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폐 기능의 비흡연자에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덴시토메트리

        오탁선,채은진,서준범,정영주,오연목,이상도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5

        Purpose: To investigate the upper normal limit of low attenuation area% in healthy nonsmoke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6 nonsmokers with normal pulmonary function test underwent a CT scan. Six thresholds (-980 - -930 HU) on inspiration CT and two thresholds (-950 and -910 HU) on expiration CT were used for obtaining low attenuation area%. The mean lung density was obtained on both inspiration CT and expiration CT. Descriptive statistics of low attenuation area% and the mean lung density, evaluation of difference of low attenuation area% and the mean lung density in both sex and age group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T parameters were performed. Results: Upper normal limit for low attenuation area% was 12.96% on inspiration CT (-950 HU) and 9.48% on expiration CT (-910 HU). Upper normal limit for the mean lung density was -837.58 HU on inspiration CT and 686.82 HU on expiration CT. Low attenuation area% and the mean lung dens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sex and age groups. Body mass index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w attenuation area% on inspiration CT (-950 HU, r = -0.398, p = 0.016)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lung density on inspiration CT (r = 0.539, p = 0.001) and expiration CT (r = 0.432, p = 0.009). Age and body surface area were not correlated with low attenuation area% or the mean lung density. Conclusion: Low attenuation area% on CT densitometry of the lung could be found in healthy nonsmokers with normal pulmonary function, and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BMI. Reference values, such as range and upper normal limit for low attenuation area% in healthy subjects could be helpful in quantitative analysis and follow up of early emphysema, using CT densitometry of the lung. 목적: 정상 폐 기능 비흡연 성인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다양한 역치의 저감쇠영역%의 범위와 정상 상한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정상 폐 기능 비흡연 성인 36명에 대해 흡기시 6개의 역치(-980~-930 HU)와 호기시 2개의 역치(-950, -910 HU)에서의 저감쇠영역%와 흡기, 호기시 폐실질평균농도를 구하였다. 저감쇠영역%와 폐실질평균농도의 기술통계를 시행하고 성별과 연령구역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령, 체표면적, 체질량지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흡기시 -950 HU 역치의 저감쇠영역%의 평균, 정상 상한치값(95th percentile)은 5.24%, 12.96%, 호기시 -910 HU 역치에서는 2.06%, 9.48%, 흡기시 폐실질평균농도는 -866.16 HU, -837.58 HU, 호기시 폐실질평균농도는 -737.80 HU, -686.82 HU였다. 성별과 연령구역 간 저감쇠영역%와 폐실질평균농도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는 흡기시 -970~-930 HU 역치의 저감쇠영역%들과 음의 상관성을(-950 HU, p = 0.016), 흡기와 호기 폐실질평균농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p = 0.001, p = 0.009). 결론: 정상 폐 기능의 비흡연자에서도 특정 역치를 이용한 덴시토메트리에서 저감쇠영역%가 나타날 수 있고, 체질량지수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정상 성인에서 저감쇠영역%의 범위와 정상 상한치의 정보가 덴시토메트리를 이용한 조기 폐기종의 정량분석과 추적관찰에서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SCOPUSSCIEKCI등재

        한국아동의 악안면성장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탁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8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8 No.2

        Craniofacial complex is influenced by numerical skeletal elements. Though the analysis of growth change has been done by various analytical methods, it was dependent on any method of registration and superimposition, based on reference plane and reference point. However, the craniofacial growth is composed of a number of local growth element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se a clinically useful method for estimating craniofacial skeletal growth independently. The author analysed longitudin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 of 15 Korean males and 15 Korean females aged from 6 to 12 years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craniofacial skeletal complex and soft tissue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independent local growth. 2. Regression equations from the value of each strain will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craniofacial growth. 3. The growth of anterior cranial base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facial bone. 4. The growth of posterior cranial base influenced the growth of upper pharyngeal region, midfacial region, maxilla and posterior region of mandible. 5. The growth of maxillary complex was vertical rather than horizontal. 6. The growth direction of ramus, mandibular body, alveolar bone was various. 7. The relation between hard tissue and soft tissue by finite element method was variant.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탁선영(Seonyeong Tak), 김연수(Yeonso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를 통해 조절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J지역 소재 두 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29세의 남녀 대학생 383명(남 155명, 여 2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적 지연행동, 사후반추사고,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PROCESS를 사용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으로 조절된 사후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사후반추사고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적 지연행동, 사후반추사고 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 관계를 사후반추사고가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의 수준에 따라 효과의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를 통해 학업적 지연행동으로 가는 경로를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의의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와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포함된 구체적 경로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는 학업적 지연행동을 경감시키는 구체적 방안 마련에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의 역할을 포함시킬 필요성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ilure-is-enhancing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post-event rumination. Methods For these ends, 383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19-29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academic procrastination scale, post-event rumination scale, failure mindset scale. Based on data, the mediation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ilure-is-enhancing mindset on the mediation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examined using SPSS 26.0 and SPSS macro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failure-is-enhancing mindse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e full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the proces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roved to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the failure-is-enhancing mindset is controll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ost-event ru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s controlled by the mediation effect. Conclusion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ilure-is-enhancing mindset was verifi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