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 주요 요인 분석

        오현숙,Oh, Hyun Soo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도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성인 5,976 명이며 EQ-5D 점수를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척도로 이용하였다. 연령대는 젊은층(19세-39세), 중년층 (40세-65세), 노년층 (66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각 연령층에서 총 29개의 요인들에 대하여 베이지안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삶의 질에 주요한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은 성별,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 스트레스, 각종 질병요인들이다. 여성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낮고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으며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특히, 노년층에서 남녀간 차이와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질병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그 정도는 중년층, 젊은층, 노년층 순이다. 연령집단을 비교했을 때, 중년기에는 직업 활동이 삶의 질에 주요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노년기에는 앉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낮고 걷기를 자주 할수록 삶의 질이 높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impacting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by different ag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76 adults over 19 based on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EQ-5D index scor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HRQOL. Three age groups were considered of young (19-39), middle (40-65), and old (over 66) and for each age group Bayesian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was fitt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HRQOL. Sex,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stress and diseases have been identified to be common important factors for all age groups. HRQOL of women is more likely to be lower than that of men.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ffect positively but stress and diseases affect negatively on HRQOL. For middle age group, occupational activities have been found to be important positive factors on HRQOL. On the other hand, obesity is more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on HRQOL negatively and frequent walking is recommended for old age group.

      • 발반사마사지가 골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오현숙,안성아,Oh, Hyun-Sook,Ahn, Seong-Ah 한국재활간호학회 2006 재활간호학회지 Vol.9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pain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Method: The subjects were 41 osteoarthritis patients resided in the Jinju city from March to May, 2005. The foot reflexolog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week for 4 weeks, 30 minutes eachs. For the data analysis, $X^2$-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test was done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pain and depression.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intervention,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conducted. Results: After foot reflexology,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F=155.77, p=.000) and depression ((F=20.00, p=.000).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ot reflexology is effective in relieving of pain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ot reflexology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 Rh계 항체 검출을 위한 여러 가지 검사법의 평가

        오현숙 ( Hyun Sook Oh ),이명재 ( Myung Jae Lee ),이미자 ( Mi Ja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00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2 No.3

        Rh system antibodies are frequently implicated in 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m and acute or 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To prevent these diseases, irregular antibodies must be screened and identified. Detection of Rh system antibodies is usually done by conventional serological methods. Recently, flow cytomeσy has been introduced in immunohemat이ogy to detect antigens and antibodies. We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age to detect Rh system antibodies by flow cytometry. We examined 6 specimens of Rh antibodies (1 anti-C+e, 2 anti-D, 2 anti-E, 1 anti-E+c) that were quantified of Rh antibodies by conventional serological methoru잉 (antiglobulin test, PEG test, gel card test, papain treated gel card test) and flow cytometer, and compared the results. The papain treated gel card test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method to detect Rh antibodies. The resu1t of flow cytometer was well correlated with conventional serological methods especially gel card test, except in 3 samples (shown high titers). The results of flow cytometer were objective and reliable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Rh antibodies. Discrepancie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em to be influenced by antibodies of high concentration in serum samples.

      • KCI등재

        J.M. 쿳시의『마이클 K의 삶과 시대』: 먹기와 단식의 윤리학

        오현숙 ( Hyun Sook Oh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8 현대영미소설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thical and political aspects of eating and fasting in J.M. Coetzee's novel, Life & Times of Michael K. The novel demonstrates the strategies of bio-power used to control the bodies of racial minority and to confine them in labour camps in apartheid South Africa. Categorized as idle and accused of being like a parasite, the eponymous protagonist is interned in labour camps, but he continues to escape. The escapee also refuses to eat and to speak in the camps. K's escape and refusal can be considered as a form of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ve social and political landscape of apartheid South Africa. However, Michael Hart and Antonio Negri criticize K's refusal as the novel's limitation since his fasting leads only to a kind of social suicide. Nevertheless, K's fasting provides a potentiality for subverting the logic of camps, which are designed for people without jobs or food. Additionally, K's fasting can be regarded as an ethical and political method of engaging with the escape from exploitation of the bodies of the Other, including animals and minorities. Consequently, K experiences the bodily transformation, as his fasting deterritorizes the body in the camps, which otherwise force minorities to labour for food.

