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재건술

        김양수(Yang-Soo Kim),옥지훈(Ji-Hoon O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재건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적 복원술의 임상결과 향상으로 개방적 수술보다 관절경적 수술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고 점차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관절와의 골 결손이 있는 경우 골 결손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며 관절경적 복원술의 방법 또한 지속적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결과: 골 결손의 관절경적 재건술 중 방카르트 병변의 이열 봉합술은 일열 봉합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과 해부학적 복원을 위해 최근에 소개되었으나 앞으로 많은 증례와 장기간 추시를 통해 그 결과가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절경을 이용한 오구돌기 이전술, 즉 Bristow-Latarjet 술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결론: 전방 불안정성 환자의 관절경적 치료 방법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 전 환자의 골 결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치료와 연관된 술 중, 술 후 요소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Purpose: We reviewed arthroscopic reconstruction among the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a bony Bankart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Although open Bankart repair has long been considered the optimal surgical management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dvancements in arthroscopic techniques have led to a recent shift to arthroscopic Bankart repair. However, for cases of a glenoid bony defect,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various methods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bony defect. Results: The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y Bankart reconstruction continues to evolve and various methods have follow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ngle fixation of a Bankart lesion, arthroscopic dual fixation (2 point fixation) has recently been tried to anatomically repair and restore the rigid fixation of a bony fragment. The concept of performing the Bristow-Latarjet transfer procedure under arthroscopy has also recently emerged. However, a large series of cases and long term follow up are required to prove the better results. Conclusion: To obtain a successful outcome for patients with anterior instability with a glenoid bony defect, it is imperative that the surgeon be aware of the accurate status of the bony defect and the intraoperative, postopera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per treatment of this unstable pathology.

      • KCI등재후보

        조기폐경 환자에서의 호르몬 치료에 대한 순응도 분석

        이희숙 ( Hee Suk Lee ),옥지훈 ( Ji Hoon Ok ),김주명 ( Joo Myung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조기폐경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기 폐 경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호르몬 치료에의 순응 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갱년기 증상을 보이고, 적어도 1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혈액검사상 난포자극 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치가 40 I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서 저에스트로겐 혈 증을 보이는 환자 중 40세 이하의 여성 총 1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특성 및 치료 순응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폐경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2 ± 5.2세, FSH 의 평균값은 78.8 ± 28.8 IU/L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무월경 또는 희발월경이었다. 조기폐경 환자 중 88명은 결혼한 상태였으며 이들 중 22명은 불임으로 내원하였다. 조기폐경의 대부분은 원인미상이었고 (54.8%), 의인 성 원인에 의한 조기폐경이 30.2%로 나타났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절반 이하인 61명에 불과하였으며, 유방암이나 간 기능 이상, 임신을 위한 배란유도제 사용 등으로 11명의 환자에서는 호르몬 치료를 시작하지 않았다.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단지 37명 (60.5%) 만이 치료 시작 1년 후 추적관찰 되었다. 결론: 조기폐경 환자들에게 충분한 정서적인 지지와 향후 임신 여부에 대한 상담 및 조기폐경 이후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교육을 통해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순응 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and patients` compliance with hormonal treatmen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26 patients diagnosed with POF was selecte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clinical, eti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complia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of diagnosis was 33.2 ± 5.2 years. The mean value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was 78.8 ± 28.8 IU/L.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54%). Eighty-eight patients were married and 22 of them visited our clinic due to infertility. The most common etiology was unknown (54.8%) and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was iatrogenic (29.4%). Only 61 patients underwent hormonal treatment (48.4%). The remaining 11 patients did not undergo hormonal treatment due to other medical conditions such as breast cancer or liver disease; however, they were followed-up regularly (8.7%). Among the treatment group, only 37 patients were followed-up over a period of 12 months (60.7%). Conclusion: About half of the women diagnosed with POF did not accept their own problems and therefore delayed essential treatment. Clinicians should educate the importance of early treatment for preventing degenerative changes.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87-92)

