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 Application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a South Korean Nursing Context

        오현성,곽묘묘,이강수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1

        This study extends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xam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in a South Korean nursing context. It furthers nursing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ommitment profiles, on the one hand,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other. Commitment profiles for the study were based on Allen and Meyer’s (1990)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enerat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yielded five distinct commitment profiles, which were labeled fully committed (i.e., high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AC-high (i.e., high affective, low continuance, and moderate normative commitment), uncommitted (i.e., low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CC-high (i.e., high continuance and low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CC-NC-moderate (i.e., low affective and moderat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e fully committed and AC-high profiles to be the most desirable, with low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and higher levels of self-repor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mparison with the uncommitted and CC-high profil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commitm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몰입에 대한 사람중심 접근: 국내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프로파일 분석

        오현성,정용석,김우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6

        Although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based on a person-centered approach, it is not widely applied to the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by Korean organizational scholars y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concept and analytical methods, such as cluster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of the person-centered approach. In addition, we also performed both cluster analysis and LPA to identify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of Korean employee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on the sample from a range of different fields in South Korea (n = 349). Both analyses extracted two comparable sets of 6 commitment profiles. These six profiles were then contrasted with employee turnover intention. Finally, implications for commitment theory,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최근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3요인(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모델(Allen, Meyer, 1990, 1991) 관련 연구에서 사람중심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 국내 연구자들에게는 크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람중심 접근법의 개념과 관련 자료분석 방법을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의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국내 직장인들 34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군집분석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각각 실행하여 각 분석으로부터 6개의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들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 간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도출된 프로파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조직몰입에 대한 기존의 변수중심 접근법(variable-centered approach)에 대한 보완적 방법으로 사람중심 접근법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국내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실무담당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창업교육동기가 창업교육기대성과 및 성격5요인에 미치는 영향 : 사람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오현성,박명은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identifies the distinct pattern of university students’ leaning motivation profile(n=610) by perform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in terms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as it has been argued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simultaneously distinct types of leaning motivation components. Based on a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different types of students’leaning motivational profiles were identified, and these these four students’ learning motivational profiles, which 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fferent, were then contrasted with educational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pertaining to the high level of all three learning motivational components were associated with students’ high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performed a multinomin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ow students’leaning motivation profiles are related to antecedents (ex., demographic variables,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suggesting that openness was only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motivational profiles with respect to a high level of learning motivational components. the current study is one of the first to examine the impact of personalities on students’ entrepreneurial learning motivation la profiles.

      • KCI등재

        농촌관광객 선택속성 잠재프로파일 분석 -선택속성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관광만족 및 재방문 의도 차이-

        오현성,황대용,김경희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tern of rural tourism attribute profiles by utiliz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n terms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d six rural tourism attribute profile groups that have similarities on a set of constructs on the sample of rural tourism travellers, who made a purchased rural tourism products (n=4028). Six attribute profiles were based on infrastructure, service/price, accessibility, travel contents/programs, information, and attractions. These six attribute profiles were then compared with traveler’s level of trave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sults showed that profile groups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all six components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travel satisfactions and revisit intentions regarding rural tourism. The implications of our results for rural tourism attribute literature and in managing pract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람중심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에 기반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국내 농촌관광 방문객의 상품선택속성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탐색하였다. 대다수의 연구는 변수중심접근법(Variable-Centered Approach)을 취함으로써 다수 요인으로 이루어진 농촌관광 상품선택속성 연구에서각 요인의 효과를 개별적으로만 탐색하여 요인들이 어떻게 서로 상이하게 결합하면서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포착하지 못했다. 따라서 사람중심접근법을 기반으로, 본연구는 전국 만 15세 이상 2018년 농촌관광 경험자를 대상(N=4,028)으로 상품선택속성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처음으로 분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프로파일 분석결과6개의 농촌관광객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탐색 되었으며, 탐색된 농촌관광객 상품선택속성 프로파일 유형별 관광 만족도와 행동 의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관광상품 선택 때 편의시설과 농촌 고유의 문화를 즐기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프로파일 그룹에 속한 관광객이 농촌관광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 및 한계를 논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전공만족과 편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오현성,박명은,김재철,조현경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Recently various research on the personality has postulated that individuals can simultaneously endorse distinct natures of personalities. However, the majority of research on the personality has been performed based on a variable-centered approach. However,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personality profiles based on a person-centered approach.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types of personality profiles using the Big 5 personality theory among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from one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n = 552).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sonality profiles, on the one hand, and their transfer inten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types of personality. Results from LPA revealed four different student personality profiles. Our results showed that profile 3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level of transfer intention. With respect to the major satisfaction, profile 4 was associated the highest level of major satisfaction. Further results and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람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성격유형 중 Big 5에 해당하는 프로파일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탐색하고, 탐색된 학생 성격프로파일 유형의 양적 및 질적 특징, 성격 프로파일별 편입의도와 전공만족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SPSS 25를 활용하여 성격 5요인(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과민성, 개방성)에 대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항목별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성격 프로파일 유형 분석은 Mplus 7.31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행하였고, 도출된 대학생들의 성격 프로파일 유형 집단 간의 편입의도 및 전공만족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BCH 방법을 적용한 보조 접근법(auxiliary approach)을 활용하였다. 성격 5요인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프로파일 1(내적개방형), 프로파일 2(안정추구형), 프로파일 3(내적혼돈형), 프로파일 4(자기주도형)의 4개의 성격프로파일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프로파일 3(내적혼동형) 그룹에 속한 대학생들이 편입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프로파일 4(자기주도형) 그룹에 속한 대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대다수의 성격 연구는 변수중심접근법에 기초하였으나, 본 연구는 사람중심접근법에 기초하여 LPA를 이용한 프로파일 연구를 통해 성격관련 연구의 방법론적 사고 전환의 계기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중국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평생학습 역량 연구

