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의 접속과 접속의 감성

        우찬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3 한국문화연구 Vol.5 No.-

        이 글은 최근의 사회 문화적 변화의 양상을 접속의 시대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 이전 시대와는 다른 문학적 감성과 상상력의 특성을 탐문하는 발견적 논의를 담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이 제안한 접속의 시대란 산업 자본주의를 대체한 문화 자본주의 시대의 핵심적 특성을 반영한 용어다. 새로운 문화 경제를 구성하는 수많은 시뮬레이션 세계에 척척 적응하는 새로운 닷컴 세대들이 열어 나가는 접속의 시대는, 사회 경제적 패러다임뿐만 아니라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 확실하다. 문학적 상상력이나 감성의 변화는 물론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변화도 가져온다. 세계의 이념이나 맥락을 강조했던 1980년대 소설과는 달리 1990년대 소설은 주체/발신자의 주관적 감성이 전경화 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들어 그 주관성의 형질이 다소간 변하게 된다. 감성의 접속보다는 접속의 감성이 전경화되기에 이른다. 발신자보다는 접촉이나 코드가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런 변화는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의 작품에서 대체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 김도언과 정이현의 소설들이 주목된다. 김도언의 소설에서 이야기라는 환상을 창출하는 핵심 통로다. 접속의 심층 무의식은 나와남, 주체와 타자의 접속 가능성 혹은 소통 가능성이다. 작가 김도언과 그의 소설속의 인물들은 접속을 통해 그들의 존재치를 입증하고자 한다. 그의 소설에서 주체와 대상/타자 관계는 접속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그가 조여준 단속(쏜)의 감각은 접속의 시대의 대표적인 메타포라고 할 수 있다. 정이현의 소설은 이야기 층위에서는 소비사회에 접속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여러 목소리들을 실감 있게 들려주면서도, 담론 층위에서는 그 접속의 풍경을 관조하고 반성하는 아이러니컬한 감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면서 접속 시대의 풍경을 비판적이고 전복적으로 형상화하는 나름의 스타일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cludes a heuristic argume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recent sociocultural changes in terms of the Age of Access and to search out the literary sensi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nes of previous era. The Age of Access is a term used by Jeremy Rifkin, reflecting the fundamental particularity of the age of cultural capitalism replacing the industrial capitalism. It is obvious that the Age of Access, which is opened by the new generation so called " Dot Com: generation that adapts quickly to a number of simulation worlds making up of the new cultural economy, will be bringing about the turn of cultural paradigm as well as the one of socio-economical paradigm. The age leads the changes of the process of concrete communication as well as changes of the literary imagination of sensi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novels of 10980's that had an emphasis on the ideology or the context of the world, the novels of 1990's foregrounded the subjective sensibilities of the subject/addresser. Then, in 2000'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subjectivity rather transform. That is to say, the sensibility of access rather than the access of sensibility comes to be foregrounded. The contact or the code better than the addresser becomes the major factor. We can confirm this kind of turn in the works of writers from the new generation. The short stories of Kim Do-eon and Jung Yi-hyun belong to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works of Kim-Do-eon, the access is a hold through which we pass to the fantasy called the story. The profound abyss of the access is the accessibility or the communicational possibility between ego and alterego, or subject and other. The writer Kim Do-eon and his characters try to prove their value of existence through the access. In his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ccess,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other alter. Especially, the sense of disconnection he shows can be regarded as the outstanding metaphor f the Age of Access. The short stories of Jung Yi-hyun are remarkable if we consider the following two levels : on the level of story, we can listen to the numerous, lifelike voices of various characters getting access to the consumption society : on the level of discourse, she has an ironical sense to gaze at and reflects the scenes of that access. In addition, she shows her won style that represents the scenes of the Age of Access critically and reversely.

