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혁신학에서 본 진화 창조론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1 No.-

        This essa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cannot be harmonized with evolutionary creationism found in Dr. Jong-Hak Woo’s book, An Atheist Journalist Inquires of a Christian Scientist. The imagined interlocutor “Dr. Han Byeol,” the representer of Dr. Jong-Hak Woo’s ideas, argues for an evolutionary creationism, but his ideas cause many serious problems in theological issues as well as in logical consistency. First, the interlocutor argue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human beings through the Big Bang and evolution. He, however, does not prove this but just presupposes it. Second, his theism is similar to deism in his scientific observation of nature and is close to pantheism in his interpretation of its results. Third, the interlocutor’s ideas clash with the Reformed doctrines of revelation, Scripture, Adam, the image of God, original sin, death, atonement, and Christ. In sum,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the interlocutor is severely inconsistent with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정상인 보행에서 무릎관절의 유도된 강직에 따른 신체 보상 특성

        우병훈 ( Byung Hoon Woo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physical compensation for gait on induced knee stiffness in normal subjects. T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ge: 26.0±6.3 yrs, height: 175.5±5.3 cm, weight: 69.1±6.1 kg). The study method adopted 3D analysis with five cameras and ground reaction force with two force-plate. Induced knee stiffness level were classified as gait pattern on ROM of knee(free level, 30° restriction level, fix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ngular displacement of hip joint, left hip joint was the more extended in mid-stance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angular displacement of knee joint, there was no physical compensation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but free knee level gait was more flexed in swing phase of right knee joint. In angular displacement of ankle joint, right ankle joint was the more dorsiflexed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and 30° restriction level and fix level gait were less plantarflexed in TO2. In trunk tilt, free and 30° restriction level gait was more backward tilt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ROM of each joint, right knee joint was more larger and trunk tilt was more lower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GRF, Fx was more bigger lateral force in free and 30° restriction level gait, and was more bigger medial force in fix level gait. Fy was more bigger propulsion force in free level gait, and was was more bigger braking force in 30° restriction level gait. Left braking force in 30° restriction level gait was more bigger. Fz was no significant.

      • KCI등재

        드롭점프 시 섭동과 단안 차폐에 따라 신체에 미치는 영향

        우병훈(Woo, Byung-Hoon)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kinematics and kinetics of drop jump movement with perturbation and monocular occlusion condition. Sixte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ge: 20.8±0.6 yrs, height: 174.2±4.9cm, weight: 68.8±7.9kg). The study method adopted 3D analysis with six cameras and ground reaction force with two force-pl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ngular displacement of hip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flexed in monocular condition. In angular displacement of knee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flexed in voluntary drop jump, and MKF was the more flexed in binocular condition. In angular displacement of ankle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dosiflexed in monocular condition and was the more dosiflexed in right ankle joint. In trunk tilt, LD and PVG were the more forward flexed in voluntary drop jump. In Fx, LD, PVG, and MKF were more bigger lateral force in binocular condition. In Fy, LD was more bigger backward force in right foot. In Fz, LD was more bigger vertical force in right foot and PVG was more bigger vertical force in binocular condition.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의 속죄론과 보편구원론

