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포스터의 서사적 재현 분석: 영화 <원 세컨드>의 ‘영화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를 중심으로

        서빈(XU BIN),이상은(Lee Sang Eun),양종훈(Yang Jonghoo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9

        본 논문은 영화 포스터에서 나타나는 서사 재현(narrative representations)의 역할과 표현 방식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영화 <원 세컨드>의 ‘영화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각 디자인 문법(visual grammar)의 재현적 메타기능(representational meaning)이 영화 포스터에서 어떻게 발휘되는지 분석하였다. 영화 <원 세컨드>의 연애편지 시리즈 포스터 분석을 위해 연구 소재의 서사 재현 과정(narrative process)에 대한 의미를 행위 과정(action process), 반응 과정(reaction process), 담화/심리 과정(speech/mental processes)으로 분류하고 이 세 가지 과정이 영화 포스터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행위 과정은 주로 영화의 주제를 표현하고, 반응 과정은 영화의 인물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담화/심리 과정은 주로 영화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화 포스터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멀티모달 담론 분석(multimodal Discourse Analysis)을 통해 영화 포스터의 진정한 가치를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and expression ways of the narrative representations object to analyze the funchtion of the representational meaning of the visual grammar in the film poster. In analyzing the love letter series posters of the film “One Second”, the research material is firstly divided into action process, reaction process and speech/mental process according to the narrative reproduction process, and then respectively explore how the three parts are highlighted in the film pos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on process mainly represents the theme of the film, the reaction process mainly conveys the character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film, and the speech/mental process mainly conveys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fil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nveying the poster message effectively, as well as try to analyze the real value of film posters from the multi-modal discourse perspective.

      • KCI등재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서빈(XU BIN),양종훈(Yang Jonghoon),이상은(Lee Sang E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는 영화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long take)의 표현 의미를 탐구하고, 또한 허우샤오시엔의 영화를 사례로 하여 앙드레 바쟁(André Bazin)의 영화 현실주의 이론의 영상 존재론을 기초로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와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한다.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를 분석할 때 우선 연구 소재를 감독의 창작 시기에 따라 ‘성장’, ‘타이완’과 ‘세기말의 화려함’등 3시기로 나누고, 또한 영상 존재론에 따른 재현 세계의 완전성, 시공간의 진실성, 영상과 객관 현실에서 촬영 대상의 동일성 등 세 가지 측면을 분석 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양자의 유사성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은 모두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일정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허우샤오시엔 롱 테이크는 현실을 중점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며, 그는 롱 테이크를 통해 영화의 기조를 설정하고 관객이 영화 시청과정에서 스토리에 대한 공감 발생을 유도한다. 아울러 관객은 할리우드식 몽타주 프레임에서 벗어나 롱 테이크가 발생시키는 깊은 의미를 새롭게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영화 창작자의 롱 테이크 사용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영화 화면 이론 체계에 기여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xpression meaning of long take in the film, we select Hou’s film as an example, The similarity between long take in Hou’s film and Andre Bazin’s image ontology is analyzed based on the image ontology in realism theory of Andre Bazin’s fil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ong take of Hou’s film, based on the creative period,the research material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hases such as : ‘growth’, ‘Taiwan’ and ‘gorgeous at the end of the century’.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done and we are looking fo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through various analysis carrier based on the image ontology to reproduce the integrity of the world, the authentic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consistence between film and objective reality . The results show tha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ou in different periods are similar to Bazan’s image ontology.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study that the focus of the long take is to reproduce reality. Hou sets the tone of the film through the long take to guide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 story while watching the film. At the same time, let the audience get rid of Hollywood montage framework, to help the audience re-understand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long take.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spiration for film creators to use long take and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film shot.

      • KCI등재

        한·중 수영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와 스포츠 행복의 관계

        황진 ( Jin Hwang ),궁천 ( Chen Gong ),서빈 ( Bin Seo ),곽해봉 ( Hai-feng Guo ),김성훈 ( Seung-hu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수영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와 스포츠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 97명, 중국 88명의 수영선수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후가정사고 설문지와 스포츠 행복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으며 기술 통계치를 산출했고 독립t-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선수들이 중국선수들에 비해서 상대내적삭제형 사후가정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선수들과 중국선수들간 자기내적첨가형 사후가정이나 자기외적첨가형 사후가정사고의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중국 선수들이 한국 선수들에 비해서 사회복지, 훈련, 자기발달에서 더 높은 행복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국 선수들 모두 사후가정 사고가 스포츠 행복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과 중국 수영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와 스포츠 행복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는 대인관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했으며 스포츠 사후가정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erfactual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among Korean and Chinese swimm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97 Korean swimmers and 88 Chinese swimmers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regarding counterfactual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validity. Descriptive statistics was produced and independent t-test,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use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swimmers had more others-internal-subtractive counterfactual thinking than the Chinese swimmers. Seco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go-internal-additive-counterfactual thinking, ego-external-addictive counterfactual think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swimming athletes. Third, Chinese swimmers felt more happiness about social welfare, systematic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than Korean swimmers. Fourth, human-relationship happiness were deeply influenced by counterfactual thinking regardless of countries. Conclusion: Results showed a different relationships on counterfactual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wimming athletes.

