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0년대 초 잡지 『국민시가(國民詩歌)』의 시(詩) 연구

        엄인경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2 No.-

        본고는 국민시가연맹의 기관지이자 1940년대 초 식민지 조선 유일의 시가(詩歌) 전문 잡지였던 『국민시가』의 시를 유형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시가 전문잡지인 만큼 『국민시가』에는 지금까지 1940년대 ‘국민문학’ 논의의 중심이었던 『국민문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시인들이 참여하고 다수의 시가 게재되어 있으므로, 이 시기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일본어 시 전체상을 조망할 때 불가결한 대상 매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잡지의 시들은 강력한 시국적 요 청으로 국책에 부응하는 것들이 대다수였는데 이는 『국민시가』의 ‘국민문화론’이나 ‘국민시론’ 에 적극 호응하는 형태로 탄생한 것이었다. 유형별 분류로 파악해 본 것처럼 1940년대 전반기 한반도의 일본어 ‘국민시’의 기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잡지에는 전쟁시는 물론 광의의 국책시에도 수렴될 수 없는 작품들 역시 수십 편 게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영향과 『국민시가』내의 ‘시론’이 일관되지 않은 균열에서 기인한 바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ical poetry published in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such poetry. National Poetry and Tanka was the only poetry and tanka journal during the early 1940s in colonial Korea, even if it was merely a bulletin of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League. Because it was solely a poetry journal, as compared with The National Literature,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the national literary argument since the 1940s, many poets were published in it. The poetry they wrote is indispensable to a global view of Japanese poetry, even if it was writte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oetry recorded in this magazine included themes responding to situation requests. They were positive answers to the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epic theories of The National Poetry and Tanka. However, much of the work published in the magazine did not rely on such themes. One example is war poetry. Other poems were influenced by the modernism movement of the 1930s as well as by a difference of opinion on the epic theory within the magazine.

      • KCI등재

        일본의 재난시가에 관한 연구 -간토대지진에 있어서의 진재영의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엄인경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1 No.-

        . This paper examined the phenomenon of “earthquake disaster poetry,” which was previously unseen and analyzed its various types by focusing on hundreds of Tanka composed by several poets just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This analysis strived to show literary expressions, their features, and the role of poetry as earthquake disaster literature in modern-day Japan. Earthquake disaster Tanka can be typified as follows: works that keep the character as the literary record; works that describe feelings of trouble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 and works that show the true character of humans manifested while injured. Lack of narration, which is often a versicle, was made up by the shape of the work, which was produced in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s gave vivid documentation of science. Tanka poets planned for sympathy between an imbalance of the senses, a state of panic, and a spirit state catabolized by an unrealistic disaster and the survivors who offered descriptions of God-like things. Earthquake disaster Tanka succeeded in goodness and vice by showing that the true character of humans comes into focus and by presuming the varied groups formed by the victim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items were confirmed: messages as the things with which poetry responded to the most serious earthquake in modern Japanese times; a recovery of the aspect in detail; and the life formalized in literature.

      • KCI등재

        표현데이터화하는 5・7・5 -『사이다처럼 말이 톡톡 솟아올라』를 중심으로 -

        엄인경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2 일본언어문화 Vol.58 No.-

        俳句や川柳、短歌のような短詩型の文学は、今現在の日本社会で大衆的にも最も多く創作(生成)、消費、流通している文芸ジャンルである。本稿では、近頃の大衆文化の中で登場している様々な五・七・五(・七・七)をジャンルごとに察してみてから、とりわけノベライズしたアニメ『サイダーのように言葉が湧き上がる』を分析し、日本の若い世代が俳句をはじめとして短詩型文学を享有する様相と、五・七・五という音数律の表現が溢れている現状に注目し、俳句が表現のデータバースとして蓄積され働く技能を考察した。 最近の大衆文化において、俳句や川柳、短歌を作り出す若い世代は、他人との一般的な疎通に意志や自信が持てない人物と表象される。『サイダーのように言葉が湧き上がる』の中で、俳句は表現のデータとなり主人公が「俳句ラップ」をもって最後の場面で告白に成功するハッピーエンドを導くわけである。この作品の主要テーマは、男女間、あるいは世代間におけ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であるため、俳句は人物間の疎通の道具として優れた技能を見せたといえる。なお、表現のデータベースが最も多く確保されている人物であるほど、その他の人物が憧れや好感をもって従事するようになる、言語権力のヒエラルキーとストーリーの駆動力も確かめられた。 AI俳句一茶くんや、アニメ、ドラマの登場人物、テレビショーの出演者、芸能人などにより俳句、川柳などの五・七・五リズムは、ビッグデータとして生成し続け蓄積されている。言語の駆使能力および文学の表現本質という側面からも、このように増大し肥大化している短詩型のデータベースの今後は注目に値する。