        우병훈 ( B Hoon Woo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을 주장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신학의 다른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답변들이 주어졌다. 어떤 학자들은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조셉 베티스, 존 콜웰), 다른 학자들은 그가 보편구원론자라고 주장하고(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G. C. 베르카워, 올리버 크리스프), 또 다른 학자들은 바르트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답하지 않고 남겨 두었으며 그의 구원론은 보편구원론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분시키는 틀에 끼워 넣을 수 없다고 한다(T. F. 토런스, 조지 헌싱어). 본 논문은 바르트의 속죄론은 필연적으로 보편구원론에 봉착할 수밖에 없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때까지의 학계에서는 바르트의 보편구원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주로 그의 예정론에 집중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어떻게 수용하며 또한 어떻게 반대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점이 이 논문의 기여이다. 『로마서 주석』에서 바르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킨 자들을 반드시 벌해야 한다는 안셀무스의 명제를 받아들인다. 『교회교의학』I/2에서 바르트는 안셀무스의 Cur Deus Homo의 주장을 따라 성육신에 있어서 하나님의 자유를 옹호한다. 하나님은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실 수도 있고, 벌하실 수도 있는 자유를 가지신다. 하지만 인간을 구원하시기로 스스로 결정하신 이상하나님의 지혜에 가장 맞는 방법은 오직 성육신하신 신인(神人)을 통해서 구원하시는 길이다. 이와 같은 안셀무스의 속죄론이 하나님의 자유와 그리스도의성육신의 필요성 모두를 잘 설명해 준다고 바르트는 믿는다. 이러한 논조는『교회교의학』II/1에서도 이어진다. 바르트는 안셀무스에 동의하면서, 인간의 죄는 단지 신적 용서라는 자비의 행위로만으로는 제거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바르트는 그러나『교회교의학』IV/1에서 안셀무스의 속죄론과 결별하기 시작한다. 속죄론을 지나치게 기독론화 함으로써, 바르트는 객관적 속죄론(혹은 보편적 화해론)의 입장으로 점점 기울어진다. 안셀무스가 하나님의 존엄과 신적 의지의 자유 모두를 확고하게 견지한 지점으로부터 바르트는 떠난다. 이제『교회교의학』IV/1의 바르트는 다만 하나님의 자비의 필연성만을 강조할 뿐이다.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 사이의 관계에서는 언제나 하나님의 자비가 주도권을 잡는 방식으로 역사하며, 그런 방식으로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는 일치된다고 바르트는 주장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를 대등하게 보고 둘 사이의 균형을 잡는 안셀무스의 속죄론의 기본 논조를 떠난 것이다. 이렇듯, 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수용하고 배제하는 과정을 고찰해 본다면, 후기 바르트의 속죄론은 보편구원론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essay aims to argue that Karl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necessarily leads to universalism. It seeks to prove the thesis by observing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Barth`s doctrine of objective atonement develops as he distances himself from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In his Romerbrief, Barth endorses Anselm`s idea that God who is robbed of his honor must punish those who robbed him. In Church Dogmatics I/2, Barth advocates divine freedom in the incarnation with the support of Anselm`s Cur Deus Homo. Barth holds that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preserves both God`s freedom and the necessity of Christ`s incarnation. The positive endorsement of Anselmian motives in Cur Deus Homo continues in Church Dogmatics II/1. Barth maintains with Anselm that the sin of humanity cannot be removed by the merciful act of divine forgiveness alone. In Church Dogmatics IV/1, however,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diverges from that of Anselm. By over-christologizing the doctrine, Barth completes his formulation of objective atonement. He finalizes the necessity of God`s mercy at the place where Anselm firmly establishes the dignity and freedom of the will of God. In Barth`s view, God`s mercy is identified with God`s righteousness in a distinctive way where God`s mercy always takes the initiative. The change in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shows that Barth`s doctrine entails support for universalism.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공공신학에 대한 두 현대 이론 분석: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의 대표적 연구서에 나타난 『신국론』 해석을 중심으로

