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의사들의 암 조기검진 권고 실태 분석 - 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을 중심으로 -

        박용문,염근상,구정완,임현우,이강숙,김훈교,이원철,Park, Yong-Mun,Yum, Keun-Sang,Koo, Jung-Wan,Yim, Hyeon-Woo,Lee, Kang-Sook,Kim, Hoon-Kyo,Lee, Won-Chul 대한예방의학회 200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3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s(beginning age, interval, recommended screening methods, etc.) by physicians and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ian's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 of their recommendation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30 of 1997, and 373 physicians who were from different hospital settings all over Korea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bout their screening recommendations for stomach, cervical and breast cancer for these who provided cancer screening services. Results : For stomach cancer screening, respondents recommended that cancer screening begin at 40 years of age(57.8%), with a 1 year interval(77.2%), and by gastrofibroscopy (86.2%).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respondents recommended that cancer screening begin at 25 years of age(42.0%), with a 1 year interval(67.8%), and by using a Pap smear(100.0%). For breast cancer screening, respondents recommended that cancer screening begin at 35 years of age(38.7%), with a 1 year interval(57.3%), and by mammography (97.3%). Conclusions : To establish appropriate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s for Korea, if may be useful to consider the above results concerning medical care providers.

      • KCI등재

        A형 행동유형과 고지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김수봉,염근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2

        Background : In spite of the possible association of type A behavior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e pathogenic mechanism linking them are not well understood. Several prospective studies revealed type A behavior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suggesting that it is relatively unrelated to other coronary risk factors. However, these results are controversial.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onary risk factors, particularly, hypercholesterolemia and type A behavior. Methods : The patient group consisted of 110 patients visiting six university hospitals in the vicinity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2006 to September 2007, and the control group was 112 patients without hypercholesterolemia from the same hospitals from the same period. Informations regarding medical history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from all 222 subjects we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survey behavior patterns, the Danakawa Type A Behavior Questionnaire which is based on the Jenkins Activity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y participants. Results : Sociodemographic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However, the pati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in high blood pressure among the coronary risk factors. Type A behavior pattern was seen in 68 patients (61.8%)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to 50 (44.6%) in the control group, and its difference was significant (χ2=6.574, P=0.010). After adjusting coronary risk factors and other significant variables, type A behavior pattern remained significantly related to an elevation in plasma total cholesterol (χ2=4.51, P=0.034). Conclusions : Our study indicates that type A behavior is related to an elevation in plasma cholesterol but unrelated to other coronary risk factors in adults. More prospective studies on this topic are required. 연구배경 : 관상동맥질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 A형 행동유형과 이미 알려진 위험인자 특히, 고지혈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봄으로서 관상동맥질환과 A형 행동유형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6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6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 중 혈액생화학검사상 고지혈증을 보인 110명의 환자를 환자군으로, 같은 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콜레스테롤이 정상인 112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대조군으로 삼았다. 연구대상자 222명에게는 모두 질병에 대한 과거력, 인구사회학적인 요인에 대한 정보를 설문지를 통해 얻었다. 행동유형조사는 Jenkins Activity Survey에 기초한 일본 도카이 대학의 다가와식 A형 행동유형설문을 이용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성은 PC-SAS를 이용한 T-test와 Chi-square test, CATMOD test를 이용하였다(P>0.05). 결 과 :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중 고혈압만이 의미 있게 높았다. A형 행동유형은 환자군에서 68명(61.8%), 대조군에서는 50명(44.6%)을 보여 환자군에서 A형 행동유형이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있었다.(χ2=6.574, P=0.010).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의 각 위험인자 및 기타요인의 영향을 배제한 후에도 A형 행동유형은 고지혈증과 통계학적인 연관성을 보였다(χ2=4.51, P=0.034). 결 론 : 이 논문은 혈중 지질의 증가가 A형 행동유형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A형 행동 유형은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하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혈중 지질의 상승과 연관성을 보여 상호 연관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의 예방을 위한 고지혈증환자의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요인의 차단뿐만 아니라 A형 행동에 유형에 대한 행동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차후에 좀 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Association of Endotoxins and Colon Polyp: A Case-Control Study

        이강건,염근상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9

        Endotoxin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various chronic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endotoxins in the pathogenesis of colon polyps through a case-control study. A total of 145 subjects (74 subjects in the polyp group and 71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had undergone a colonoscopy. Age, body mass index (BMI) and endotoxin leve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ly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endotoxin level was still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ly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even after age and BMI had been adjusted (polyp group 0.108 ± 0.007 EU/mL, control group 0.049 ± 0.008 EU/mL, P < 0.001). In subgroup analysis, the endotoxin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olon polyps (one-polyp group, 0.088 ± 0.059 EU/mL; two-polyp group, 0.097 ± 0.071EU/mL; three-or-more-polyp group, 0.149 ± 0.223 EU/mL). The endotoxin level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with tubular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hyperplastic polyp group, 0.109 ± 0.121 EU/mL; tubular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group, 0.103 ± 0.059 EU/mL; tubular adenoma with high grade dysplasia group,2.915 ± 0.072 EU/mL). In conclusion, the serum level of endotoxins is quantitatively correlated with colon polyps.

