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의 비교 -

        정선욱,한성호,양보규,이승림,하정현,김민석,여용범,Chung Shun Wook,Hahn Sung Ho,Yang Bo Kyu,Yi Seung Rim,Ha Jeong Hyun,Kim Min Seok,Yeo Yong Beom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내측 및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양상과 동반손상에 따른 치료원칙과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군)로 진단받은 52명 52예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I군)로 진단받은 31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I군 25세($16\~66$세), II군 29세($18\~63$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I군 18개월 ($12\~50$개월), II군 13개월($6\~46$개월)이었다. 술중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연골 파열의 부위, 동반손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외측의 경우 추가적으로 원판형 연골인 경우를 조사하였다 술 후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 판정을 하였으며, 두 군 전체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되었던 경우 추시 관절경을 19례$(23\%)$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I군 38예$(73\%)$, II군 5예$(16\%)$였으며, 원판형 연골이었던 경우는 II군에서 19예$(59\%)$였다. 최종 추시 시 봉합술을 시행한 예에서 I군의 경우 26예 중 22예$(85\%)$는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II군의 경우 3예 중 2예$(67\%)$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I군의 경우 26예 중 전예에서 II군의 경우 28예 중 26예$(93\%)$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다. 이중 I군에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봉합술을 시행한 2예에서 있었고, 재수술 당시 1예에서는 봉합부위의 재파열과 다른 1예에서는 새로운 부위의 파열을 발견하였다. II군에서는 원판형 연골의 모양을 보였던 19예 중 2예에서 절제술 후 남아있는 연골에서 새로운 파열이 발견되었다. 결론 : 내측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있어 동반 손상이 현저히 다르며, 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tern of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lateral and medial menisci and the treatment modality and results from accompanying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group I: 52patients, 52cases) and lateral meniscus (group II: 31patients, 32cases) from September 1998 to December 2002. The mean ages were 25years $(16\~66)$ for Group I and 29years $(18\~63)$ for Group II,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ere 18months $(12\~44)$ and 13months $(6\~46)$, respectively. The zone of meniscus tear and the existence of accompanying injury were verified through intraoperative arthroscopy and discoid type meniscus was additionally examined for group II. The assessment was made according to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clinical pattern at the postoperative last follow-up, and the 2nd 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19cases $(23\%)$ for the cases accompany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in both groups. Results : There were 38cases $(73\%)$ in group I, 5cases $(16\%)$ in group II for associating ACL injury. We observed discoid type meniscus (19cases, $59\%$) in group II. At last follow-up clinical success in repair cases of group I and II are 22cases $(85\%)$, 2cases $(67\%)$, in resection cases are 26cases $(100\%)$, 26cases $(93\%)$ respectively. Reoperation is performed 2cases in repair cases of group I. One case is re-rupture, the other case is newly developed tear in white-white zone. Reoperation is performed 2cases due to remnant meniscal tear in resection cases of group II. All of 2cases are discoid type menisci. Conclusion :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medial & lateral menisci would be substantially different an aspect, considering on difference would help to select proper treatment modality.

      • KCI등재
      • KCI등재

        골성 추지에서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에 의한 치료 결과

        이승림 ( Seung Rim Yi ),한성호 ( Sung Ho Hahn ),양보규 ( Bo Kyu Yang ),안영준 ( Yang Joon Ahn ),유재호 ( Jae Hoo Yoo ),여용범 ( Yong Beom Yeo ),빈성우 ( Sung Woo Bi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성 추지에서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골성 추지로 진단 받고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6명,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3개월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골절편이 원위 지관절면을 1/3 이상 침범했거나 원위 지관절의 아탈구가 있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원위 지관절 평균 신전 소실은 2.3˚, 평균 운동 범위는 68.8˚였다. 단순 방사선 촬영상 모든 예에서 골절 유합 소견을 보였다. Crawford 평가 기준에서는 12예(75%)에서 good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 술 후 2주 내의 정복 소실이 2예, 운동 시 경미한 통증이 1예 있었다. 결론: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는 수술 방법이 쉽고 간편하며 피부 절개로 인한 합병증이 없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골성 추지의 치료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for bony mallet fing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for bony mallet finger from December 2002 to January 2004.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13 (12~17) months. The indication of operation was the presence of a large bony fragment invading more than 1/3 of the articular surface or the palmar subluxation in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Results: The average extension lag was 2.3˚,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was 68.8˚. Radiograph showed bony union state in all cases. By the Crawford`s evaluation criteria, 12 cases (75%) was excellent or go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 cases, which were reduction loss within postoperative 2 weeks in 2 cases and mild pain with motion in 1 case. Conclusion: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is a easy and simple method. It shows a good result without complications from skin incision. So, it seems a useful method for bony mallet fi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