        우병훈(Byung Hoon W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은 여러 면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정치이론을 전개했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아우구스티누스 정치신학 해석을 “고백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입장은 인간의 한계를 주목하지만 그것을 정치로 모두 다 환원하거나 맡겨버리지 않고 인간의 존재 구조와 내면적 덕성을 소중하게 여긴다. 하이데거와는 달리 아렌트는 인간의 죽음뿐 아니라 “탄생성”도 주목한다. 그녀는 이것을 인간 실존의 “이중적 전방”이라고 부른다. 엘슈테인은 인간의 죄성을 강조한다. 엘슈테인이 제시하는 정치한계주의도 역시 죄에 대한 그녀의 견해에 근거한다.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 되는 언어는 상황을 악화시킬 때가 많으며, 특히 남성과 여성의 공적 관계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엘슈테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언어론에서는 자유의 계기가 주어진다고 본다. 그녀는 또한 가정이 사회를 구성하는 분자로서 더 큰 공동체의 정의와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신국론』 이해에서 중요한 것은 카리타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다. 아렌트는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공통의 역사는 이웃사랑의 고유한 자리를 확보해 준다고 주장한다. 엘슈테인에 따르면, 우정은 가족, 친구, 동료 시민, 국가사이에서 인간들을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렌트와 마찬가지로 엘슈테인도 역시 보편성을 가진 정치 윤리의 기초를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담론에서부터 도출한다. 그녀는 모든 인간이 아담에게서 기원했다는 단일기원설에 근거하여 “진정한 평화의 존재론”을 제시한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아렌트보다 엘슈테인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결론짓게 된다. Hannah Arendt and Jean Elshtain developed political theories based on Augustine’s works in many ways. Arendt’s and Elshtain’s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political theology can be called “confessionalism.” This point of view focuses on the limit of humanity without reducing or entrusting it to politics alone and emphasizes the existential structure and internal virtues of individuals. Unlike Heidegger, Arendt pays attention not only to death but also to the “natality” of human beings. These two factors are what she calls the “twofold before” of human existence. Elshtain places stress on the sinfulness of humanity. The political limitism of Elshtain is also based on her view of sin. The language that is unique to humans often makes things worse―especially in the public relations of men and women. Elshtain, however, finds a “liberatory moment” in Augustine’s theory of language. She also argues that the family as the particula of society can contribute to the justice and peace of a larger community. What is vital in Arendt’s and Elshtain’s understanding of The City of God is their explanation of caritas. Arendt insists that the common history shared by all human beings secures a unique place for the love of neighbors. According to Elshtain’s theory, friendship serves to connect humans more closely among family, friends, fellow citizens, and the state. Like Arendt, Elshtain derives a universal political ethic from Augustine’s doctrine of Adam. Elshtain proposes the “real ontology of peace” based on the fact that all human beings are descended from Adam.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Elshtain better understands and applies Augustine’s City of God than Arendt does.

      • KCI등재
      • 바실리우스의 『성렬론』에 나타난 "우시아(ousia)"와 "휘포스타시스(hypostasis)"의 개념

        우병훈 ( Byung Hoon Woo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6 기독교철학연구 Vol.5 No.-

        바실리우스는 신학역사상 처음으로 `우시아(ousia)`와 `휘포스타시스(hypostasis)`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립하고 그 관계를 논한 교부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실리우스의 「성령론(De `Spiritu Sancto)」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삼위일체론 역사에 있어 바실리우스의 공헌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성령론」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라는 단어와 관련 어휘들을 찾아서 구문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으로 고찰한 결과, `우시아`가 `본성`으로, `휘포스타시스`가 `위격`으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바실리우스 역시 아타나시우스처럼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존재`라는 개념으로 동일하게 생각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바실리우스는 그 개념들을 더 발전시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서로 구분하며, 각각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부여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우시아`는 주로 추상적이고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단일한 본성적 개체를 뜻하며, `휘포스타시스`는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서 봤을 때 구별되는 객관성을 지난 개체를 강조할 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우시아`는 하나님의 존재나 본질적 독자성을 뜻한 반면에, `휘포스타시스`는 하나님의 특별한 방식의 존재를 나타내거나, 각 위격의 존재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실리우스의 가장 큰 공헌은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점에 있다. 바실리우스는 하나의 신성이 삼위에 대해 가지는 관계가 하나의 보편개념이 개별화되어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했다. 즉 바실리우스에게 있어 삼위 하나님의 각 위격의 개념은 보편적 신적 본성과 특수한 성질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일신론과 삼신론의 위험을 피하고, 우리에게 좀 더 분명한 삼위일체론을 전수해 주고 있다. Basil the Great established the concept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ook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ology. This paper deals with these concepts in his work De Spiritu Sancto and researches his contribution in the history of Trinitarian doctrines. All the words of `ousia` and `hypostasis` and all the references to these two technical terms are examined in a syntactic, semantic, and syntagmatic approach. These terms hadno concrete meaning before Basil the Great. Athanasius, for example, thought that `ousia` is `hypostasis` and they all mean "Being itself." However, Basil the Great defined `ousia` as "essence(=physis)" and `hypostasis` as "person" in a clearer way. He used a metaphor of the general and particular relationship to explain these two concepts. `Ousia` means a single and abstract unit, of which the individuality is disclosed by means of internal analysis. In the sense of `hypostasis` the emphasis lay not on content, but on externally concrete independence and the relation to other objects. For Basil the Great, `ousia` means the existence or essence or substantial entity of God, whereas `hypostasis` signifies the existence in a particular mode, the manner of being of each of the Persons. Basil the Great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hat is his greatest achievement. He explained this relationship in a metaphor in which one general essence is revealed with an individualized property. For him, each divine Person is a union of general divine essence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this way, Basil the Great escaped the danger of unitarianism and tritheism and firmly taught us the doctrine of Trinity.