      • KCI등재

        1920년대 한반도의 일본어 시단(詩壇) 성립과 우치노 겐지(内野健児) :시가 잡지 경인(耕人) (1922-1925)의 창간 초기를 중심으로

        엄인경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issues of Kōjin (1922-25), a poetry magazine published by Kenji Uchino (1899-1944), who was a poet and a teacher on the Korean Peninsula for seven years from 1921. I first review Uchino’s poetry and the previous research on him, and examine a range of relevant issues in the period before Kōjin was founded, including his literary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Japanese-language poets working in Japan and Korea at the tim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content published by Uchino when the magazine launched, I analyze the individual contributions of each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their critical perspectives, methods of expression and range of genr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ōjin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presentative Futurist and Dadaist poets, who were prominent in the world of contemporary poetry. In addition, Uchino had also had practical experience of editing and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Tanka works Homura while attending Hiroshima Normal High School, and so he received active cooperation from Shokoshisha poets, most importantly Ryuko Kawaji. This study confirms that these two facets played a role in the successful launch of Kōjin. Finally, I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cluding Tanka) published by the magazine, and with the three special issues on the local colors of Joseon, poets, and Tanka, which Kenji Uchino saw as a way to put Kōjin on a solid footing. In particular, the first special issue on Joseon’s characteristic culture and life helped Kōjin establish itself as a respected poetry magazin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se initiatives, Kōjin was able to play the role of a Parnassus or hub where various poe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Japan could connect and learn from one another from 1922 on. 본고는 1921년부터 7년간 한반도에서 시인으로 활동한 우치노 겐지(内野健児, 1899- 1944)가 처음으로 창간한 시가 전문잡지 경인(耕人) (1922-25년) 간행 초기를 범주로 하여, 이 잡지 창간의 배경 및 잡지가 초기에 드러낸 제상(諸相)과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우선 우치노 겐지의 시적 이력과 선행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경인 이 창간되기 이전의 제반 배경과 문학적 활동, 잡지 창간에 관련된 일본 및 재조일본인 주요 시가인들의 관계도를 파악하였다. 잡지 출발기에 우치노 겐지가 시도한 내용적 특징에 주목하여 이 잡지의 수록 시가를 비롯한 시의 내용적, 장르적, 구성원적 특성 전체를 면밀히 고찰했다. 이를 통해 경인 이 동시대 시단의 이슈였던 미래파와 다다이즘의 대표적 시인인 히라토 렌키치(平戸廉吉), 다카하시 신키치(高橋信吉)와 밀접한 내용적 관련을 유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히로시마고등사범 시절 가집 호무라(ほむら) 의 책임편집 및 간행의 실무 경험과 가와지 류코(川路柳虹)가 이끄는 서광시사(曙光詩社) 시인들의 적극적 협조를 배경으로 성공적인 시가 잡지로 출범할 수 있었음도 확인하였다. 아울러 우치노 겐지가 잡지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기획한 제6호<조선 정조호(朝鮮情調號)>, 제7호<시인호(詩人號)>, 제8호<단카호(短歌號)>의 내용적 특징과 역할을 짚어보았는데, 이러한 특집호를 통해 1922년 1월 창간된 경인 은 반년 정도 만에 한반도의 중심적 시가 잡지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시인들을 모이게 한 시단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어 시가 전문잡지로 1922년 벽두에 창간된 경인 의 초기 지면과 인적 구성, 짧은 기간 내에 어떠한 전개와 변모를 거치면서 한반도의 주요한 문예지로 자리를 잡아가게 과정과 역할을 포착할 수 있었다. 향후 제10호 이후 경인 의 확대 개편이라는 큰 변화의 내용을 연구해 나가기 위해서는, 동시대 일본에서 간행된 시가 잡지 및 시인들의 교유권, 그리고 한반도, 일본, 중국 동북지역, 타이완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유통된 일본어 시가라는 외연까지 시야에 넣고 대조해가야 하는 과제와 당위성 또한 부상하였다.