      • KCI등재
      • KCI등재

        생태 안정성에 대한 기억과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의료-환경 인문학적 접근

        우찬제 문학과환경학회 2023 문학과 환경 Vol.22 No.2

        In this thesis, I reflect on the methodological wisdom of the healing humanities in responding to the global climate crisis and the anxiety of extin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ent Medical-Environmental Humanities. This perspective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the health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are inextricably linked, and that humanistic reflection on them is meaningful for a sustainable future. The ecological precariousness at stake in the sixth great extinction discourse gives rise to a multifaceted pathos of anxiety, ranging from ecological grief to Anthropocene horror. It suggests that the planet and humans are in a crisis of shared well-being. In response to this crisis, this book summarizes recent research in the medical and environmental humanities centered on the possibilities of material turnaround and co-creation, the exploration of ‘entangled life’, actions to restore health, and the question of ‘naturecultures’. From this perspective, I discuss the imagination of the ‘precariat’(those who experience precarity) as embodied in Duna's “The People from the Dead Whale”. In this text, the author points to climate change as the cause of ecological instability, and the behavior and structure of the Anthropocene as its deepest cause.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ecological instability vividly demonstrates that humans and their inhabited spaces are on the verge of unhealthy annihilation. Created in the era of COVID-19, the work reflects on anthropocentrism with the reverse idea that humans can infect and kill other beings with viruses. It also suggests that humans cannot be healthy alone, but must be healthy together with all living beings and the earth, which is their home. 본고에서 필자는 세계적인 기후 위기와 공멸의 불안에 대응하는 치유 인문학의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의 의료-환경 인문학(Medical-Environmental Humanities)의 관점을 제안한다. 이 관점은 지구 환경의 건강과 인간의 건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의미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여섯 번째 대멸종 담론이 넘쳐날 정도로 위태로운 생태 불안정성은 생태적 비애(ecological grief)에서 인류세 공포(Anthropocene horror)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인 불안의 파토스를 야기한다. 그만큼 지구와 인간이 공히 건강하기 어려운 위기의 현실에 처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위기 상황에 대응하여 물질적 선회와 공동 생성의 가능성, 얽힌 생명의 탐색, 건강 회복을 위한 행동과 ‘자연문화’서사의 문제 등을 중심으로 최근 의료-환경 인문학의 연구 맥락을 정리한다. 이런 관점에서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형상화된 ‘프레카리아트’(precariat; 불안정성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상상력을 논의한다. 이 텍스트에서 작가는 생태적 불안정성의 원인은 기후 변화이고, 그 심층 원인은 인류세의 행태와 구조임을 지목한다. 그 결과 생태 불안정성의 현상으로 인간과 그 거주 공간이 공히 건강하지 못한 공멸의 위기에 처해 있음을 실감 있게 보여준다. 코로나 19 시절에 창작된 이 작품은 인간이 바이러스로 다른 존재를 감염시키고 죽일 수 있다는 역발상으로 인간 중심주의를 반성하는 ‘자연문화’ 서사를 제시한다. 그리고 인간만 단독적으로 건강할 수 없으며 존재하는 모든 생명들과 그 생명의 터전인 지구와 함께 건강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李淸俊 小說에 나타난 不安 意識 연구

        우찬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2

        Anx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 of modern literature, along with desire, alienation and environment. In the novels of Lee, Cheong-jun the primal scene of anxiety is the flashlight scene in the storeroom in his debut work, Discharge from the Hospital(퇴원). The flashlight as a sign of danger is both the object-cause of the subject's anxiety. In this sense, father's flashlight is a dramatized objective correlative of the Other's gazing power. The dynamics between the subject's eye and the Other's gaze in this archetypal scene constitutes a most important narrating and characterizing principle in Lee's works. This scene develops later into a landscape of agoraphobia, as we can see in the works such as Winter Plaza(겨울 광장), Mr. Mandeuk Cho (조만득씨), Fascinating Disappearance(황홀한 실종). The Wall of Rumors(소문의 벽), The Unwritten Autobiography(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and Aside before the Flashlight(전짓불 앞의 방백) are all stories about the subjects who feel anxiety about their narration because they cannot be free from the Other's principle of pleasure, symbolized as the flashlight. The imagination of anxiety in Lee's work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which dreams of freedom. Through his novel, Lee tried to fight against the harsh reality of the uncertain age with his literary weapon of anxious imagination. 李淸俊 소설에서 不安의 原初的 場面은 등단작 퇴원의 광 속 전짓불 장면이다. 危險 信號로서 전짓불은 不安의 對象이자 原因이 된다. 아버지의 전짓불은 大他者의 凝視 勸力의 상징으로 현실의 억압적 질서를 환기한다. 이 原初的 場面에서 보이는 大他者의 凝視와 주체의 視線 사이의 力學은, 李淸俊 소설에서 人物 構成이나 敍事 構成의 주요 원리가 된다. 이 原初的 場面은 나중에 廣場 不安의 양상으로 극화된다. 황홀한 실종 등에서 주인공들은 廣場 不安에 시달린다. 소문의 벽,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등은 전짓불을 앞세운 大他者의 享樂에 의해 陳述 不安을 느끼는 主體들의 이야기다.이런 李淸俊의 소설에서 不安의 想像力은 自由에의 可能性을 꿈꾸는 政治的 無意識과 관련된다. 不安의 想像力을 통해 不安한 時代의 現實과 문학적으로 대결하려 한 것이 李淸俊의 소설이다.

