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엄은나,서동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2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good teacher’ as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study, I have analyzed 536 reflective journals about ‘good teacher’ written by 67 junio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three-year college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first that the subjects recognize it as the feature of ‘good teacher’ that he/she as a teacher should love early children equally, express respect and empathy, and behave with everlasting love. A second feature is that a good teacher as a well teaching one should be prepared well for class, encourage active questions and provide smooth answers, lead classes expertly, and be equipped with expertise. A third one is that a good teacher as a teacher who well takes care of himself/herself should have an appearance and personality appropriate for a teacher, behave responsibly, and constantly make efforts for self-development with passion and love for his/her work. From thes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learn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of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process of delight and self-growing based on dedication and servic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교사'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67명이 ‘좋은 교사’에 대해 작성한 536개의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첫째, 유아를 사랑하는 교사로서 유아를 공평하게 사랑하고, 유아가 원하는 사랑을 하며, 유아에 대한 한없는 사랑을 실천하는 것을 좋은 교사의 모습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잘 가르치는 교사로서 꼼꼼한 수업 준비, 원활한 질문과 대답, 노련한 수업 진행, 전문 지식으로의 무장을 좋은 교사의 모습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자기 관리를 잘 하는 교사로서 교사다운 외모와 인성, 책임감 있는 행동, 일에 대한 열정과 사랑, 자기 계발을 위한 꾸준한 노력을 좋은 교사의 모습으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직을 헌신과 봉사를 바탕으로 한 즐거움과 자기 성장의 과정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치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엄은나,서동미,이경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있는 3년제 A대학의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유치원 교육실습에 참여한 학생 35명이 유치원 교육실습 중에 작성한 6회의 저널과 실습종료 후 작성한 2회의 저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에서의 좋은 수업의 의미는 '유아가 집중하는 수업', '유아의 지식을 확장시켜주는 수업', '순조롭게 진행되는 수업', '유아에게 자신감을 주는 수업'으로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35 senior students in the A College who have also experienced the teaching practicum. For this study, we analyzed 275 journals collected from 35 senior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Among meanings of good instruction, the first one is concentration. They perceived that good instruction occurred when learners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educational processes. The second one is expansion of knowledg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good instruction should includ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o have expansion of knowledge, it is essential for the teacher to ask appropriate questions. The third one is careful preparation of teaching and flexibility. They thought that what made good instruction was partly due to preparation of systematic planning in advance of actual teaching. Through careful preparation, teachers can have self-confidence about their class. The final one is confidence. They recognized that good instruction has to provide fun and invoke confidence in children. When children are interested in an activity, they will be genuinely interested in class activities and gain confidence and meaningful learning.

      •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현장실습의 어려움

        엄은나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3 아동보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실습의 어려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이한 목 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127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 정규유치원 현장실습 기간 동안 작 성한 저널 내용을 토대로 유치원 현장실습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의 내용 및 양 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교수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유치원 현장실습 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실습 지도교사와 실습 중 개인적 갈등 및 실습기관과 관 련된 다양한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또한 실습 진행시기에 따른 어려움은 실습 1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 후반으로 갈수록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주요 어려움의 내용은 각 시 기별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엄은나,서동미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1

        ㅎ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에 참여한 학생69명이 실습 중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및 은유하기와 이미지 그림,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가슴 설레는 축제', '울타리 있는 놀이터', '배움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함께 하는 교사’, ‘끌어주는 교사’, ‘바로잡아주는 교사’, ‘북돋아주는 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인식을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직전교육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있다.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엄은나,강정원,박성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07 아동과 권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anguage games, which us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o enhance language expressions and peer relationships. The test was administered to 56, 5-year-old children(29 in the experimental group, 27 in the comparative group) at the 'H' and 'S' care centers in a middle class, Seoul. The game was played 20 times during an eight week period. The expressive ability of each chil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level based on their ability to create a story using wordless picture books.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quantity-words, sentences, the words used to describe /quality-the concept of the story structure, vocabulary and sentenc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ame on peer relationships, a peer rating test was given through an interview of the children in both groups.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is concluded that games wit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peer relationships in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또 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중산층 아파트 밀집지역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Y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56명이며, 8주 동안 실험집단에 총 20회의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 측정을 위해 그림 보고 이야기꾸미기 활동 결과에 나타난 이야기 구조 개념, 어휘, 문장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또래관계 측정을 위한 또래평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또래관계 및 언어표현력의 모든 영역- 이야기 구조 개념, 어휘, 문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 증진에 효과 있음을 보여주었다.