      • KCI등재

        한신・아와지대지진(阪神淡路大震災)의 문학화와 전쟁 기억 -오다 마코토(小田実)의 『깊은 소리(深い音)』를 중심으로-

        엄인경 한일군사문화학회 2019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7 No.-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 Deep Sound(2002) by Makoto Oda, which deals with the Great Hanshin Awaji Earthquake that occurred in 1995, as disaster fic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this novel is that the characters compare the post-earthquake circumstances to the situation that prevailed after the Pacific War more than 50 years ago. I examined three dimensions of this disaster narrative: First, the novel criticizes the human contribution to the disaster, which makes it harsher for the socially vulnerable than for the more powerful or affluent. Second, it dramatically contrasts the generational conflict and the gulf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war and the immature younger people, in this way hinting at a continuation of the disaster. Third, the ‘deep sound’ referenced in the title is recognized by the characters as a symbol of death and anxiety, but is finally transformed into the sound of life transmitted by the fetus, which ultimately makes it the symbol of reconstruction and hope. Through the above analysis, I was able to grasp the techniques through which this novel conveys the reverberations of this great disaster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in Japan, and the multifaceted meaning it carried. 이 논문은 1995년에 발생한 한신・아와지대지진과 이를 정면에서 다룬 오다 마코토(小田実)의 소설 『깊은 소리(深い音)』(2002)를 재난 서사로서 분석한 것이다. 『깊은 소리』의 등장인물들은 1995년의 대지진 후의 모든 상황을 전쟁에 빗대어 인식하고 묘사한다. 그들은 ‘전우’로서 연민과 우정을 나누며 전쟁터로 빗대어진 폐허 속을 살아가게 되는데, 이것은 한신・아와지대지진 50년 전의 1945년 전쟁을 환기시키는 특별한 소설적 수법이라 할 수 있다. 재난 서사로서 이 소설이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모두에게 공평한 자연 재해에 비해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한 인재(人災)적 성격의 재난, 둘째, 전쟁을 체험한 기성세대와 정신적으로 미숙한 십 대와의 세대 갈등과 소통의 단절의 극적인 대비와 재난의 연속성, 셋째, 표제어인 ‘깊은 소리’가 인물들에게 죽음과 불안의 상징으로서 공유되다가 결국 여성 신체를 통해 태아가 발신하는 생명의 소리로 변화되어 재건과 희망을 보여준 점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말 일본의 대도시를 강타하고 크게 동요시킨 이 대지진이 문학화 과정에서 환기한 전쟁 기억과 의도적 인물 설정 등을 통해 문학이 재난을 기억하는 수법과 의미를 고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の災難詩歌に関する研究 - 関東大震災における震災詠の類型分析を中心に -

        嚴仁卿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1 No.-

        This paper examined the phenomenon of “earthquake disaster poetry,” which was previously unseen and analyzed its various types by focusing on hundreds of Tanka composed by several poets just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This analysis strived to show literary expressions, their features, and the role of poetry as earthquake disaster literature in modern-day Japan. Earthquake disaster Tanka can be typified as follows: works that keep the character as the literary record; works that describe feelings of trouble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 and works that show the true character of humans manifested while injured. Lack of narration, which is often a versicle, was made up by the shape of the work, which was produced in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s gave vivid documentation of science. Tanka poets planned for sympathy between an imbalance of the senses, a state of panic, and a spirit state catabolized by an unrealistic disaster and the survivors who offered descriptions of God-like things. Earthquake disaster Tanka succeeded in goodness and vice by showing that the true character of humans comes into focus and by presuming the varied groups formed by the victim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items were confirmed: messages as the things with which poetry responded to the most serious earthquake in modern Japanese times; a recovery of the aspect in detail; and the life formalized in literature.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센류(川柳)와 민속학

