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조직 리더십과 근로자의 WLB(Work-Life Balance)에 관한 연구: 기업과 공무원 조직을 중심으로

        왕서혜,박상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中國硏究 Vol.77 No.-

        The attention of Chinese laborers to the work-life balance (WLB) is increasing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at means in order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th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On the one hand, because of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enterprises, Chinese enterprise laborers are faced with the imbalance of work pressure and working life. On the other hand, Chinese civil servants have been under concern for their professional advantages and images such as “iron rice bowls” – means a stable job. Under this circumstance, the research not only analyzes causality among three variables such as the leadership, the WLB supporting climate and WLB awareness, but also study the mediating effect, taking the Chinese enterprise laborers and civil servants as the research object as well as aiming for a comparative study of two organization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adership, the WLB supporting climate and the WLB perception within the organization of enterprises and State organs. Compared with civil servants, business workers have difficulty in enjoying the relevant assistance of WLB in the organization and this state leads to the problem of uneven working life. Second, leadership’s balanced processing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to WLB supporting climate both in enterprises and state organs. However, a negative impact of scheduling flexibility supporting climate on the organization is led by leadership’s inspirational motivational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the charisma of a leader in public employee groups. Finally, it can be proved that the WLB supporting climate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WLB perception. 급변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중국 내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WLB 지각 향상을 위한 조직의 리더십 및 분위기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편 기업 간 치열한 경영 환경에 따라 중국 기업의 근로자들은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불균형을 겪고 있는 반면 중국 공무원들은 유리한 대우 및 ‘철 밥그릇(铁饭碗)’ 이라는 이유로 호감을 얻고 있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기업의 근로자 및 공공기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WLB 지각에 관한 비교 연구를 하는 것을 목적이다. 리더십, WLB 지원분위기, WLB 지각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WLB 지원분위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WLB 지원분위기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기업 근로자와 공무원 간 리더십, WLB 지원분위기, WLB 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보다 기업 근로자가 WLB에 관한 지원을 받기 힘들어 보이며, 일과 삶의 불균형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균형정보처리 및 개별배려가 WLB 지원분위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에서의 동기부여와 공무원조직에서의 카리스마리더십이 일정유연성 지원분위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이 WLB 지각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WLB 지원분위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기업과 공공기관에 있어서, 리더십이 WLB 지원분위기를 형성하게 하고 구성원들의 WLB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기업가 정신과 창업의식에 대한 연구 -기업가적 특성/역량, 태도/인식, 성과를 중심으로-

        왕서혜,박상수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9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Ability,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of China through previous studies on entrepreneurship.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ility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We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ility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planning). In addition, as a preliminary evaluation considering the traditional business culture of China,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ix regions ranked among the top 6 in China Area Innovation Capacity Assessment Report(Guangdong, Beijing, Jiangsu, Shanghai, Zhejiang, Shando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And also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planning). In other words,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Ability not only affect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bu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tual experience and planning of entrepreneurship. On the other hand, the entrepreneurship of the above-mentioned six region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Shanghai has the highest average among the top 6 innovation areas. On the contrary, Shandong province ranked 6t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in (China Area Innovation Capacity Assessment Report 2018).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정신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 중국의 기업가 적 특성과 역량, 기업가적 태도와 인식 등에 대한 구성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업가적 특성과 역량이 기업가적 태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또한 기업가적 특성 및 역량이 기업가적 성과(창업경험 및 창업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아울러 전통적인 중국의 지역별 비즈니스 문화(商帮文化)를 고려한 사전적 평가의 의미로서 중국내 지역별 혁신능력평가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6개 지역(광동, 베이징, 장쑤, 상하이, 저장, 산동)의 기업가 정신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보면 개인의 기업가적 특성과 역량, 태도와 인식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적 성과(창업경험 및 창업계획)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의 기업가적 특성과 기업가적 역량은 기업가적 태도와 인식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창업에 대한 실제경험과 계획에 있어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술한 6개 지역의 기업가 정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다만 평균값에 있어서는 상위 6개 혁신지역중 상하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산동성은 중국의 지역 혁신능력 평가보고서(中国区域创新能力评价报告2018)와 같은 6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중국기업 내 세대차이에 따른 세대갈등(代际冲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 차이를 중심으로 -