      • KCI등재
      • KCI등재

        韓國 小說의 前近代와 近代 : '길'의 主題論을 中心으로

        禹燦濟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0 한중인문학연구 Vol.4 No.-

        中文要旨本文擬以 "道"的 主題論爲中心, 考察近代韓國小說的發展情況. 對于生活文學來說 "道"的主題顯得充其重要. 特別是在敍事文學當中, 觀察其結構特点與現實認識論方面, 非常有效的主題便是 "道".在中小說, 主人公行走的道在社會歷史上變成重要的背景. 圍繞着在小說史上也具有意義的幾篇作品, 觀察由前近代到近代的韓國小說中道路尋 方式的發展過程, 本文的注目点就在這理. 在前近代的道路方面, 金萬重的 《九云夢》 具有非常特殊的意義. 在這編小說出現兩次慾望實現. 在夢內容中, 楊小遊實現自己的慾望卽世俗的榮華富貴爲其一 : 蓮華峰六觀大師使楊小遊省悟到慾望的實現是一種無常之事, 開勸導其追求有常的本元眞理的世界, 卽佛敎世界觀的慾望實現爲其二. 當然, 前者顯得似乎歸結後者, 然而前者的意義開不是因此以令人反感. 而這仲慾望實現方式屬于近代以前卽中世紀慾望形式. 換言之, 神 (佛) 告訴天上有星座幷開 一條眞正的生活道, 上述故事正屬于這仲時代.假如說, 曾告訴天上有星座的神仙已經 開人們生活的大地而只留下一道徵光, 情 就有所不同了. 這時, 人只好在一個漆黑的夜空下孤獨地去尋 路. 近代的個人是在這種痛苦中誕生的. 作爲過渡時期的形態, 我們可擧出李人稙的 《血與淚》 和李光洙的 《無情》. 充其是, 《無情》 本來是一部能 好地描與近代個人慾望與自由戀愛這一近代課題的小說, 但是由于在一個沒有國籍的狀態下又不知根底的啓蒙意圖與抽象的浪漫主義而變成只停留于完整的近代性實現門坎的一部小說. 盡管在過渡時期的感情與慾望結構下, 前近代與近代的對立磁場正在形成一個形成問題的空間, 但時近代個人所固有的自由·權力的確保·慾望的表現方式等方面仍存在着不足之處.與此相反, 在小說 《萬歲前》, 廉想涉塑造僚一個 新的近代個人面貌. 小說 《無情》 爲止, 大都是出鄕的故事. 但其後開始就變成回鄕的故事. 通過暫時回鄕後再返回奪京的留學生李寅華的循 旅途, 作者徹底地認識到當代植民地的現實, 而且還摸索着在那些墳墓般的現實中如何才能獲得新生. 在其摸索過程中, 重要的是特別在近代的意義上覺悟到 "個人"的重要性. 從個人的個性與生活出發, 强調了應該走向新的生活的地平面. 不能小說, 這是與抽象的樂觀主義相對照的具體的現實主義的地平面. 如果說, 廉想涉小說中的李寅華是暫時回鄕者, 那應李箕永小說 《故鄕》中的金喜俊是一個完整的回鄕者. 他被提示爲名副其實地具備近代意識與實踐品德的人物. 他不僅是在認識反對建的植民地農村總 狀況方面有眼光的人物, 同時又是在那種情況下要打破勞動的昇化化經濟上的不平等以及折磨在生命飢餓的現實方面具有信念· 意志與實踐力量的可以成爲問題的主人公. 無論任何人都可以從他的信念中發現社會主義色彩, 在這里所況的社會主義便是近代的産物. 就是作爲對近代資本主義的對策命題的社會主義. 在這部作品中, 還充分流露出對鐵路·電信等近代産物的現象的捕捉感覺.總之, 以小說 《九云夢》 爲代表的前近代的道與慾望的實現形式相關. 基于中世紀的理念與小說的習慣, 在道上主人公的慾望顯得正確無誤地得到實現. 在開化時期, 則呈現出過渡性的形式. 顯示着前近代的道與近代的道相互作用幷抗衡的形式. 雖然向着實現的慾望的流露與現實的難無發生衡突, 但在前近代代故事規矩與近代開化理念得到抽象結合的過程中, 形成慾望得到實現的故事. 在近代的道上, 比起慾望的實現本身, 反省的形式便得到重視. 以現實的具體的認識爲基礎, 發現近代個人的意義, 進以顯示出對近代問題的實踐旅途. 可見, 在韓國小說中, 道的主題論的形象大致與社會現實的歷史情況密切相關 到了近代以後更是如此. 作者通過這種在小說中的尋路, 各自認識幷反映現實, 同時又顯示出現克服現實的智慧. 在這一側面上, 小說中道的問題與對當代時代精神的認識水平相關. 只要對小說中爲何離開. 如何去. 到何處去. 出發地與到達地之間從的像是如何發生盾的變化等問題 行硏究, 就會更加明白. 自從李光洙的小說 《無情》以來, 日帝强暴時期的作者主要作爲亡國的作家, 乎以民族的命遠和近代資本主義問題等爲中心 魂而煩悶于小說之道. 這條道非常險峻. 至解放以後, 也是如此. 分裂爲左右兩翼而不得不卷#意識形態巨浪之中的解放建國時期的道· 韓國戰爭時期被殘酷的戰爭創傷弄則斑斑駁駁的五十年代的道·"4·19"以後的民主化之道·七十年代的産業化之道等等, 的 小說女險峻的道的歷史一起走過, 幷在作證.

