self-confidence of the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Secondly, the humanities therapy reduced the stress of the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and thus improved their happiness.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brings positive changes to happiness of the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to improv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mal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 KCI등재

        중도장애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소통 증진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연구는 중도장애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소통 증진을 위해 수행된 시와 미술활동 중심의 인문치료 임상사례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모재활병원에 입원중인 우측편마비 환자 A(50)이다. 그녀는 갑작스런 장애로 인해 자신감을 잃고 자아존중감이 하락하여, 주변인들과의 소통에 관심을 잃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검사로서 사회원자 투사검사와 자아존중감 측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012년 1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총 10회기의 인문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중도장애환자의 회기별 자기표현을 증가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중도장애환자의 자신감을 회복시켜 자아존중감과 소통 의지를 증진시킨다. 결론적으로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는 중도장애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소통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일사례로서 객관화의 한계가 있지만, 향후 중도장애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소통 혹은 관계 맺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of an acquired disabled pati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50), an acquired disabled patient with right hemiplegia and language impairment, by hemorrhage who was in the hospital located in the city of B for years. She had lost her confidence and self-esteem from the disease and wasn"t interested in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the evaluation tool, MSAPT and RS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From November 2012 to January 2013, 10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an hou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umanities therapy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of an acquired disabled patient. Secondly, the humanities therapy restored the confidence and self-esteem of an acquired disabled patient, and thus improved her will to communicate with herself and others. In conclusion, the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brought positive changes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will to communicate of the acquired disabled patient. Consequently,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of an acquired disabled patient, even if this case study has limitations of objectivity as it is a single case.

      • KCI등재

        예이츠의 중기시에 대한 인문치료적 접근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초록 투구와 기타 시편들』,『책임』,『쿨호의 야생 백조』,『마이클로바티즈와 무용수』등에 수록된 예이츠의 중기시를 인문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인문치료는 인문학적 정신과 방법으로 현대인의 정신적?정서적 문제들을 예방하고 치유함으로써 마음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이론적?실천적 활동으로, 그 구체적 방법론 중의 하나인 시치료의 원리-시 감상 및 창작을 통해 삶의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성장을 이룸으로써 삶의 변화 대처 능력을 기르는 행위-와 이 시기에 나타난 예이츠의 시작(詩作)을 통한 외적자아의 수용과 내적자 아와의 조화의 모색 과정이 서로 부합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현실인식으로 초기시의 약점을 보완하고 이전보다 더욱 사실적?객관적으로 성장?변모한 예이츠의 중기시는 자아와 반자아의 갈등 및 조화를 그 특징으로 한다. 반자아는 현실적 자아에 대한 이상적 자아로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지만, 한 인간의 인격에서 그의 정체인 자아를 그의 이상(반자아)과 구분할 수 없듯이 양자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양자가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갈등이 필연적이며, 그것은 극적인 긴장감을 띠며 전개된다. 예이츠는 그 갈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가면과 회전체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둥근 탑 아래?와 ?마이클 로바티즈의 이중 비전?에서 갈등이 해소된 조화의 상태를 춤의 이미지로 묘사한다. 이렇게 볼 때, 예이츠의 중기시는 새로이 현실을 인식하고 자아의 성장을 이룸으로써 더욱 지혜롭게 변모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는 인문치료의 목적과 맥을 같이 한다. This study examines W. B. Yeats"s middle poetry in The Green Helmet and Other Poems, Responsibilities, The Wild Swans at Coole, and Last Poems from the viewpoint of humanities therapy. Humanities Therapy pursues mental health and happy living by preventing and curing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of modern people with a humanistic spirit and method. One of its specific methodologies is poetry therapy. And the principle of poetry therapy that provides self-examination to those who suffer from mental crises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outer self and its harmony with inner self in Yeats"s middle poetry. The new perception of reality makes his middle poetry more public and realistic than before. Yeats, who had stuck to the inner world living in an outer world up to then, now pursues escape from the latter. It dominates his middle poetry which is a phase of conflict and harmony of the self and anti-self. The anti-self is the ideal self against the real self. These two concepts basically oppose each other but they are also closely related, for we can not distinguish the real self from the ideal self in one"s personality. Yeats describes the reconciled state of conflict between them, harmony, as an image of dance in "Under the Round Tower" and "The Double Vision of Michael Robartes." In this sense, Yeats"s middle poetry deals with the new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growth of the self and this theme coincides with the aim of poetry therapy, which I pay attention to.

      • KCI등재

        중년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연구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수행된 시와 미술활동 중심의 인문치료임상사례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모재활병원에서 간병인으로 일하는 A(51)로, 그녀는 경제력 없이 홀로 살아야 할 앞날에 대한 걱정으로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사후 검사로서 KHTP와 행복수준 측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011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총 8회기의 인문치료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은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를 실시함으로써 A의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과 위축된 자아를 보살펴주고, 자신감을 북돋아줌으로써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갖게하고, 그 결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매 회기마다 그 변화추이를 관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중년여성의 회기별 자기표현을 증가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중년여성의 자신감을 회복시켜 행복감을 증진시킨다. 셋째, 인문치료는 중년여성의 KHTP와 행복수준 측정검사상의 변화를 가져온다. 결론적으로 시와 미술을 활용한 인문치료는 중년여성의 행복감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일사례로서 객관화의 한계가 있지만, 향후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was a case study on Humanities Therapy centered around the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a middle-aged woma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51), a middle-aged widow, who worked as a caregiver for the sick in the hospital located in the city of B. She had depressed with her deep anxiety for her future that she should live alone without family, professional job, and money. As the evaluation tool, KHTP and inventory of happiness level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From April 2011 to June 2011, 8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one hou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of the middle-aged woman. Second,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restored the confidence of the middle-aged woman, and thus improved her happiness. Third,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changed positively the results of KHTP and inventory of happiness level of a middle-aged woman. In conclusion,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focused on the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brought positive changes in improving the happiness of a middle-aged woman.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of a middle-aged woman, even if this case study has limitations of objectivity as it is a single case.

      • KCI등재

        자폐성장애인의 직장적응력 향상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 연구

        유건상(Yu, Keon-S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인의 직장적응력 향상을 위해 수행된 시와 미술 활동 중심의 인문치료 임상사례이다. 연구대상은 E시에 소재한 D장애인종합복지관의 부설기관인 C장애인보호작업장에 근무하는 20대 초반의 남성 2명이다. 그들은 시선을 마주치지 않으며 타인과의 관계 및 소통에 무관심한 전형적인 자폐증의 증세를 보이는 자폐성장애인이다. 그들은 매사에 자신감이 없고 무기력한 상태로 작업장에서의 적응력도 낮다. 본 인문치료 프로그램은 2016년 3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로서 동적 집·나무·사람 검사(KHTP)와 자아존중감 척도(RSE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는 자폐성장애인의 자기표현 능력을 증진시킨다. 둘째, 인문치료는 자폐성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소통을 증진시킨다. 그 결과 인문치료는 자폐성장애인의 직장적응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자폐성장애인의 직장적응력 증진을 위한 중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effects of humanities therapy utiliz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adaptability in their workplace for the people with autistic disor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males with autistic disorder who were in their early twenties and worked in C Shelterd Workshop for the Disabled, which is an affiliated facilities of D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E. They were lacking in confidence, suffering from low self-esteem and weren’t interested in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March 2016 to August 2016, 20 sessions in total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an hour. As the evaluation tool, KHTP and RS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therapy improve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of the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the humanities therapy improved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As a result, humanities therapy applying poetic and artistic activities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to improve work adaptability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case study can be useful as an intermediary materials to improve work adaptability of individuals with autistic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