      • KCI등재후보

        칼빈과 바빙크에게 있어서 예정론과 언약론의 관계

        우병훈 ( Byung Hoon Woo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6 No.-

        개혁파 언약론은 다양한 각도에서 비판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개혁파 언약론이 초기 개혁파 신학의 나쁜 변형으로서, 중세적 신학의 잔재라고 주장한다. 어떤 이들은 개혁파 언약론이 칼빈의 예정론 중심의 신학과 대립관계를 형성하는 신학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개혁파 신학자들이 예정론과 언약론의 관계를 정립해 나간 지점을 살펴보면, 이와 같은 주장들은 근거가 없다는 것을알게 된다. 개혁파 신학자들은 예정론과 언약론이 상호 대립되는 것으로 기술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칼뱅(1509-1564)과 바빙크 (1854-1921)의 신학에 있어 예정론과 언약론이 어떻게 서로 결합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개혁파 구원론의 성경적 기여의 한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칼뱅과 바빙크 두 사람 모두, 모든 언약은 은혜언약이라고 주장한다. 오직하나님의 은혜가 기반이 되어야만 언약적 삶이 시작될 수도 있고, 지속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 언약이 실행되는 데 있어서는, 인간의 책임과 순종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언약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자유가 만나는 것을 보았던 것이다. 칼뱅에게 언약이란 예정이 실현되는 중간 상태가 된다. 그는 언약적 명령에 신실하게 순종하는 자만이 구원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칼뱅은 예 정론이 인간을 기계처럼 만들지 않고, 인격을 가진 하나님의 형상으로 바르게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교리임을 바르게 보여주었다. 바빙크에게 언약은 예정이 실현되는 방식이다. 그는 하나님께서 영원한 예정이 시간 속에서 언약의 모습으로서 실현되게끔 하신 까닭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자율성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라고 주장한다. 또한 바빙크는 언약이 언제나 유기체적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언약의 테두리 내에서 살아가는 모든 성도들은, 성도들끼리 그리스도의 한 몸을 이룰 뿐아니라, 이 사회와 인류 역사 속에서 다른 모든 사람들과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살아감을 바빙크는 강조하였다. 따라서 모든 언약의 백성들은 교회와 가정과 일터와 모든 삶의 자리에서 언약적으로 신실한 삶을 살아감으로써, 언약적축복이 모든 사람과 세상으로 흘러가도록 할 의무가 있다. 이렇듯이, 예정이 언약의 옷을 입고 나타난다고 보는 개혁신학은, 하나님의 작정이 우리의 전체 삶을 은혜 속에서 주어진 선물이자 사명으로 보도록 격려하고 있다. This essay means to explain how the Reformed doctrine of divine election is related to the doctrine of covenant in the theologies of John Calvin (1509-1564) and Herman Bavinck (1854-1921). Calvin is convinced that the covenant of grace is monopleuric in its origin, but dipleuric in its fulfillment. The covenant of grace has its origin only in the undeserved grace of God. Once established, however, the covenant imposes mutual obligations on bothGod and the believer. The covenantal obligations are “conditions” of salvation in a sense. These conditions are real, but not meritorious. For Bavinck, the covenant of grace describes the road by which elect people attain their destiny; it is the channel by which the stream of election flows toward eternity. The covenant of grace is unilateral in its initiation and bilateral in its continuation. Bavinck also argues that the covenant of grace reminds us of the organic unity of the church. Both Calvin and Bavinck argue that all covenants are the covenant of grace because only God`s grace makes the life of covenant start and continue. Both of them, however, insist that the covenant also involves the serious and significant responsibility of the believer. The doctrine of covenant thus marvelously stands with the doctrine of election in the Reformed theologies of Calvin and Bavinck.