      • KCI등재후보

        8세 이상 발달성 고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옥인영(In-Young Ok),김석중(Seok-Jung Kim),고인준(In-Jun Koh),옥지훈(Ji-Hoon O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목적: 8세 이상의 발달성 고관절 탈구에 대한 치료로서 관혈적 정복술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8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발달성 고관절 탈구 중 완전탈구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자 중 8세 이상인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혈적 정복술이 실패한 1명을 제외하고, 13명의 환자에서 관혈적 정복술과 함께 대퇴골 단축술, 근위 대퇴골 내반, 회전 절골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보다 나은 비구 내 유치를 위하여 5예에서 Chiari 절골술을 시행하였다. 1명의 환자는 대퇴골 단축술 없이 관혈적 정복술과 함께 근위 대퇴골의 내반 및 회전 절골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환자의 평균 나이는 13.1세(범위: 8-23세)였으며, 재탈구 된 1예를 제외한 나머지 12예의 평균 추시 기간은 9.1년 (범위: 1-22년)이었다. 모두 완전 탈구로 좌측이 6예, 우측이 5예, 양측이 3예였으며,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결과: 12예는 관혈적 정복에 성공하였으며, 1예는 수술 중 정복에 실패하였고 다른 1예는 수술 후 추시 기간 중 재탈구되었다. 11예에서 정상에 가까운 관절 운동 영역을 얻었으며, 이 중 5예는 파행과 동통이 없는 정상 보행을 하였고, 3예는 약간의 파행 소견을 보였다. 나머지 4예는 하지의 길이가 맞지 않아 파행이 생긴 경우로, 이 중 1예는 대퇴골 연장술을 시행하여 파행이 소실되었다. 실패한 2예를 제외한 나머지 12예의 최종 추시 검사상 Harrs 고관절 점수는 평균 94.6점이었으며 우수 9예, 양호 3예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8세 이상의 발달성 고관절 탈구의 치료로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an open reduction in DOH for the patients 8 years and older.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older than 8 years and diagnosed with DOH were treated by an open reduction, femoral shortening, and varus derotational osteotomy, combined with or without a Chiari osteotomy from August, 1981 to November, 2002 However, one patient was treated without femoral shortening.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besides the 2 patients of failure at the time of surgery was 13.1 years (range 8-23),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9.1 years (range 1-22 years). There were 6 cases of left side involvement of DOH, and 5 cases of right side involvement, while the remaining were both sides. One case was male and the others were female, and all hips were dislocated completely. Results: One hip out of 14 patients was not unreduced intraoperatively. One hip showed a redislocation during the follow up period. Eleven patients gained almost the full range of motion of the affected hip except for one patient. Five out of the 12 patients showed a normal gait without limping and pain, and 3showed a slight limping gait but was much improved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state. Four patients showed a limping gait due to a leg length discrepancy, and the limping gait of one patient was corrected by femoral lengthening. The average Harris hip score among the patients except for 2 cases of failure was 94.6. Nine patients were excellent and 3 patients were good. Conclusion: A neglected DDH should be treated positively Because a functionally good hip joint can be obtained after an open reduction of a developmentally dislocated hip, even after the age of 8.

      • KCI등재

        흔히 접하는 어깨질환

        김양수 ( Yang Soo Kim ),옥지훈 ( Ji Hoon Ok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1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8 No.1

        There are various different conditions that can lead to shoulder pain. The most common cause is rotator cuff disease, including impingement syndrome and rotator cuff tear. For satisfactory treatment outcom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y of rotator cuff disease and the treatment method must be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Frozen shoulder and calcific tendinitis are also common causes of shoulder pain. Because of self-healing abilities of these diseases, the treatment may be passive and neglected. However, without proper management, complications can remain, such as stiffness and pain. Even though various conservative treatments have yielded satisfactory results,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f these have failed.

      •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 대한 혈관부착 비골 이식술 후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소견

        이기행,김윤수,이해규,옥지훈,김배균,김형민,Lee, Kee-Haeng,Kim, Youn-Soo,Lee, Hae-Giu,Ok, Ji-Hoon,Kim, Bae-Kyun,Kim, Hyoung-Min 대한미세수술학회 2004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3 No.2

        Purpose : To observe the patency of anastomosis site and the findings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in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treated with vascularized fibular graft by use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17 case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vascularized fibula graft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We performe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for them at second week postoperatively in 12 cases, at sixth week in 1 case, at sixth month in 2 cases, at twelfth month in 1 case, and eighteenth month in 1 case which had been got DSA at second week before. We observe the patency of pedicle, and the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such as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with time. Results : All cases except one which were thought failure of selective angiogram showed good passage of blood flow through anstomosed pedicle on DSA. We found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with time. DSA at 2nd and 6th week postoperatively revealed both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and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DSA at 6th month showed maintenance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but did not clearly reveal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The findings of DSA at 12th and 18th month were similar each other. The periosteal vessels were not seen as the grafted fibular bone were incorporated into surrounding femoral bon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Conclusion : It was thought that DSA could be used for evaluation of the status of pedicle including anastomsed site and vessels of grafted fibula with time. The periosteal vessels of fibula were decreased with tim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until 18th month after vascularized fibula graft.