        왕서혜,박상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1 No.4

        Many younger generation workers in China, who have new values and cultural traits, have caused many communication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existing workers in the organization of their companies. Thus, it is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s and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for the formation of employee efficiency and the continuous and wholesome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This study surveyed workers of Chinese companies to verify the effect of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on turnover intention. And it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control relations with generation gap, generational conflicts, and turnover intention, using a competing values model of organizational culture (Cameron & Quinn). The aims of the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t organizes characteristics of values of each generation that have been found out by previous research. And then, it sets up variables of generation gap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m by age. Secondly, it examines the effect of generation gap o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and analyzes the effect of generation gap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t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control relations with generation gap, generational conflicts, and turnover intention. Fourth, it tries to find out the ways to manage manpower to reduce generational conflicts and unify them. I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existed generation gap in Chinese companies. Values of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and humanism were increased as age was higher. And values of individualism, egalitarianism, and materialism were increased as age was lower. Secondly, as preferences for values of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became higher, generational conflicts were getting worse and worse. However, values of egalitarianism could decrease the conflicts. Third, like the current condition of Chinese society, turnover intention of young workers, born in 90s, were higher than that of older workers, born in 60s to 80s. Fourth, compared to adhocracy culture and clan culture, in hierarchical culture and market culture, which focus on stability and control, more variables of generation gap could have an impact on generation conflicts. Fifth, in every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ship conflicts could affect seriously on turnover intention. It means that “guānxì (關係-relationship)”culture in China is very influential. 본 연구에서는 중국 기업 내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대차이에 따른 세대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의 경쟁가치모형을 이용해서 세대차이와 세대갈등이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기업 내 세대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주의, 권위주의, 인본주의 가치관은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개인주의, 평등주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연령이 낮은 세대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주의와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세대갈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등주의 가치관은 오히려 세대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의 경우 90년대생(20대) 젊은 직원들의 이직의도가 60, 70, 80년대생(30~50대) 직원들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지향 문화와 관계지향 문화에 비해 위계지향 문화와 과업지향 문화에서 세대갈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든 조직문화에서는 관계갈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중국 특유의 “꽌시(關係)” 문화가 중국기업의 조직문화에서도 그대로 투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기업가 정신과 창업의도에 관한 연구: 5대 신상방(新商幫) 지역, 창업교육, 창업경험을 중심으로

        왕서혜,박상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2 No.-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entrepreneurial personality, entrepreneurial practical competence,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tartup ecological environment in China,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five new commercial group regions (Shandong, South Jiangsu, Zhejiang, Southern Fujian, Pearl River Delta) and the existence of startup education/experienc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examin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tartup experience.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between each of China’s five commercial group regions. In the presenc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the five commercial group regions show higher figures than other regions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meanwhile, it also show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on entrepreneurship. Secondly, on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amount of answering ‘Yes’ in all variables is higher than that of answering ‘No’. In other word, China's current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been indicat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Personality, entrepreneurial practical competence, innovativeness, need for achievement, and opportunity recogni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At the same time, both individual attitudes and social perception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only risk-taking also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respect to actu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risk-taking is the only important determinant. Fourth, in the case of multi-group comparison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path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Personality, entrepreneurial practical competence,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the answer “Yes” is less than answer to “No” in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창업 붐과 관련하여 창업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기업가 정신(기업가적 개인특성/실천역량)’과 ‘창업에 대한 태도와 인식’ 그리고 ‘창업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내 스타트업(Startup) 생태환경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여 중국의 5대 신상방(新商幇) 지역(산동상방, 쑤난상방, 저장상방, 민난상방, 주싼쟈오상방)과 창업교육/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변수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집단 간 경로분석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분석결과를 토대로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신상방 5개 지역의 지역별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창업경험이 있는 경우, 5개 상방지역은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에서 다른 지역보다 높은 수치가 나타나 중국의 전통 상방 문화에 기초한 기업가정신이 드러났다. 창업교육의 경우, 모든 변수에서 창업교육 ‘있음’이 ‘없음’의 수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재 중국의 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기업가적 개인특성/실천역량의 구성요인 중 혁신성, 성취욕구, 기회인식 역량, 대인관계 역량이 창업에 대한 태도/인식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태도와 사회적 인식이 모두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감수성만이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창업의도와 관련하여 위험감수성만이 중요한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집단비교의 경우,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경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업경험 ‘있음’이 ‘없음’보다 기업가적 개인특성/실천역량, 창업에 대한 태도/인식,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가 적게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골퍼의 소비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수,왕서혜 중국학연구회 2016 중국학연구 Vol.- No.76