      • KCI등재

        비만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대한 성별과 체형인지의 교락효과 분석

        오현숙 ( Hyun Sook Oh ),이원재 ( Won Jae Lee ) 대한보건협회 2015 대한보건연구 Vol.41 No.4

        연구목적 : 비만군에 속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과 체형인지가 서로 교락되어 비만 관련 삶의 질(KOQOL)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일개 대학의 학생건강검진 자 중 BMI≥25인 355명을 대상으로 비만관련 삶의 질과 체형인지 등에 관한 설문 자료를 추출하였다· 삶의 질은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정신사회적 건강, 신체적·업무적 효율성, 성적매력도, 음식 관련의 4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 삶의 질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성별과 체형인지간 교락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교락효과를 배제한 성별과 체형인지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Win 12·0과 Amos 21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비만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79% 이상의 남자는 자신이 보통이거나 약간 살이 찐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60% 이상의 여자는 자신이 매우 살이 찐 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체형인지는 서로 교락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체형인지의 교락효과를 제외한 성별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은 정신사회적 건강 영역에서만 나타났으며 성별의 교락효과를 제외한 체형인지의 효과는 삶의 질 모든 영역에서 나타났다· 결론 : 비만 남학생은 비만에 대한 현실 인식과 함께 비만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울 필요가 있고 비만 여학생은 비만 관리뿐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건강을 더욱 돌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신체적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함께 비만인지 교육, 정신사회적 건강 교육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Obj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obese-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considering their confounding effects in obese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55 college students with obesity(BMI≥25) in Gachon University in 2014. KOQOL(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of-life)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were measured by survey. KOQOL was evaluated in four areas, psychosocial health, physical and work efficiency, sexual attractiveness, relationship with food, according to reliabilit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For each area the difference by gender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confounding and interaction effect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atistical softwares we used were SPSS Win 12.0 and Amos 21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There were more males than females in obese group, however, more than 79% of males thought they were normal or some fat. This was in contrast to females of whom more than 60% perceived their obesity seriously. Both of gender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affected to QOL with confounding. The area of QOL affected by gender was psychosocial health only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affected to all areas of QOL with filtering confouding factors.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males with obesity to aware their obesity in reality and for females with obesity to improve their mental and social health. Hence diverse program for health improvement is needed in college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실시간 화상수업에서의 미술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오현숙(Oh, Hyun-Sook)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수업에서의 미술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H대학교 대학생 128명을 실험집단으로로 선정하여 2021년 3주 1회 90분 총13회기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인관계능력은 War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주)PSI컨설팅이 번안하여 활용하고 정태영(2010)이 연구에 적용한 것과 허경호(2003)가 Rubin(1991)의 의사소통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포괄적 대인의사소통능력척도(Global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를 사용하였고 우울은 Beck(1961)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송종용 등(1991)이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구성을 적용한 뒤 검사를 활용하여 연구참여자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 사후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변화에 대하여 셀프저널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실시간 화상수업에서의 미술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우울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집단그룹의 치료적인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실시된 온라인 화상수업 방식을 통한 미술심리치료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rt psychotherapy classes in real-time video classes affect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COVID-19 situ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8 college students from H University located in S-city as experimental groups, and a total of 13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every three weeks in 2021 for 90 minutes.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Warner (2007) and used by PSI Consulting Co., Ltd. in Korea, and applied to the study by Jeong Tae-young (2010), and Heo Kyung-ho (2003) used the Global Communication Competition Scale (1961). This study examined the pre- and post-change processes on the effects of research participan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by applying the program composition and using tests. In addition, the change by program session was confirmed through a self-journal.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rt psychotherapy classes in real-time video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and that art therapy programs had the therapeutic effect of group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classes through the online video class method conducted non-face-to-face.