      • 자가 골수 기질 세포 이식을 이용한 장관골 양성 골 병변의 치료

        이승구,강용구,김용식,박원종,정양국,김형준,옥지훈,Rhee, Seung-Koo,Kang, Yong-Koo,Kim, Yong-Sik,Bahk, Won-Jong,Chung, Yang-Guk,Kim, Hyoung-Jun,Ok, Ji-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1

        목적: 골수에서 분리한 기질 세포를 단독으로 또는 동종 망상골과 함께 이식하여 치료했던 양성 골 병변 소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한 치료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 이래 장관골 양성 골 병변에 대해 병변이 작거나 소아여서 소파술과 함께 자가 골수 기질 세포를 단독으로 이식하였던 2명 3례와, 자가 골수 기질 세포와 동종 망상골 이식을 병행하여 치료하였던 6명 6례 등 총 8명 9례를 대상으로 수술 후 임상증상의 해소, 신생 골 형성 및 주변 정상골과의 유합 과정을 추시하였다. 남자가 6례, 여자가 2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24세(8세~47세)였다. 조직학적 진단은 섬유성 골 이형성증이 5례로 많았고, 단순 골 낭종 2례, 연골모세포종과 섬유성 피질 결손이 각각 1례씩 이었다. 수술 후 평균 추시기간은 16.3개월(3개월~84개월) 이었다. 결과: 수술 전 병소 부위에 통증을 호소했던 4례 모두에서 술 후 2주 이내에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수술 후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 상 약 4주경부터 병변 부위에 신생 골 형성이 관찰되고 약 8주경에는 골 결손 부위가 신생 골로 충전되고 주변 정상골과 유합된 소견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례에서 술 후 3주에 병소 부위를 통과하는 골절이 발생했으며, 단순 골 낭종 1례에서 술 후 5개월에 병소가 재발하였다. 결론: 장관골 양성 골 병변에 대해 소파 후 골수에서 분리한 골수 기질 세포를 단독으로 또는 동종 망상골과 함께 이식할 때 빠른 치유과정을 보여, 비록 단 기간의 추시 결과이기는 하나 골수 기질 세포 이식술이 향후 골 낭종이나 양성 골 병변의 치료에 크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골 낭종 수술 후 재발 원인은 낭종내벽 섬유조직의 불완전 소파의 결과로 보이며, 골절 발생 가능성이 높은 대퇴골 전자간 골 낭종 등에 대하여는 금속판 등을 이용한 예방적인 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 of autologous bone marrow stromal cell transplantation with or without cancellous chip bone allograft for benign long bon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Since July 1996, eight benign bone lesions treated by curettage, cancellous chip bone allograft and bone marrow or marrow stromal cell transplantation were observed for resolution of clinical symptoms, new bone formation and consolidation. There were 6 males and 2 females. Average age was 24 (range 8 to 47) years old. Histologic diagnoses were 5 fibrous dysplasia, 2 simple bone cysts and one chondroblastoma and fibrous cortical defect each. Mean follow-up period was 16.3 (range 3 to 84) months. Results: In all four symptomatic patients, the pain was subsided in two weeks after surgery. New bone formation in the lesion was observed at 4 weeks, which incorporated into surrounding normal bone around 8 weeks. There were one pathologic fracture through the lesion at 3 weeks and one recurrence of simple bone cyst at 5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 Bone marrow or marrow stromal cell transplantation for bone defects from curettage of benign bone lesions, with or without cancellous chip bone allograft revealed rapid healing. Though it was the result of short-term follow up, it supports that bone marrow stromal cell transplantation will be ver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benign long bone cysts or other lesions. The complete curettage of inner cystic wall is important to prevent later recurrence, and the rigid internal fixation is also needed in selected high risk lesions of fracture.

      • KCI등재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 후 발생한 희귀 병합임신 2예

        조혜진 ( Hie Jin Cho ),박수진 ( Soo Jin Park ),옥지훈 ( Ji Hoon Ok ),최종렬 ( Jong Ryeol Choi ),김태균 ( Tae Gyun Kim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2

        Heterotopic pregnancy has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 rare event; however, with the us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e incidence of heterotopic pregnancies is increasing. Early diagnosis of heterotopic pregnancy is often difficult because clinical symptoms and signs are not specific. We experienced two rare cases of heterotopic pregnancy following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First case was the triplet pregnancy, which was combined one intrauterine pregnancy and two extrauterine pregnancy in bilateral tube. Second case was the unruptured heterotopic pregnancy by midtrimester, which had not any symptom and was diagnosed by ultrasound. We report two cases of rare heterotopic pregnancy following fertilization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경부근종혈관 파열로 오진된 비임신 여성의 자궁동맥 자발성 파열

        박수진 ( Soo Jin Park ),박병섭 ( Byung Seob Park ),전성욱 ( Sung Wook Chun ),지용일 ( Yong Ii Ji ),옥지훈 ( Ji Hoon Ok ),김태균 ( Tae Gy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7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uterine artery was very rare, and they would be A Potentially Catastrophic events, Most of the cases have been found among woman in their pregnancy or puerperium, we report here the first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uterine artery in a non-pregnant woman in Korea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