        The following has its purpose in research delivers baseline data for the growth of healthy golfing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nese golfers by exploring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mmersion of the exercise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Chinese golfers to find out the cause-and-effect relation between them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examination of research hypothesis, I conducted a survey and used the data for empirical testing. The survey’s questionnaire items were made based on the major variables discussed in the former research. For the analysis on the surveys, I used the statistics analysis tool program SPSS 21 and AMOS 22. I conducted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the research, the corporates related to golf seems to believe that using the average tendency of ostentation has a good effect when designing their golfing products and promoting their golf course. Second, by the fact that golfers in an older age range tend to be more immersed in the golf sport, reaching the same eye-level of the older golfers in the service-sector such as designing the golf course and the convenience facilities more correlated to the older aged, serving food, etc. Third, the group in which the age and the income was rather low,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ain reason of the group’s distance from the golf sport was in the financial factor. To reach popularization in a quick session, the price of the golfing should be falling or development in rather cheap golfing facilities such as screen golfing (in progress in Korea) should be conducted. Fourth, between the many factors the factor of jo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immersion of the sport.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golfers participate the sport just for the fun of it. From this point of view, doing something fun and at the same time getting positive results throughout getting healthy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should be enough to be popularized for the sake of the public. Fifth, only the social factor seems to give effect on the cognitive commitment sector which means that people who exercise for their health would rather choose another sport for it being cheaper and more popularized. The people also tend to recognize golf as a more luxurious sport and therefore isn’t as close to it compared to other sports. Changing such stereotypes in a short amount of time is nearly impossible so developing a virtuous circulation where the society that can accept golf as a rather light sport should be more realistic.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스크린쿼터제(Screen Quota System)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박상수,왕서혜,곽락설 한중사회과학학회 202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9 No.2

        With the signing of the policy to increase imported movie screen quota in 2012, a batch of high-tech and highly conceptualized Hollywood movies will flood into the Chinese movie market, which will inevitably bring impacts to the developing Chinese movie industry. At the same time, this competition will also bring new impetus and inspiration to the Chinese movi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ttitudes of Chinese consumers towards the screen quota system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continuous viewing of Chinese movies through studying 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s. For the analysis on the surveys, the statistics analysis tool program SPSS 25 and AMOS 24 are used.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are based 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based on differences analysi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men prefer their national culture and will continue to support Chinese movies. Peopl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prefer foreign cultures and feel that watching foreign movies is beneficial to improve their personal social status. People with high education are more prone to impulse shopping without pla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o go to the cinema to watch Chinese movies in a year, people who like Chinese movies will go to the cinema many times to watch Chinese movies to support Chinese movie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ll the paths in the model are shown to be beneficial. However, only the path of social aggrandizement and attitudes toward the screen quota system is shown to be negative, so it is thought that the screen quota system is not conducive to improving people’s social status. If Chinese movies want to attract more people to watch, they need to improve their production technology and popularity. 본 연구에서는 스크린쿼터와 관련하여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자문화중심주의, 타문화선호주의,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태도, 중국 국산 영화 지속관람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소비자의 충동적 소비성향에 따른 자문화중심주의, 타문화중심주의와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태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에서는 자문화중심주의(애국심, 국수주의), 충동적 소비성향, 지속관람의도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 모두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육수준에 따른 평균값의 차이에서는 자문화중심주의(자문화중심의 위협), 타문화중심주의(사회적 지위확대, 숭외주의), 충동적 소비성향 변수에서 대학원 이상의 학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최근 1년간 중국 영화 관람횟수에 따른 평균값의 차이에서는 애국심, 국수주의,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태도, 지속관람의도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국심과 스크린쿼터에 대한 태도의 경우 4-6회에서, 국수주의와 지속관람의도에 있어서는 10회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문화중심주의(애국심, 국수주의, 위협, 반사성)와 타문화중심주의(사회적 지위확대, 숭외주의) 변수 모두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반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위확대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중국 국산 영화 지속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비자의 충동적 소비성향은 반사성, 사회적 지위확대, 숭외주의와 스크린쿼터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 시민의 외지인 포용성에 대한 연구