      • KCI등재후보

        아동독자와 아동서사의 형성

        오현숙(Oh, Hyun-soo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근대 아동문학을 아동을 독자적인 수신자로한 문학으로 규정할 때, 『신정심상소학』을 아동문학의 형성의 틀에서 상당히 중요한 텍스트이다. 1895년 이후 근대 학제의 도입에 따른 교과서의 발행은 기존의 문학뿐만 아니라 미분화된 지식체계를 아동을 내포독자로 삼고 광범위하게 분화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신정심상소학』의 서사 텍스트를 크게 두 축의 ‘기원’으로부터 발원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나는 조선과 동양의 고전 서사 텍스트의 계승과 변용이다. 주로 전통적인 역사기술에서 이야기가 분화되면서 위인전기의 발견으로 수렴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서구의 문학 정전의 탈식민적 수용 양상이다. 주로 『이솝우화』의 수용을 통한 아동 심성의 교화의 의미와 근대적인 지식과 스토리가 결합되면서 학습동화가 형성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동을 내포독자로 삼았을 때, 우화가 대거 선택되고 배치되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우화는 표면적인 사건과 인물을 넘어선 ‘의미’를 통해서 아동의 심성의 교화를 이끌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이기도 했다. 또 근대적인 지식은 문학 텍스트의 그물망에 들어가 당대의 문화적, 철학적 기반 전체와 관련을 맺는 학습서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처럼 근대 교과서를 아동문학사 속에서 자리매김함으로써, 방정환 이전의 문학사가 진공의 공간에서 탄생하거나 근대에 의한 단절이라는 단선적인 흐름에서 탄생한 것이 아니라, 전통과 서구를 아우르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계 양상 속에서 형성되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신정심상소학』에 나타나는 새로운 유형의 서사는 유가의 경전 및 역사 기술의 전통에 의해 문학적 기호와 기대가 제한되었던 독자들에게 허구적인 서사의 새로운 타당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기록 된 외부 세계사건에 대해 완전한 확신을 갖고 있는 유가의 경전 및 역사 기술과 비교해 볼 때, 『신정심상소학』의 위인전기, 우화, 학습동화들은 텍스트 밖의 현실을 재현할 뿐만 아니라, 인간과 세계를 다루는 다양한 서사 형식의 확대를 보여준다.

      • KCI등재

        글로벌 여성잡지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오현숙(Hyun-Sook Oh)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6 No.2

        1990년대 초반 이후부터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글로벌 여성잡지는 다른 글로벌 미디어 상품과는 달리 라이선스 계약이나 조인트 벤처를 통한 국내 출판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에서 제작ㆍ출판되고 있다. 이러한 소유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글로벌 여성잡지에서는 글로벌 요소와 지역 요소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다양한 글로벌/지역요소들의 이해관계가 나타나는 글로벌 여성잡지는 단순히 글로벌 미디어라고 보기보다는 다양한 지역 요소들을 반영하고 이와 관계를 맺으며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글로컬(glocal)화된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여성잡지에 나타나는 글로벌과 지역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이해를 위해 제작과정에 나타나는 글로벌/로컬 요소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가를 현업 종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여성잡지의 현지화 과정은 글로벌 미디어의 일방향적 동질화 과정이 아니라 지역 현실을 반영하는 글로벌과 지역의 상호작용 과정임을 보여주었으며, 글로벌 여성잡지 종사자들은 본사의 방침을 따라 기사의 콘셉트와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한국 실정에 적합한 기사를 생산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Global women’s magazines have been approached as a significant site for exploring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global and local forces. Unlike other global media products which are imported from overseas, global women’s magazines are published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local companies. These ownership patterns allow local editions of global women’s magazines to negotiate the tension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 global media and local publisher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alectic interaction between the global and local forces in the production of international women’s magazines in Korea. To explore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global and local forces, bo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efforts of international women’s magazines which occur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rsonnel in the magazine industr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international women’s magazines are not a mere part of global media but a ‘glocalized’ media product, which carry local content via global formats. The form of international women’s magazines seems to be more globalized or standardized, while the content (text) is relatively localized by reflecting local readers’ interests and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특성과 동화의 숭고미

        오현숙(Oh Hyunsook)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5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canon and the sublime beauty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ocusing on 『A gift of love』that is Pang Chong-hwan’s children’s literature as a translation. Pang Chong-hwan accepted the western canon, reproduced the reality of children all over the world tragically in 『A gift of love』, and selected and set works to save it in the grammar of these works in common. He shaped the unique sublime beauty by combining a melodramatic form with the transcendence of the material world as a theme. He compared children with adults in the world of moral extremity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described emotions exaggeratedly to highlight horrors at the cost of lives and the process of salvation. He passes the senses where the language is inadequate by using symbols such as an interjection, a dash and an ellipsis, etc. and maximized the emotional effect to be conveyed to readers. His uniqueness different in its original or double translation appeared clearly in this description. However, this researcher understood aesthetic ‘surplus’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tic form as the writer ’s deliberate strategies for the reproduction of sacred worth. unlike the existing discussion of degrading Pang Chong-hwn’s value with the terms of ’tearism’, ‘angelism’ ‘heroism’. In addition, when romanticism via the West or Japan was mixed with the discourse of Cheondogyo and Pang Chong-hwan’s work, the unique sublime beauty of exploring life and human truth, goodness and beauty could be formed. It could be different from romanticism of the West or the characteristics of 『Red bird(赤い鳥)』which represents Taishogi’s sentimentalism in combining infinite philosophy with the value of humans and the theory of ethic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researcher tried to show the results of emphasizing the writer’s creativity and unique aesthetics shown in Pang Chong-hwan’s children’s literature as a translation, 『A gift of love』beyond the perspective of diffusionism of prior research.