      • 유아문자언어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교수 신념과 교수효능감 및 교수 실제 간의 관계

        엄은나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09 아동보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문자언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교수 신념, 교수효능감, 교수 실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 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 의 학력에 따라 유아문자언어교육에 대한 교수 신념과 교수효능감 중 교수 능력에 대한 신 념, 교수 실제에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 전통적 신념과 전통적 교수 실제에 차 이를 보였으며,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전통적 교수 신념 및 교수 실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담당 학급의 유아 수에 따라 전통적 교수 신념에 차이가 있었다. 언어 관련 이수과 목 수에 따라 교수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결과에 대한 기대 및 전통적 교수 실제에 차이가 있었고, 언어교육 연수 횟수에 따라 교수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결과에 대한 기대 및 총체적 교수 실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문자언어교육에 대한 교수 신념, 교수효 능감, 교수 실제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총체적 교수 신념은 교수효능감, 총체적 교수 실제 와 정적 상관을 보인데 반해, 전통적 신념 및 전통적 교수 실제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 며, 전통적 교수 신념은 전통적 교수 실제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 KCI등재

        의사소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엄은나(Eom Eun N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64명이며, 실험집단에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총 36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교사평정 검사와 또래수용도 측정을 위한 또래평정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상호작용 행동의 모든 항목 및 또래수용도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에 효과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peer-accepta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4 (32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32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5-year-old children at the 'H'care center and the 'S'care center in Nowon-Gu, Seoul. This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a peer rating test was given by means of an interview to all children and a teacher's evaluation questionnaire on peer interactions was answered by both groups of teachers. SPS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eer interaction ac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all fields.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eer-acceptance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엄은나(Eun na Eo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인성과 각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의 방향 및 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의 5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17명으로 2015년 9월 한 달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은 학년, 전공 만족도, 교우관계 만족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의 하위요인들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긍정적 자아개념은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와 높은 상관을 보여 그 중요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강화 및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중점을 둔 인성교육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ultimatel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ampled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do, Gangwon do and Jolla do, and they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for a month in September,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year, major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ub factors of personality and the sub factors of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positive self concep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ub factors of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suggesting its importance with regard to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o reinforc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o introduc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self concept.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능력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엄은나(Eom Eun na),강정원(Kang Jeongwon),박성희(Park S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과 Y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51명이며, 9주 동안 실험집단에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을 총 26회 실시하였다.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가각 t-검증과 공변량 분석을 통해 처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는 이야기꾸미기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또래 수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applying Traditional Korean Songs to group activities affects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ies and peer acceptance. The study involved 51 four-year-old children (28 in the experimental group, 23 in the comparative at the 'Y' and 'S' daycare centers in a middle-class town in Seoul.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Korean songs were played for 9 weeks for a total of 26 times. In the study, children were asked to view a text-free picture book and to tell the story connected to it. The storytelling ability of the child was determined after evaluat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vocabulary, power of expression, and imagination. Also,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n peer acceptance was examined and a peer rating score was given through an interview with both groups. The data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cova.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vocabulary, the story structure, expressions, and imagination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versus comparative group. In addition, peer acceptance was mo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e concluded that the group activities involving traditional song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storytelling ability and peer acceptance in young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와 예비 어머니의 부모관 및 자녀관

        이병래,엄은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3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tendencies of mothers’ and future mothers’ view of parents and view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mothers with infantile children in Seoul and Daejeon and 208 female students at C University in the capital area. A questionnaire that represented the views of parents and children in metaphors was used to collect data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thers and future mothers’ views of parents were found to be ‘a devoted person in charge of rearing’ > ‘a shelter of body and mind’ > ‘a guide in growth’ > ‘a desirable life model’ > ‘an accompanying friend’ > ‘a growing person’ > ‘a problem solver’ > ‘an essential condition of life’ in order of frequency.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most frequent view of parents in the mother group was ‘a devoted person in charge of rearing’ and that in the future mother group was ‘a guide in growth.’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an accompanying friend’ was higher in the future mother group than in the mother group. The views of children were found to be ‘a person formed by environment’ > ‘a unique individual’ > ‘a vitamin of life’ > ‘a likeness of parents’ > ‘a being with possibility’ in order of frequency. The most frequent view of children in the mother group was ‘a vitamin of life’ and that in the future mother group was ‘a being with possibility,’ show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본 연구는 어머니와 예비 어머니의 부모관 및 자녀관의 경향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 지역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1명과 수도권 소재 C대학교의 여학생 208명이다. 부모 및 자녀에 대한 관점을 은유로 표상하여 작성한 질문지를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예비 어머니의 부모관은 ‘헌신적인 양육책임자’>‘몸과 마음의 안식처’>‘성장의 길잡이’>‘바람직한 삶의 모델’>‘늘 함께 하는 친구’>‘성장하는 인간’>‘뭐든지 다 해결해주는 사람’>‘삶의 필수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별 경향을 살펴보면 어머니는 ‘헌신적인 양육책임자’로서의 부모를, 예비 어머니들은 ‘성장의 길잡이’로서의 부모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자녀에 대한 관점은 ‘환경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인간’>‘독특한 인격체’>‘삶의 활력소’>‘부모의 닮음꼴’>‘가능성을 지닌 존재’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삶의 활력소’인 자녀의 모습을, 예비 어머니는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자녀 모습을 더 높게 인식하여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