      • KCI등재

        Cut-Off Values of Visceral Fat Area and Waist-to-Height Ratio: Diagnostic Criteria for Obesity-Related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이강건,염근상,박혜순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2 Yonsei medical journal Vol.53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appropriate cut-off value of visceral fat area (VFA) and waist-to-height ratio (WTHR) which increase the risk of obesity-related disorders and to validate the diagnostic criteria of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314 subjects (131 boys and 183 gir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visited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Uijeongbu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9. All patient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to measure VFA. Results:The cut-off value of VFA associated with an increase risk of obesity-related disorder, according to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was 68.57 cm2 (sensitivity 59.8%, specificity 76.6%, p=0.01) for age between 10 to 15 years, and 71.10 cm2 (sensitivity 72.3%, specificity 76.5%, p<0.001) for age between 16 to 18 years.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WTHR corresponding to a VFA of 68.57 cm2 was 0.54 for boys and 0.61 for girls, and the WTHR corresponding to a VFA of 71.10 cm2 was 0.51 for boys and 0.56 for girls (p=0.004 for boys, p<0.001 for girl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FA which increases the risk of obesity-related disorders was 68.57 cm2 and the WTHR corresponding to this VFA was 0.54 for boys and 0.61 for girls age between 10-15 years, 71.70 cm2 and the WTHR 0.51 for boys and 0.56 for girls age between 16-18 years. For appropriate diagnostic criteria of abdominal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 KCI등재

        소아청소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Liraglutide 치료의 효과

        김민철,염근상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5

        연구배경: 소아청소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추후 간경화, 간암 등 사망률이 높은 만성간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것의 병태생리에 근거하여, 다양한 치료적 시도들이 있지만 뚜렷한 가이드라인은 없는 실정이 다. 리라글루타이드의 여러 가지 약리작용은 내장지방 감소로 인한 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 감소를 유도하고, 이는 간수치를 포함한 혈 액 지표의 호전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라글루타이드 치료를 통해, 간 기능 이상을 보이는 비만 환아들에게 있어 간 기능 개선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치료적 개입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 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의무기록 분석 연구로서, 2022년 1월부터 2022년 4 월까지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에 비만으로 내원한 환자들 중 혈액검사를 통해 평가한 SGOT, SGPT가 40 IU/L 이상인 환아를 선별하였다. 이후 혈액검사 및 체성분 검사, 복부단층촬영 (CT)을 통하여 리라글루타이드 치료의 효용성을 비교 분석할 각종 대사지표 및 체성분 지표를 평가하였다. 결과: 3개월 이상 리라글루타이드 치료 후 대상자의 공복혈당 및 SGOT/SGPT,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기저시점대비 비교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호전이 확인되었으며(P<0.05), 체성분 지표인 체질량지수, 복부지방률, 체지방률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8, P=0.018, P=0.014). 복부단층촬영(CT)으로 측정한 비만 지표-내장지방 면적에서 마찬가지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되었 다(P=0.043). 결론: 비만이면서 간 기능 이상을 보이는 소아청소년에서 리라글루 타이드의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대사증후군 인자 증가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주상연,김정아,염근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5 No.4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in women in a community and find the protective factor of the osteoporosis.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36 premenopausal women and 111 postmenopausal women who did not take any drugs and have any diseases affecting BM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body composition. So, BMD was measured at the os calcis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Results : The mean age of premenopausal women was 46.69 years andpostmenopausal women was 60.85 year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BMD of the two groups; 0.53±0.08, 0.39±0.10 respectively. In premenopausal women, only age was correlated with BMD(r=-0.366, p〈0.05). But in postmenopausal women, age(r=-0.471, p〈0.01), parity(r=-0.231, p〈0.05), and lactation period(r=-0.247, p〈0.05)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whereasweight(r=0.481, p〈0.01), BMI(r=0.332, p〈0.01), fat mass(r=0.370, p〈0.01), fat free mass(r=0.536, p〈0.01) and muscle mass(r=0.538,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by age, parity, lactation period and exercise, total and partial R were 0.422, 0.196 in weight, 0.365, 0.118 in BMI, 0.386, 0.148 in fat mass, 0.410, 0.236 in fat free mass and 0.409, 0.233 in muscle mass respectively.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fat free mass and muscle mass, among body composition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BMD at the os calcis in postmenopausal women. Thus, we think that proper exercise and diet will be required for increasing fat free mass, especially muscle mass, to prevent the osteoporosis. -연구배경 하나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보다는 다수의 위험인자가 있을 때 동맥경화 위험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대사증후군은 여러 대사질환을 의미하며 이는 내장지방에 기초하는 것을 평가되고 있다 . 대사증후군은 점진적으로 나타나며 , 대사증후군인자들의 수와 정도에 따라 예측되어진다 . 본 연구는 대사증군을 구성하는 인자 수를 점수화하여 복부비만정도 , 대사 질환의 위험인자 및 복부지방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단면적 연구로서 서울의 모 대학병원의 비만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중 75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 신체계측 자료를 측정한 후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촬영을 시행하여 선택 조건에 맞는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의 인자 수에 따라 여섯 군(0~5)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과 복부총지방 , 내장지방, 피하지방면적,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키허리둘레비, 혈중지질농도등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 결 과 대사증후군인자가 3개를 갖는 군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빈도로 분포하였다 . 대사증후군인자에서는 허리둘레 증가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 혈압상승, 고밀도지단백감소, 공복혈당증가, 중성지방증가 순서로 빈도가 관찰 되었다 . 대사증후군 인자의 점수가 증가 할수록 신체계측지수 , 복부지방 및 대사증후군인자의 평균값은 증가하였으며 , 피하내장지방비 및 저밀도지단백은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 대사증후군의 인자수가 증가 할수록 유의하게 비만지수의 정도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내장지방비만도 및 키허리둘레비가 점진적인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폐경 이후 여성의 골 밀도는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 등의 체성분에 영향을 미치나, 이 중 특히 제지방량과 근육량이 골 밀도와 보다 큰 연관성이 있으며,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제지방량, 특히 근육량을 높이기 위한 적정량의 운동과 음식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