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산 충적퇴적층 지역의 천부지질조사를 위한 S파 반사법 탐사

        신성렬,김진욱,옥수종,한원태,이용조,이창원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5

        This paper illustrates the feasibility of using S-wave reflection method for mapping of near-subsurface geologic structure. Numerical modeling method was tested for the horizontal two layered model using P-wave reflection method and S-wave reflection method. Synthetic seismograms of P-wave reflection model were difficult to produce due to its long wavelength and dominated surface waves. However, the S-wave reflection method provided a very simple synthetic seismogram. High-resolution S-wave reflection method was carried out at the area of the Yangsan alluvial area. The aim of this method was to detect and map geological structure and bedrock for the design of civil structures. Stacked section was achieved with improved image of near-subsurface structure using S-wave reflection method. SH-wave was generated by impacting an excavator. Seismic reflection data was recorded using a 24-channel seismograph. Comparison between the stacked section and section of borehore near the survey area shows good correction. S-wave reflection method is very effective in imaging geological interface. S-wave reflection method can be essential for the higher resolution images. 본 논문에서는 S파 음원을 이용한 반사법 탐사의 천부지질조사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탄성파 수치모델링으로 P파 및 S파 음원에 대한 반사법 탐사 자료를 획득하였다. 합성탄성파 기록에서 P파 반사법은 긴 파장과 표면파로 인하여 반사파 이벤트가 잘 구분되지 않은 반면 S파 반사법에서는 보다 명료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모델링 자료에 대한 분석을 거쳐 양산 충적퇴적층 지역에서 S파 음원을 이용한 반사법탐사를 수행하였다. 24채널의 탄성파 탐사기가 사용되었으며 굴삭기를 이용하여 SH파를 발생시켰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4개 공에 대한 시추조사를 병행하였다. 반사법 탐사 자료의 전산처리 결과 시추자료와 부합하는 고해상도의 반사단면을 획득하였다. BH-2, BH-3의 시추자료에서 기반암의 심도는 각각 47 m, 38 m이었다. 두 개의 시추공에 인접한 탐사 측선의 최종 중합단면도에서는 각각 45~50 m, 37~42 m 지점에서 기반암의 강한 반사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 S파 반사법 탐사는 기반암의 경계면과 지질구조를 정밀하고 높은 해상도로 영상화시키므로 천부지질조사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천해저 지반조사에서 탄성파 음원의 주파수 특성 사례연구

        신성렬(Sungryul Shin),김진욱(Jinwook Kim),김태석(Taeseok Kim),옥수종(Soojong Ok),하영수(Youngsoo Ha)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4

        Seismic source frequency and power play a very important roll in determining penetration depth and resolution. A suitable sourc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geologic condition, project purpose and survey environment. In shallow marine site survey at some local area obtained by high and low frequency source in order to identify and investigate sediment's distribution and geologic structure, we examined and reviewed lots of seismic data. For data acquisition, Quad-Pulser, SBP and Dual-Boomer were used as a source and single channel streamer as a receiver. In our study,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by SU(Seismic Unix) widely used in 2D seismic data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