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과 효용성 분석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2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for young college graduates, diagnosed the effectiveness and fairness of qualification as a recruitment tool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econometric analysis method, I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ly, college graduat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qualifications and decreasing the number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the main purpose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was employment. Secondly, I was not able to fin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youth qualifications acquisition and this means that qualific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fair recruitment tools in general. In addition, based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qualification holders, qualifications also served as a increasing factors for qualification holders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qualification was considered as a fair and effective recruitment tool for young college graduates.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overall qualification system,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such as effectiveness evaluation tools by qualifications, developing credential information on qual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on qual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 대졸자의 자격취득실태를 분석하여 자격의 효용성과 채용도구로서의 공정성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이하 GOMS)」 3개년도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항로짓분석, 다항로짓분석, 순서형 로짓분석 등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청년층의 자격취득은 자격유형별로 민간자격의 증가, 국가기술자격의 감소라는 특징을 보였고, 주된 자격취득 목적은 취업으로 나타났다.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 이슈와 관련하여 가구소득과 청년층의 자격취득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자격은 대체로 공정한 채용도구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자격보유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초한 자격의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효용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자격이 채용도구로서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부개입을 통해 자격제도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자격 종목별 효용성 평가, 자격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규모별 직업훈련 격차 연구

        오호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3

        The provision of vocational training to their employees of small & medium enterprizes is below the level of training provided by the large firms. Certain characteristics by firm size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source of training provision gap to their employees by firm size. This study aims to estimating the training provision gap by firm size and figure out the main cause of the gap based on Oaxaca decomposition method using the Balanced Panel Data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from 3rd wave(2009) to 7th wave(2017). Based on the panel logit, panel Tobit estimation method and Oaxaca decomposition method, I have foun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ly, there exists significant training expenses gap per employee by firm size but no significant training opportunity gap by firm size measured by wether firms are giving training opportunity to their employees or not. Secondly, various firm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effects on firms training expenses per employee by firm size. Labor un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ME’s training expenses per employees but no significant effect for large firms. Lastly, the difference in training expenses per employee between SMEs and large fims are decomposed to find out the cause of training expenses gap. Difference in training expenses per employee due to the level difference in firm characteristics by firm siz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but difference in estimated coefficients for firm characteristics by firm size has an important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이하 HCCP)의 기업조사 균형패널 데이터(Balanced Panel Data)를 사용하여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훈련격차의 원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패널로짓모형(Panel Logit Model), 패널토빗모형(Panel Tobit Model)을 적용하고 기업규모별 훈련격차 요인분해를 시도한 결과, 근로자 1인당 훈련비용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근로자 1인당 훈련비용 격차 요인분해 결과, 훈련제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존자원에서는 기업규모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의 훈련투자 성향이 유의하게 높은 특징을 보였다. 기업규모별 훈련격차 극복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인적자본투자에 대한 수익성 확보가 중요하며, 노사간의 신뢰회복,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공정하고 수평적인 거래관계,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의 확립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서열의 구조변화 분석

        오호영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 Vol.34 No.1

        Analysis of the Change of University Hierarchy StructureOh, Hoyo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ether university hierarchy has changed flexibly to accommodate the change of circumstances in the last ten years (1994-2003 academic year).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the determination of individual departments' ranking, considering that graduating from a specific university occupies the highest priority when a high school student chooses to advance to university. University hierarchy, which is defined according to university rankings on the average Academic Aptitude Test Score, has shown no significant change for the analyzed period and has high correlation with individual departments' ranking.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of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each university on its individual departments' Academic Aptitude Test Score accounts for more than 50 percent and it shows an upward movement for the period analyzed. In sum, the results imply that university hierarchy has strengthened in the past decade and there is a wider acceptance among students of setting higher priority on entering specific universities rather than selecting a major or department when advancing to university. 본 연구는 진학사 수능성적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등을 활용하여 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지난 10년(1994~2003 학년도)의 기간을 대상으로 대학서열의 구조변화와 그 성격을 진단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별 입학생의 평균수능점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서열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학서열과 전공 내 학교서열 간의 상관관계는 오히려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학과선택에 있어서 학교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심층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학교요인이 개별학과의 수능점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5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요인의 영향력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대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능시험이 실시된 지난 10년간 대학서열이 고착화됨으로써 대학진학시 학과보다는 특정대학의 졸업장 획득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