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합 쌍의 통계적 분석을 이용한 정형/비정형 객체 영상의 적응적 정합 방법

        원인수(In-su Won),양훈준(Hun-Jun Yang),장혁(Hyeok Jang),정동석(Dong-Seok Jeong)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1

        본 논문은 동일한 특징을 사용하여 정형 객체와 비정형 객체 영상들을 정합할 수 있는 적응형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우선 기하학적 검증으로 두 영상의 정합 여부를 결정하고 정합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합 정보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비정형 정합 쌍과 비정합 정합 쌍을 분류하는 결정 경계를 구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 평가 결과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복잡도는 낮았으며, 정합 성공률과 정확도는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adaptive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features for rigid and deformable object images is proposed. Firstly, we determine whether the two images are matched or not using the geometric verification and generate the matching information. Decision boundary which separates deformable matching-pair from non-matching pair is obtain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matching informatio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lower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increases the matching accurac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DSRC 교통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수립 연구

        황태현,원인수,권장우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1

        A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is a detection system for a section of road using communication between roadside equipment and on-board High-Pass units to collect road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e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to driv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at a DSRC system must be supported to pas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DSRC systems installed in expressways and national highways is started. Currently,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only managed for maintenance and functional-monitoring purposes, which means that detailed criteria for the oper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such as communication range,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power of the radio wave, etc., need to be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criteria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propose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the communication range and communication power of roadside equipment. In addition, installation criteria,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height and angle of the installed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criteria presented were evaluated for DSRC roadside equipment and documented to improve system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DSRC 교통정보시스템은 노변기지국과 차량에 장착된 하이패스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구간 검지기로서 도로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신뢰성 높은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DSRC 교통정보시스템을 ITS 성능평가 대상으로 고시하였으며, 전국고속도로, 국도 및 지자체에 설치된 DSRC 교통정보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DSRC 교통정보시스템은 장비 이상에 따른 고장수리 및 제어기부에 대한 상태확인 등단순점검 위주로 관리되고 있어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안테나 방향, 전파세기 등에 관한 세부적인 운영·유지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변기지국별 상이하게 운영되었던 DSRC 교통정보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품질관리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품질관리 기준안으로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및 통신출력을 포함하고 안테나의 방향, 설치 높이, 각도 등 물리적인 설치 기준과 다양한 도로 유형별, 환경별 설치 지침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품질관리 기준안은 이동식 DSRC 기지국을 이용하여 설치 기준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차량용 레이더 센서를 위한 다중 타겟 알고리즘의 구현과 평가

        유인환,원인수,권장우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2

        루프 검지기, 영상 검지기 등의 기존 교통 검지기들은 설치와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이 크고, 밤과 낮에 따라 상이한 검지 알고리즘이 필요하거나 날씨에 따라 검지율의 편차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밀리미터파 레이더는 악천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주야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검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설치와 유지보수를 위하여 교통 통제의 필요가 없고, 다수의 차량을 동시에 검지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점을 가진 레이더 센서를 활용한 다중 물체 검지 알고리즘을 기존의 단일 물체 검지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Conventional traffic detection sensors such as loop detectors and image sensors are expensive to install and maintain and require different detection algorithms depending on the night and day and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detection rate varies widely depending on the weather. On the other hand, the millimeter-wave radar is not affected by bad weather and can obtain constant detection performance regardless of day or night.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blocking trafficl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multiple vehicles can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a multi–target detection algorithm for a radar sensor with this advantage was devised / implemented by applying a conventional single target detection algorithm. We performed the evaluation and the meaningful results were obtained.

      • KCI등재

        레이더 센서와 비전 센서를 활용한 다중 센서 융합 기반 움직임 검지에 관한 연구

        김세진,변기훈,원인수,권장우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논문은 레이더 센서, 비전 센서를 활용한 다중 센서 융합 기반 움직임 검지에 관한 연구를 다룬다. 레이더 센서는 다량의 물체를 검지함에 있어 센서 자체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주변건물이나 주변 가로수와 같은 사물 혹은 물체를 차량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생긴다. 비전 센서의 경우 저렴하고 가장 많이 쓰는 형태이지만 빛, 흔들림, 날씨, 조도 등 외부환경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각 센서 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센서 융합을 통한 움직임검지를 제안하게 되었고 실험환경 내에서 매우 우수한 검지율을 보이게 되었다 센서 간 융합에서 좌표 통일문제와 실시간 전송문제 등을 해결하였으며, 각 센서 간 필터링을 통한 비가공데이터(raw data)의 신뢰성을 높였다. 특히 영상에서는 가우시안 혼합모델(GMM, Gaussian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레이더 센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This Paper is for A study of sensor fusion using Radar sensor and Vision sensor in moving object detection. Radar sensor has some problems to detect object. When the sensor moves by wind or that kind of thing, it can happen to detect wrong object like building or tress. And vision sensor is very useful for all area. And it is also used so much. but there are some weakness that is influenced easily by the light of the area, shaking of the sensor device, and weather and so on. So in this paper I want to suggest to fuse these sensor to detect object. Each sensor can fill the other’s weakness, so this kind of sensor fusion makes object detection much powerful.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의 안전 횡단을 위한 도로 위의 차량 검출 알고리즘 제안

        이옥민(Okmin Lee),원인수(Insu Won),이상민(Sangmin Lee),권장우(Jangwoo K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안정성 향상을 위해 도로 위를 이동하는 자동차의 영상만을 입력 받아 자동차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은 제약 조건이 있다. 도로 위에서 아래 방향을 비스듬히 내려 보는 고정된 시야를 가져야한다는 점이다. 주어진 영상 중 도로 영역만을 이용하기 위해 동적인 관심영역을 검출해 적용한다. 동적으로 관심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캐니엣지 탐지를 이용한 후 허프 변환을 응용해 분할 허프 변환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관심영역 내에서 차량 검출을 위해 모션 히스토리 이미지(Motion History Image) 추출 방법,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 히스토그램 분석 등 다양한 영상처리 방법을 적용한 실험결과, 평가 및 한계점을 서론에 제시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응용해 단순한 물체 탐지가 아닌, 차량 검출에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GMM 알고리 즘을 응용한 차량 검출 GMM(Vehicle Detection-GMM) 알고리즘을 이용해 차량 검출 시스템을 구현했다. 실험 결과 정확률, 재현율, F1 측정값이 GMM은 각각 15%, 60%, 24%인데 비해 차량검출 GMM은 각각 75%, 60%, 67%로 그 성능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car detection system using only video image as the input image that is composed of car moving on the road. It is for the people who is visually handicapped. There is a constraint condition that is the input image has downward obliquely from road and fixed view. To use only region of road, we use dynamic ROI detection using Canny edge detection and separated type hough transform based on Hough transform. To do car detection in ROI, we analyze and evaluate confines of motion history image(MHI) method,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algorithm and histogram analysis in the introduction. These method has the critical point. So, we proposed to use VD-GMM(Vehicle Detection-GMM) based on GMM(Gaussian Mixture Model) for the car detection system. GMM is just moving object detection but including several geometric detection method, it could detect the car. In the experiment, we measure precision, recall and F1 rate for GMM and VD-GMM. GMM has 15%, 60%, 24% and VD-GMM has 75%, 60%, 67% for each value. Using this result, we could prove VD-GMM is better than GMM for the car detection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