        오현성,임명희,가신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중국성인 평생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영향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rson-centered approach(사람중심접근법) 연구의 대표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인간행동을 조사하고 이해하여 평생학습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학교부설 평생교육, 공공기관형 평생교육, 민간기관형 평생교육, 직업훈련 및 연수형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한중국성인 평생학습자 803명을 대상으로 Mplus 8.8을 활용해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행하였다. 결과 첫째, 중국성인 평생학습자의 참여동기에 따라 ‘무의미형(6.97%)’, ‘심사숙고형(15.94%)’, ‘주저형(62.02%)’, ‘선도형(15.07%)’으로 잠재프로파일이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별 평생학습의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중간 수준인 ‘주저형’이 평생학습 역량에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 정책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개인의 다양한 필요 및 역량, 관심을 고려한 교육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기위하여 평생학습자 유형별로 세분화 할 수 있는 사람중심접근법 기반한 연구 수행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사람마다 다양한배경과 필요에 부응하는 유연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모든 개인은 자신의 역량과 관심에 따라 적절한 교육 기회를 받을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human behavior by applying a representative analysis method of person-centered approach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Chinese adult lifelo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potential profile analysis using Mplus 8.8 for 803 Chinese adult lifelong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chool-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public institution-type lifelong education, private institution-type lifelong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training-typ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PA) was performe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Chinese adult lifelong learners to participate, the latent profile was divided into ‘nonsense type (6.97%)’, ‘deliberation type (15.94%)’, ‘hesitation type (62.02%)’, and ‘leading type (15.07%)’. has been class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by latent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Hesitant Type’, who had a medium level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had high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Conclusions In constructing social policies for lifelong education, it is continuously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based on a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can be subdivided by lifelong learner type in order to design and implement education policies that consider the various needs, capacities, and interests of individuals. This should provide a flexible curriculum that meets the diverse backgrounds and needs of each person, thereby ensuring that all individuals receive appropriate educational opportunities according to their capabilities and interests.

      • KCI등재

        사람 중심접근법을 적용한 집단문화권 직장인의 조직몰입 프로파일 비교연구

        오현성,제혜금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1

        On the basis of Allen and Meyer’s (1990) three 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 of correlation/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a variable-centered approach.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utilized a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distinct configurations of the commitment components in terms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of the patter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as extensive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Based on a latent profile analysis. There five commitment profiles were identified related to the South Korean employees. But, four distinct commitment profiles were identified for the Chinese employees. These profiles identified from the both sample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y, and some of them are not in line with.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commitment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for the sake of future research in terms of cross cultural research. 본 연구는 조직몰입 3요인 모델을 기반으로 대다수의 조직몰입 선행연구가 선행변수와 변수 간의 선형적 관계 규명에 중점을 둔 변수중심 접근법을 기반이지만, 사람중심 접근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집단문화권 국가인 한국과 중국 직장인의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을 탐색 및 비교 분석하였다. 조직몰입 프로파일 연구는 조직몰입 프로파일내에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특정 조직몰입유형의 본질이 다른 조직몰입 유형의 상대적 수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분석 가능케 하였다. 기존 대다수 조직몰입 프로파일 연구는 주로 서구문화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한국직장인 5가지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과 중국 직장인 4가지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으로 구분하고,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별 조직 내에서 개인 및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 국가 간 유사한 프로파일 유형도 있지만,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유사하지 않은 프로파일 유형도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문화권 사회에서 직장인의 조직몰입에 관한 미래지향적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