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지적기준점 성과계산을 위한 GPS 소프트웨어 개발

        우인제,이종기,김병국,이민석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2 No.1

        GPS 관측기법을 지적측량에 도입하기 위하여 GPS를 이용한 새로운 지적측량 모형(Model)을 정립하는 연구와 관련 기술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GPS 자료처리 및 기준점 성과산출과 관련하여 국내·외 측량 관련 상용 GPS 자료처리 소프트웨어의 현황 및 성능을 파악하고, 자료처리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한 GPS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ㆍ외의 전문 업체, 기관(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상용 소프트웨어 현황 분석 및 자료처리 방법에 따른 오차 발생을 연구하여 기선해석, 망 조정, 좌표변환 등에 관련된 전문 소프트웨어 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자료처리 산출성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기존 GPS 자료처리 소프트웨어에 적용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지적측량성과 산출에 최적인 알고리즘을 연구하여 새로운 지적기준점 성과 산출을 위한 지적측량 성과계산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Research that establish new cadastral survey model that use GPS to introduce GPS observation technique in cadastral survey and research that develop connection technologies are now abuzz.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eep in step in such trend and grasp present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surveying connection to common use GPS data processing software, and analyze data processing algorithm, and develop suitable GPS data processing software in our real condition regarding GPS data processing and result of control point calculation. This research studies analysis common use software and error occurrence by data processing method that college and company have. Also, It analyzes algorithm that is applied to existing GPS data processing software. After that we study algorithm that is most suitable with cadastral survey and then develop cadastral survey calculation software for new cadastral control points.

      • KCI등재후보

        고객중심의 업무프로세스 재설계 -분할측량업무를 중심으로-

        윤정환,우인제,이보미 한국국토정보공사 2008 지적과 국토정보 Vol.38 No.1

        본 연구는 지적공사가 지속가능경영을 성취하기 위해 향후의 지적측량이 나아가야 할 고객중심의 업무처리 프로세스는 어떤 것인지를 연구하고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현재의 분할측량 업무와 신규 필지의 등기 업무가 어떻게 처리되어지는지 표준안을 작성하고, UML 기법을 이용해 모형화(modeling)하여 제시했다. 다음으로는 고객중심의 업무처리 프로세스 재설계를 위해서 네덜란드 지적청 (Dutch Kadaster)을 벤치마킹 하였다. 끝으로, 분할측량 업무프로세스를 재설계하여 완전 자동화에 바탕을 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s about the customer oriented business process for being achieved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KCSC and provides the way how to achieve it. First, the standardized Business Processes are depicted by the UML modeling technique to explain the current business processes of the Parcel Subdivision and Land Registry. Next, the Netherlands Cadastre Agency (Dutch Kadaster) is benchmarked for re-engineering to achieved the Customer Oriented Business Process. Finally, Improved Business Process is suggested by the re-engineering of the Parcel Subdivision Business Process based on the Conceptual idea of the fully automated procedure.

      • KCI등재

        중국 해적(海籍) 제도 현황에 관한 연구

        김해명(Jin, Hai Ming),김병국(Kim, Byung Guk),우인제(Woo, In Je) 한국지적학회 2009 한국지적학회지 Vol.25 No.1

        인간의 활동은 최근 육지로부터 해양으로 넓혀가고 있다. 따라서 국가의 해역소유권 보호, 해양경제의 지속적인 발전, 국가해역의 합리적인 사용 보장, 해역공간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적·기술적·제도적으로 뒷받침이 필요한 현실이다. 근래 한국에서는 해양지적 제도 도입을 위하여 해양지적 관련 여러 가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현재 해양지적 제도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지 않았고,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해적(海籍) 제도에 대한 현황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한국에서 해양지적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제도 정립에 기여하는데 있다. 중국은 해역관리를 위한 해적(海籍)조사 및 해적측량에 대한 법률 및 규정이 구비되어 있다. 비록 한국과 중국의 사회제도 및 나라 특성이 다르지만 중국 해적 제도의 전체적인 흐름을 통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우수한 선행 사례를 벤치마킹하여야 한다. This study performs benchmarking on the current Chinese marine system through case studies and proposes possible enhancements. As the human activity in marine areas has been growing rapidly in last decades, it is needed to support the protection of marine areas in aspects of their relevant industries, economy development, rational use of national marine boundary, the prevention of squandering spatial marine resource.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work on marine cadastre and its cadastral system is in a basic step yet. Since China has systematized laws and regulations about marine cadastral survey, thereafter, this study performed benchmarking tests on a few cases through the chinese marine cadastral system and proposes methodologies which may can be made in the marine cadastral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