      • KCI등재

        ‘쓰레기-치유’를 위한 문학 윤리

        우찬제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2

        In solving the problem of the garbage the ethics of the people is as important as the political endeavors or technological innovations. If we can produce less garbage, rather than struggling how to dispose of or recycle the produced garbage, the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would be enormous. Among the many ways to approach the issue of the ethics of the people, the literary approach is culturally meaningful and has proved powerful in promoting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paper, I’d like to discuss ethical ideas that some works of the Korean writers present to solve the problem of garbage in three aspects. First, Korean writers articulate the ethics of “life without waste” and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excessive desires. They criticize the surpl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capitalist society, which causes enormous amount of unnecessary garbage. They think we can reduce the garbage by controlling our desire, the very source of this “surplus” culture, which is in line with the ethics of traditional Buddhism. Secondly, they propose a new perspective that garbage is not an object to be disposed but an object to be cured. This approach gives us a new insight by allowing us to see garbage from the point view of garbage. Thirdly, they present a new ecological attitude toward garbage based on the Korea’s traditional idea of the unity of heaven�earth-humankind. If people practice this idea of symbiotic and circulatory life, garbage would be reduced dramatically. The ethics of “garbage healing” is a viable ethic for our “old future.”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나 과학기술적 해법 못지않게 시민 윤리가 중요하다. 발생된 쓰레기를 재활용하거나 처리하는 문제 이전에 쓰레기를 덜 배출하게 된다면, 경제적 생태적 측면에서 이득이 크기 때문이다. 쓰레기를 감량하기 위한 시민 윤리는 여러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그 중 문학 상상력을 통한 접근 방안은 문화적으로 의미심장하다. 문학 작품이 시민의 덕성을 함양하는데 유의미하다는 것은 이미오래 전부터 논의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국문학 작품에 나타난 상상력이 쓰레기 문제 해결에 어떤 윤리적 메시지를 주고 있는가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했다. 첫째, 한국문학은 욕망의 조절과 ‘낭비 없는 삶’의 윤리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다. 자본주의 전개 이후잉여 생산, 잉여 소비, 잉여 소유로 인해 쓰레기가 과잉 생산되는 경향에 있으므로, 잉여의 원동력인 욕망을 조절해 낭비를 줄이면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는 전통적 불교 생태학의 윤리와도 통한다. 둘째, 한국문학은 쓰레기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치유의 대상이라는 윤리를 제안한다. 인간의 관점에서 쓰레기를 사유하지 않고, 쓰레기의 관점에서 상상하여 치유되고 재활용될 수 있다는 상상력을 펼친다. 이는 쓰레기 재활용 정책 홍보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공유 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문학 윤리이다. 셋째, 심층적으로는 한국의 전통적 사유인 천-지-인 합일 사상에 입각한 쓰레기 다시 바라보기의 윤리이다. 생태적으로 순환하고 공생하는 환경에서라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거나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쓰레기-치유’의 문학 윤리는 ‘오래된 미래’의 윤리이기도 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