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입생 교육의 개념 및 전략 구성

        염민호(Minho Yeom),이효성(Hyu Sung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기간을 최소화하고, 전공 및 직업 탐색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신입생 교육’의 개념과 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전남대학교 13개 단과대학 학장, 부학장, 일반학부장 등 16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심층 연담을 활용했다. 연구결과 단과대학 학장들은 신입생의 특성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었으며, 대학 내에 신입생의 학업지속 및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 연구는 신입생 교육의 개념 구성에 포함될 수 있는 주요 내용을 제시하고, 실천을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신입생 교육을 책임질 책임자 선정 및 부서 설치, 신입생 교육에 초점을 맞춘 정규 및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 on developing concep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irst-year student experienc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suggests methods for minimizing the period of adaptation of college freshmen while maximizing the opportunities available for them to choose and explore their majors as well as their future careers through college retention. Attention is given, in particular, to the ways in which university deans view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students in general, the construction of regular and/or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used in those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deans and directors from thirteen colleg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interviewees hel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nd that a systematic program of orient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level does not currently exi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iversity should intervene to improve the lives of first-year students, and should construct key objectives to direct them, organize offices or individuals responsible for the first-year curriculum and co-curriculum, and should introduce various programs focusing on bettering first-year students' chances for academic and professional succ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직 간 연계체제 구상’에 대한 논의: 교육부-학교-기업-학회

        염민호(Yeom, Minh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인식과 그 해결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조직 간 연계체제’에 대한 개념적/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 실제모형으로 시행 중인 교육정책(‘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가치를 논의하는 데 있다. 개념적 논의에서는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조직(교육부/학교/기업/학회/지역혁신플랫폼)의 목적과 대표활동(정책/실천/연구)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여기서 확인한 것은 공적인 사회문제해결에는 다양한 조직의 참여가 필연적이며,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대표활동이 실제문제의 해결과정에는 종합적으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조직 간 연계체제’라는 개념의 특성과 내재가치인 협력 그리고 지배구조의 양식을 논의했는데, ‘지역 간 연계체제’라는 담론에는 관련 지식의 구성에서 권력관계가 필연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론적 접근에서는 ‘조직 간 연계제체’ 구성과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자유주의적 접근과 공론장 활성화를 논의했다. 자유주의적 접근은 ‘조직 간 연계체제’의 개념을 조직활동과 조직관계 측면에서 시민사회로 확대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공론장 활성화는 ‘조직 간 연계체제’의 구성과 운영에서 참여자들의 의식개혁과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마지막 ‘조직 간 연계체제’를 적용한 교육정책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가치를 광주전남지역혁신 플랫폼을 대상으로 논의했다. 여기서 확인한 핵심 가치는 공적문제해결의 주체가 관료제를 기반으로하는 정부조직에서 지역사회의 생존주체인 당사자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과 그 과정에서 확인한 조직구성과 조직운영에 대한 새로운 시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onceptual/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newly emerging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social problems and solving them, and to discuss the value of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project being implemented as a practical model. In the conceptual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I tried to understand in depth the objectives and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organizations(ministry of education, schools, enterprises, academic societies, and regional innovation platforms). What is identified here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organizations is inevitable, and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which can be divided conceptually, is being operated integratively in the real problem solving processes. Also, using discour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and the intrinsic values ​​of cooperation in it, and the style of governance were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approach, I discussed the liberal approach, which can be the basis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and the vitalization of the public sphere. Lastly, the value analysis of Gwangju-Jeonnam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currently being implemented were discussed. The core value identified here is that the subject of public problem-solving is changing from a bureaucratic-based government organization to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various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at new way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emerging in the proces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모형의 고안

        염민호(Yeom Min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신입생 교육에 대한 각 대학의 관심과 투자를 고려한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구축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모형을 고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분석과 인터넷 조사를 활용한 이 연구는 먼저 신입생 특성과 신입 생 교육 프로그램의 가치를 개념화했다. 또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과 미국에서 축적된 신입생 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 사례, 그리고 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국내 대 학에서 실행하고 있는 신입생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규명했다. 마지막으로는 대학에서 실 제로 활용할 수 있는 신입생 교육 프로그램 개발모형(계획-설계-실행-평가)을 제시했다. 결론 에서는 대학의 신입생 교육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책 임 부서와 전문 인력이 주도하는 신입생 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했다. Having considered the interest and investment of universities for freshmen education increased in recent years, this study is to devise a model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year students to build their successful life through college retention. Employing bot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this study first tries to conceptualiz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and value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year students. Also,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analyzes research trends, case studies, and theories accumulated both in Korean and the U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the study identifies current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Korean universities. Finally, the study invents a model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reshmen(planning-designing-implementing-evaluating) available for universities. In conclusion, the autho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eparing the freshmen education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way. Also, the author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freshmen education being administrated by a certain department with professional staffs.

      • KCI등재후보

        ‘라이즈’ 도입과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 문제, 대안

        염민호(Minho Yeom ),염경준(Kyung Joon Yu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2025년 도입 예정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이하 ‘라이즈’)에 따라 지방정부에게 고등교육관할권이 부분 위임/이양되면, 한국의 고등교육체계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구조변화의 핵심 내용은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의이원화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고등교육을 공동으로 관할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라이즈’에대응하는 지방정부(광주광역시)와 대학 간의 상생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세 가지 주제를 집중 논의했다. 첫째, 지방정부와 대학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상생협력이 지닌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둘째,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 국가수준/지역수준에서 광주 고등교육의 현황을 주요지표 중심으로 분석했다. 셋째, 광주 고등교육의 문제와 대안에서는 고등교육체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인(목적구성, 지배구조, 재정구조, 성과관리)에 근거하여 핵심 문제를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결론에서는 국가/지역수준 고등교육체계의 혁신 방향으로 공적가치를 중시할 것과 지방정부의 대학에대한 이해에 특별한 인식전환을 강조했다. If higher education jurisdiction is partially delegated/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which is scheduled to be introduced in 2025,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will experience structural changes. The core content of structural change is the dualization of guidance/supervision authorit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jointly govern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in-win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Gwangju City and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RIS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ree topics were intensively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identified and the meaning of win-win cooperation was critically discuss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city, the reality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was analyzed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focusing on key indicators. Third, i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Gwangju higher education, key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our factors that make up the higher education system (purpose structure, governance structure, financial structur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conclusion, it was emphasized that public value should be emphasized i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and a special change in perception in local governments' understanding of universities was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