      • KCI등재후보

        공공신학 교육을 위한 교본으로서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참된 신자의 신앙고백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공적 영역에서도 드러나야 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의 주류를 이루는 장로교는 성경적이며 일관성 있는 공공신학적 교본을 갖지 못한 상태이다. 그 결과 성도의 공적 삶에 대한 책임성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본 논문은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이 성도의 공공신학적 삶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교리문답은 공공신학의 목적, 방법론, 내용 등에 대한 많은 함의들을 제공해 준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이웃 사랑의 실천이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방법론은 성경을 토대로 하되 본성의 빛을 참조하는 것이며, 세상의 죄를 지적하는 것이며, 공동체적으로 협력하여 공적 참여를 진행하는 것이며, 종말의 빛 아래에서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다. 특별히 대교리문답의 십계명 해설 부분에서 공공신학적 의제들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 대교리문답은 성인 신자들의 교육을 위해 작성되었으므로 십계명의 각 계명들을 성인 신자의 공적 생활을 위해 매우 자세하게 기록해 놓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회는 대교리문답을 공공신학을 위한 교본으로 삼아 가르침으로써, 이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보다 윤리적으로 살아가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faith of true Christians should be confessed not only in their personal life but also in their public life. Howeve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which are the majority of the Protestant group in Korea, do not have a biblical or consistent manual for public theology. They do not know clearly, as a result, how to teach the believer for public life, al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it. This essay attempts to show that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can be an excellent manual for the public life of the believer. The Larger Catechism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methodology, and agendas of public theology. According to it, the purpose of public theology is the practice of love of neighbors for the glory of God. The methodology of public theology has to do with four points: (1) its foundation should be the Scriptures, although it can refer to the light of nature; (2) its praxis i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the sinfulness of this world; (3) it should be don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hurch members; and (4) it makes the believer more humble in light of the eschaton that the Lord alone can fulfill. The Larger Catechism’s explanation of the Ten Commandments offers various practical agendas for public theology since it was made for the education of adult believers. Thus, the church can help believers live a more ethical life by teaching them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as a manual for public theology.

      • KCI등재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우병훈(Byoung Hoon Wo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7 No.-

        Luther’s conception of “universal priesthood” played a major role i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church. His thought, however, was misunderstood in many ways among modern scholarship. This essay aims to show the development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and in so doing it will unpack various meanings of the doctrine. In his three major 1520 works,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Luther formulated the doctrine through a provocative exegesis of important scriptural verses such as 1 Peter 2:9 and 1 Corinthians 14:29. His view, however, was changed through his experience of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Thomas Müntzer and the “Zwickau prophets” used violence to defend their opinions, and the German Peasants’ War resulted in a great massacre. Then Luther clearly saw the ignorant cruelty of lay people and toned down his previous doctrine on universal priesthood. Luther abandoned or changed the main points of his exegesis of the scriptural verses that he endorsed for the doctrine in 1520. He argued that ministers of the word can be ordained not by lay people but by the national church, that only those who are formally ordained can preach the word of God, and only preachers can judge the sermons of other preachers. It is certain that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was altered in many respects by the end of the 1520’s. In sum, one can get the true meaning and implication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better through this historical perspective. Luther’s conception of “universal priesthood” played a major role i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church. His thought, however, was misunderstood in many ways among modern scholarship. This essay aims to show the development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and in so doing it will unpack various meanings of the doctrine. In his three major 1520 works,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Luther formulated the doctrine through a provocative exegesis of important scriptural verses such as 1 Peter 2:9 and 1 Corinthians 14:29. His view, however, was changed through his experience of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Thomas Müntzer and the “Zwickau prophets” used violence to defend their opinions, and the German Peasants’ War resulted in a great massacre. Then Luther clearly saw the ignorant cruelty of lay people and toned down his previous doctrine on universal priesthood. Luther abandoned or changed the main points of his exegesis of the scriptural verses that he endorsed for the doctrine in 1520. He argued that ministers of the word can be ordained not by lay people but by the national church, that only those who are formally ordained can preach the word of God, and only preachers can judge the sermons of other preachers. It is certain that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was altered in many respects by the end of the 1520’s. In sum, one can get the true meaning and implication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better through this histor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