        왕신희,박상수,왕서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2

        China has a vast territory, geographical differences and diverse natural and human geography. However, the growing population and increasing migration of people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phenomenon in the past twenty years. We have to note that while “the pride of hometown has increased”, the issue of regional discrimin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Beijing/Shanghai locals perceive non-indigenous residents and the overall inclusiveness of the two cities, in hope to impel respect for the environment of various social groups, avoid oversimplification or stereotype of specific regional groups, and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inclusiveness in Beijing/Shanghai.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Shanghai has a higher recepivity of non-indigenous residents than Beijing. The older showed that dislike to inclusive the non-indigenous residents. In the meanwhile, education has been indicat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recepivity. Secondly,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only economic employ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on-indigenous residents image. In addition, social infrastructur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pivity, exclusivity, non-indigenous residents image and acceptance intention are Shanghai is less than Beijing. But in the case of Shanghai, the higher the image of non-indigenous residents,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s the acceptance intention. 본 연구에서는 외지인이 가장 많이 집중되고 있는 중국의 대표도시인 베이징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외지인에 대한 현지 원주민(라오(老) 베이징/라오(老) 상하이)의 포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역 내 포용성과 관련하여 포용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Pull:수용성(경제취업, 사회인프라, 생활환경)’과 ‘Push:배타성(반경제취업, 반사회인프라, 반생활환경)’ 그리고 ‘외지인 이미지 및 포용의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서로 상이한 두 도시에 대해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집단 간 경로분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라오(老) 베이징 vs 라오(老) 상하이의 경우, ‘Pull:수용성’ 요인 중 경제취업 및 사회인프라에서 라오(老) 상하이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Pull:경제취업’(베이징&상하이), ‘Pull:사회인프라’(베이징&상하이), ‘Pull:생활환경’(상하이) 및 ‘Push:반 생활환경’(상하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학력의 경우, 라오(老) 베이징과 라오(老) 상하이에서 학력이 높아질수록 외지인에 대한 ‘Pull:경제취업’(상하이)과 Pull:사회인프라(상하이), ‘Pull:생활환경’(상하이), ‘포용의도’(베이징&상하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경우에서도 ‘Pull:경제취업’(베이징&상하이), ‘Pull:사회인프라’(상하이), ‘외지인이미지’(베이징) 및 ‘포용의도’(베이징&상하이) 등에서 라오(老) 베이징과 라오(老) 상하이의 학생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의 경우, 라오(老) 베이징과 라오(老) 상하이 모두 소득이 높을수록 외지인에 대한 수용성(Pull)과 ‘포용의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Pull:수용성’(경제취업, 사회인프라, 생활환경)과 ‘Push:배타성’(반 사회인프라, 반생활환경)이 외지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Pull:경제취업’만이 외지인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ll:수용성’(경제취업, 사회인프라, 생활환경)이 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Push:배타성’(반사회인프라, 반생활환경)이 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Pull:수용성’(경제취업, 사회인프라, 생활환경)이 외지인 이미지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지인 이미지가 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지인 이미지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라오(老) 베이징 vs 라오(老) 상하이의 다중집단분석 결과에서도 ‘외지인 이미지→포용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소비특성이 친환경 자동차 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혁신추구와 친환경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소령,박상수,왕서혜 중국지역학회 2020 중국지역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ntion to use environmental friendly cars by Chinese consum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 factor(functionality, economic efficiency), social factors(government benefits, social image), perceived use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aking consumer’s personal factors(innovation seeking, environmental awareness) as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collected 318 survey data from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wenjuanxing’ in Chin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hir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is the main result. First, it can be seen that age group under 20s has a higher receptivity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and people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environmental friendly cars have high innovation seeking and environmental awareness. Seco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government benefits and social image posi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government benefit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In addition, only the functional and social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Third, between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innovation seeking has the regulating effect, and between thee government benefit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has the regulating effect.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자동차와 관련하여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 지각된 유용성, 소비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소비자의 혁신추구 및 친환경의식에따른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른차이 분석결과에서는 8개 변수 중 기능성, 경제성 등 7개 변수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사실은 지각된 유용성을제외한 다른 변수에서 모두 20대 이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친환경 자동차 경험의 경우 정부혜택, 혁신추구, 친환경의식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 ‘있음’의 평균값이 ‘없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과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분석결과를 보면, 기능성을 제외한 경제성, 정부혜택, 사회이미지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정부혜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유용성은 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제품요인과 사회요인이 종속변수인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기능성과 사회이미지 두 변수 만이 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소비자의 혁신추구 및 친환경의식의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추구에 따라 경제성이 지각된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의식에따라 정부혜택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공유교통 플랫폼에 대한 앱 사용감과 실제 사용감에 관한 연구 -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설위,박상수,왕서혜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3