      • KCI등재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에서 교류협력국 교원의 ICT 활용교육 활동체제 분석

        조현아(Hyeonah Jo),임진호(Jinho Lim),박근아(Keunah Park),서빈(Bin Se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개발도상국 교사의 ICT 활용교육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와 모순을 밝히고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류협력국 대상 교육정보화 지원사업 내 초청 연수에 참여한 4개국(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콜롬비아)의 교사와 교육정책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도국의 ICT활용교육 활동체제 6가지 구성요소는 교사, ICT 활용교육, ICT 매개체와 심리적 도구, 관련 교육과정과 정책, 교육기관과 학교관리자, 학생과 지역사회로 도출되었고, 구성요소 내의 1차 모순과 구성요소 간의 2차 모순 및 각각의 특징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수혜자이자 참여자인 개발도상국의 교사, 교육정책가의 목소리를 통해 ICT 활용교육 활동 전반을 분석함으로써 현장의 교육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론을 확장하며 체계적인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확대, 한국에서 지원하는 활동체제와 현지의 활동체제 간 교류, 확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 분석을 통해 국제개발협력사업 성과 평가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ICT in education activity system of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teachers and education policymakers from Bangladesh, Indonesia, Cambodia, and Colombia, who participated in the KLIC(Korean e-Learning Improvement Cooperation) invitational training program. Our analysis identified six key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and examined contradictions within and between these components. The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education policymakers in developing countries,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ICT in education. Future research can build upon thi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ctivity systems of Korean and local teachers, providing a fresh perspective on evalua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 KCI등재

        한부모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의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반응특성 비교 연구

        서빈,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에게 모자화를 실시하고 모자화의 그림 지표와 그림을 그린 후의 질문을 분석하여 한부모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의 모자화에 대한 반응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의 2개교와 경기도 P시의 1개교의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한부모가정 아동 63명, 양부모가정 아동 63명의 두 집단을 무선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모자화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馬場史津(1997)의 분석지표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의 모자화 그림 지표 반응특성에서 모자상의 크기, 표정, 신체접촉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한부모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의 그림을 그린 후의 질문에서 아이의 연령, 생각하고 있는 것, 모자의 행위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이제 막 연구되기 시작한 모자화의 한부모가정 아동의 심리적 기저를 파악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처음 밝히게 된 것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action features on mother and child drawings of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63 children in one-parent family and 63 children in two-parent family in grades 1∼3 of 2 schools in Seoul and 1 elementary school in P City, Gyeonggi-do by random sampling. For an accurate analysis, the analysis index of Babasatz(1997) was used for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mother and child drawings of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awing index reaction feature for size of drawing.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children, their thought and behavior of mother and child after drawing.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igure out the usability as an projection test to examine the mental foundation of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y with mother and child drawing, an emerging area of study in the country.

      • KCI등재후보

        학교 학습에 의한 초등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 탐구

        서빈,전영석,이창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5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5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에 학교에서의 학습이 끼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를 알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에너지와 도구’ 단원을 학습하기 이전과 이후에 개념 확인을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 개념 확인을 위하여 ‘에너지’라는 단어를 듣고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한편, 개념 확인 문제를 통하여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조사한 내용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개념의 양과 이해도가 학교 학습의 결과로 증대되었다. 특히, 선행연구에 반하여 학교에서의 학습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에너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학습의 내용을 선정하여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자치구 재정의 장기 수렴성 분석

        서빈(Seobin Hong),주만수(Man-Soo Joo)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1 재정학연구 Vol.4 No.3

        본 논문은 우리나라 자치구의 재정격차가 전개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정변수들의 장기적 수렴여부를 분석한다. 1995년~2008년 기간의 인구 및 소득, 그리고 지방세 수입 및 재정지출에 대하여 σ-수렴성 및 β-수렴성 분석을 실행한다. 분석결과, 자치구 인구와 일인당 소득수준의 격차는 대체로 확대되었다. 재정변수들의 수렴성에 관한 σ-수렴성 분석에 따르면, 지방세의 총액 및 일인당 지방세의 자치구간 격차는 확대되었다. 반면에 재정지출 총액의 수렴여부는 유의하지 않으며 일인당 재정지출은 유의하게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β-수렴성 분석에서 대부분 재확인한다. 따라서 지역균형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치구들의 재정수입 격차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으므로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조세수입과 지출의 수렴성에 대한 상반된 결과는 중앙정부는 국고보조금 위주의 이전재원을 통하여 자치구들의 재정지출 격차를 형평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whether government expenditures and tax revenues of Korean autonomous districts have converged over the period 1995-2008, We expl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ocal finance and modify the conventional model of fiscal convergence. Main local revenue sources of population and income have diverged during the period. The σ-convergence analyses show that both total tax revenues and per capita tax revenues of autonomous districts are diverging, that per capita expenditures are converging and that total expenditures do not have a definite direction. The results are mostly confirmed with the β -convergence analyses. The results of tax revenue side imply that the government’s long efforts for local balance development are not successful. Also we present that the central government fiscal transfers play a role for the fiscal equalization among districts even though they do not intend the role explicitly.

      • KCI등재

        오토인코더 기반 키워드 임베딩을 통한 문서 분류 방법론

        서빈,김남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9

        In this study, we propose a Dual Approach methodology to enhance the accuracy of document classifiers by utilizing both contextual and keyword information. Firstly, contextual information is extracted using Google's BERT, a pre-trained language model known for its outstanding performance in various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tasks. Specifically, we employ KoBERT, a pre-trained model on the Korean corpus, to extract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CLS token. Secondly, keyword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each document by encoding the set of keywords into a single vector using an Autoencoder. We applied the proposed approach to 40,130 documents related to healthcare and medicine from the National R&D Projects database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that rely solely on document or word information in terms of accuracy for document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