        엄인경 일본어문학회 2013 일본어문학 Vol.63 No.-

        本稿は、昭和初期に植民地朝鮮で刊行された川柳の専門雑誌『川柳三昧』の現存本(1928年1月号-1930年12月号)をもって、当時の在朝鮮日本人の大衆詩である川柳が表した世界と、南山吟社の同人活動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れを通して、まずは、植民地期初期から朝鮮半島には柳壇が形成しており、有力者を中心とした南山吟社の同人たちが「内地」日本に発信するにも遜色のない柳誌『川柳三昧』を刊行したのがわかった。その『川柳三昧』に載せられた川柳作品を分析したが、全般的には朝鮮の現実を形象化した川柳がわりあい多くはなかったが、南山吟社の主要同人で催された月例会では朝鮮の風物と風俗に関する観察を描こうとした試みが見られた。それは「内地」日本の川柳とは違う朝鮮の川柳を創作しようとする限られた試みでもあった。それから、そのような朝鮮的な川柳を主導しながら、朝鮮の奇談や珍談、あるいは朝鮮風物に関する考証の記事と川柳作品を『川柳三昧』に提示しつづけた今村鞆(雅号螺炎)の活動を通じ、川柳と朝鮮民俗学の接点が確認された。本稿で『川柳三昧』という朝鮮半島の有力柳誌の発見と川柳の見直しにより、今まで短面的な解釈と理解にとどまっていた在朝鮮日本人の人物研究、植民地期における朝鮮の言語現状、朝鮮の大衆的な文化と民俗、文学ジャンルの間の交渉に関する研究の外延が広がる可能性が捉えられたと思われる。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의 단카(短歌) 잡지 『진인(真人)』과 조선의 민요

        엄인경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본 논문은 1920년대 중반 이후 한반도에서 ‘조선 민요’라는 개념이 형성되는 과 정에서 일본의 전통시가인 단카(短歌) 장르와 가인(歌人)들의 개입한 사실을 모티브 로 하여, 『진인(眞人)』의 「조선 민요의 연구(朝鮮民謡の研究)」 특집호가 탄생한 배 경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진인』으로 대표되는 재조일본인 가인들은 조선의 고유함과 특수함을 적극적으 로 발견하며 식민지 문단으로서 일본의 중앙 가단(歌壇)과는 변별되는 향토성(로컬 컬러)에 뿌리를 내리는 고유한 단카를 수립하려고 하였다. 둘째, 가인들의 이러한 노 력은 조선 민요에 대한 조사나 그 특성의 발견으로 이어졌으며, 「조선 민요의 연구」 라는 조선 민요 최초의 연구서를 특집호로 기획하는 배경이 되었다. 셋째,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나 미치히사 료(道久良)와 같은 『진인』의 대표자들이 조선 민요 담 론화, 조선색 구현 및 발견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나아가 식민지 조선의 가단은 활발하게 문단의식을 가지고 일본 본토와는 다른 새로운 식민지 문단을 구축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계기가 바로 ‘향토성=조선색’이 라는 당시 한반도 가단의 문학적 담론이며 이에 기반한 ‘조선 민요’에 대한 관심과 재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Research of Korean Folk Songs”, the special number of “Shinjin” was born and what its characters are by the motive that Tanka, the japanese traditional verse songs, and Tanka poets had an influence on Korean Folk Songs in Korean Peninsula since the mid 1920s. From this, I drew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 First, Shinjins representing Japanese Tanka poets who were in Korean Peninsula found Korean literacy's own and special characters and tried to found a unique Tanka rooted in Korean local colour as a literary world of a colon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Japanese Tanka Association. Second, these efforts by Tanka Poets led to the examination on Korean Folk Songs and the discoveries in their characters, and also could be a background for a project to issue the special number of “Research of Korean folk songs”, the first study on Korean folk songs. Third, the representatives of Shinjin, like Ichiyama Morio and Michihisa Ryō,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scussions about Korean folk songs and discoveries in the embodiment of the Korean local colour. Further the fact was confirmed that the Tanka association in Korean Peninsula having the lively literary consciousness variously tried to establish the literary world of a colony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Japanese mainland. Those trials led to the literary discussion about the Korean local colour by the Korean Peninsula Tanka association and with this, they had concern about Korean folk songs and recognized them an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