        At present, China has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to shared economic services, but the research on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using app and actual services in shared economic traffic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transportation sharing platform, transportation sharing image, social trust and the reuse intention. And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using app and actual services in transportation sharing platform are measured and analyzed. The survey shows that in the intention to use of the transportation sharing platform, no matter in application software or in actual use, the better its characteristics are convenience, interaction, price rationality and security, the better consumers' understanding of transportation sharing imag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 of transportation sharing platform and the intention of reuse,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portation sharing image has a mediation effect. In other words, the transportation sharing image plays a core role in the reuse intention. However, between the transportation sharing image and the intention of reuse, only the institutional trust has the regulating effect.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chinese consumers place an emphasis on social trust. 중국은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공유교통 플랫폼에서의 앱 사용감과 실제 서비스 사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선 공유교통 플랫폼의 특성, 공유교통 이미지, 사회신뢰 및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 공유교통 플랫폼에 대한 앱 사용감과 실제 서비스 사용감 간의 거리감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공유교통 플랫폼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앱 사용이나 실제 사용감 모두 편의성, 상호작용성, 가격합리성 및 안전성이 더 높을수록 공유교통 이미지는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유교통 플랫폼의 특성과 재 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 공유교통 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공유교통 이미지와 재 이용의도 사이에서는 사회신뢰의 하위요인인 타인신뢰와 제도신뢰 중 제도신뢰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중국 영유아 보육위탁 교육시설(어린이집)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옥,박상수,왕서혜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영유아 어린이집의 교육시설, 교육교사, 교육 프로그램, 운영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서비스 수준 및 학부모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중성 요인만 제외한 다른 요인들 모두가 어린이집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중성 요인과 운영요인인 대응성이 부모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부모 만족도에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사실은 부모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지각된 가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위탁 신뢰도의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교육 프로그램 요인 중 적합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집단 간 경로계수의 유의성 및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집단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두 집단에서 ‘전문성→지각된 가치’, ‘정중성→지각된 가치’, ‘대응성→지각된 가치’, ‘정중성→부모 만족도’, ‘지각된 가치→부모 만족도’까지 총 5개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