      • KCI등재

        기획논문 : 1920년대 아동문학의 독자와 텍스트 미학 연구 -『어린이』잡지를 중심으로

        오현숙 ( Hyun Sook Oh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서구의 낭만주의적 아동관이 1920년대 수용자의 기대지평과 내포독자의 특성에 따라 능동적으로 재구성되면서 한국아동문학의 고유한 미적 규범이 형성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당대 공식적인 담론장과 매체에 의해 기획된 아동상과 실제 독자 사이의 간극에 주목했다. “어린이”잡지가 기획한 아동상은 근대적인 가족과 학교 제도에 매끄럽게 편입된 아동이자 민족사회운동의 하나인 소년운동의 실천적 주체로서 남성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아동상은 근대성의 지표가 낮은 식민지 근대에 기반한 실제 독자의 위상과 큰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영원한 아동’으로 표상되는 서구의 낭만주의의 수용 안에는 이처럼 제국과 식민지 간의 낙차가 존재했으며, 민족운동의 요청에 의해 강화된 아동의 남성성은 조선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간의 충돌 양상을 보여준다. 필자가 주목한 것은 이러한 차이가 구체적인 텍스트 미학 형성에 어떻게 작동하는가하는 문제이다. 3장에서는 수용자의 기대지평에 따라 한국아동문학은 비극적 숭고미를 지닌 동화의 규범이 형성되었음을 논증하였다. 4장에서는 소년과 소녀를 구분하는 내포독자의 젠더규범에 따라 ‘소년소설’, ‘소녀소설’ 등의 상이한 소설유형이 분기해나갔으며, 당대 사회의 젠더규범은 단순히 성적(性的) 차이를 구분하는 것에서 나아가 인물화, 플롯, 배경 등의 소설문법의 전형화를 이루는 핵심적 요인으로 작동했음을 확인하였다. 민족운동의 요청에 의해 비대화된 남성성은 남성적 장르로서 ‘소년소설’이 아동문학의 주류적인 소설규범으로 자리 매김하는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서구 낭만주의적 아동관의 한국적 수용양상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독자의 기대지평과 내포독자에 따라 한국아동문학의 동화, 소설 등의 미학적 규범이 무엇이며 서사에서 반복되는 전형적 패턴은 무엇인지 유형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는 근대성,민족주의 등의 거대담론 안에서 아동이나 아동문학에 주목했던 선행연구의 경향에서 미진했던 부분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demonstrate that the western romantic view on children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unique aesthetic norms of Sout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s it was proactively restructured in South Korea in line with the recipients’ expectation horizons and implied readers’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To this end, the chapter 2 focuses on the gap between actual readers and children characters planned by the official contemporary venue of dialogue and media. The child characters planned by children’s magazines were those who had been smoothly incorporated into modern-type of families and school systems and as a practical subject of juvenile movement - one of the nationalistic society movements - emphasize masculinity. However, such a child character was far distanced from actual readers’ stances based on the colonial modern period with a lower modernity indication. Within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romanticism represented by permanent children, there was such a gap between empire and colony. And the masculinity of children reinforced according to the request by nationalistic movement reveals conflicts between Choseon’s nationalism and genders. The author noted how these gaps functioned in forging specific text aesthetics. In the chapter 3, it was described that, according to the recipients’ expectation horizon, Sout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nessed the formation of tragic sublime beauty as the norm of its children’s stories. The chapter 4 viewed that the gender norm of implied readers differentiating boys from girls facilitated the furcation of fiction types into boys’ stories and girls’ stories. And the gender norm of the society back than moved further beyond the simple gender differentiation to function as a key factor of typical fiction grammar such as figure describing, plot, background, etc. The overemphasized masculinity as requested by the nationalistic movement contributed to building boys’ stories as a fictionalnorm in the mainstream juvenile literature of the count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Korean-style acceptance of western romantic view on children. The research sought to find what the aesthetic norm was in stories, fictions, etc. of Sout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ccording to readers’ expectation horizon and implied readerswhile trying to build types of typical repeated patterns in narration. This discussion is part of the efforts to provide a more active explanation on what has been insufficient in other studies on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within the macroscopic discussion on modernity and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