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달 서비스 플랫폼의 가치공동파괴와 회복에 관한 연구

        엄성원(Seong-Won Eu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기반의 감성분석과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활용하여 배달앱에서의 공동가치파괴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배달의 민족앱의 리뷰 2,160개를 활용하였다. 공동가치파괴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Textom를 활용하여 감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Netminer를 활용하여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공동가치파괴요인으로 첫 번째는 “정책”,“인상”,“포인트” 등이며, 두 번째는 “확인”,“카드”,“업체” 등이다. 세 번째는 “취소”,“주소”,“인증”,“배달비” 등이다 마지막으로 “회원”,“할인”,“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고객이 남긴 리뷰를 활용하여 서비스 실패요인을 바탕으로 가치공동파괴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프로세스 실패와 결과 실패로 구분하여 가치공동파괴요인을 추출하였다. 가치파괴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회복과 개선을 위한 향후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은 플랫폼 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문제가 가치공동파괴로 측정될 수 있음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서비스 과정에 있는 각 객체들이 인식하는 가치공동파괴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더욱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mon value co-destruction factors in the delivery app industry by utilizing text mining-based sentiment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2,160 reviews of Baedal Minjok's app, with Textom used for sentiment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performed using Netminer 4.0.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common value co-destruction factors in the delivery app industry. The first category of factors included “policy,” “increase,” and “point,” while the second category included “confirmation,” “card,” and “company.” The third category of value co-destruction factors included “Cancellation,” “Address,” “Authentication,” and “Delivery Fee,” among others. Finally, the study also identified “Member,” “Discount,” and “Service” as additional value co-destruction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ervice failure in the delivery app industry. By identifying these value co-destruction factors businesses in this industry can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service recovery and improvement.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y's findings may be limited due to the potential shared destruction of values resulting from interactions within the delivery app platform. Future studies could seek to identify value co-destructive factors recognized by each object in the service process which may provide further insights into the factors contributing to service failure in the delivery app industry.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문화 간 차이 연구

        엄성원(Eum, Seong-Won),임병학(Leem, Byung-Hak),임두빈(Im, Doo-B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8 중남미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 마케팅 전략에 있어 새로운 수단으로 등장한 소셜미디어의 수용과 인게이지먼트가 문화권마다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최근의 관찰에 따라, 팬 페이지 포스팅 유형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이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팬 페이지 포스팅의 역동성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포스팅 유형에 따른 인게이지먼트가 미국 내 거주하는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검증은 도요타 페이스북 팬 페이지의 히스페닉과 비히스페닉 버전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팬 페이지 포스팅의 역동성이 높은 포스팅이 인게이지먼트가 높을 것이다(가설1)는 지지되었다. 팬 페이지 포스팅 길이가 긴 포스팅이 인게이지먼트가 높을 것이다(가설2)는 기각되었다. 팬 페이지 포스팅 유형에 따른 인게이지먼트가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3)는 지지되었으며 팬 페이지의 포스팅의 길이에 따라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설4)는 기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문화 간 차이가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서도 나타났으며,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팬 페이지를 구성한다면 팬 페이지 활성화를 통한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an page posting style affects engagement.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fan page posting activity on engagement and the type of posting were examin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posting dynamics of the posting of the fan page will be higher (Hypothesis 1). The fan page posting length is long and the postage will be high (hypothesis 2) was reject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volvement of fan page posting types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Hypothesis 3), and the difference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Hypothesis 4) was reject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posting of fan page. Cultural differences also appeared on the Facebook fan page, and building a fan pag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ulture would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the fan page.

      • KCI등재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활용한 강의평가 연구

        엄성원(Eum, Seong-Won),임병학(Leem, Byung-Hak)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생들이 남긴 개방형 질문을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 요구사항을 군집화하여 이를 향후 수업에 반영함으로써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학생 피드백의 의미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단어간의 빈도 분석, 단어 의미 네트워크 분석, 단어 의미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그리고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은 총 4단계로 진행되었다. 단어빈도 분석, 의미네트워크 시각화, 의미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그리고 구조적 등위성 분석이다. 단어빈도 결과는 ‘교수’, ‘내용’, ‘되다’, ‘쉽다’, ‘어렵다’ 등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등위성 분석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1은 교육환경, 그룹2는 학습방법, 그룹3은 학습환경 그리고 그룹4는 학습경험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달리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좋은 수업을 위해 학생들이 남긴 키워드 및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통해 학생 요구사항을 4개 차원으로 군집화하였다. 즉, ‘교육환경’, ‘학습방법’, ‘학습환경’ 그리고 ‘학습경험’으로 구분하였으면, 각 차원을 중심으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요구사항을 파악하기위한 방법으로 설문지를 활용하는데 설문지 활용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개방형 질문을 파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by clustering student requirements using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of open-ended questions left by students and reflecting them in future classes. [Methodology] In this study, text mining was used to analyze the semantic network of student feedback, and by utilizing the frequency analysis between words, the wor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word semantic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i-satellite analysis, the students truly desired through student feedback. I figured out what it was. [Findings]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steps. These are word frequency analysis, semantic network visualization, semantic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The word frequency result was found as ‘professor’, ‘content’, ‘become’, ‘easy’, ‘difficult’, etc.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ivalence satellite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group 1 a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group 2 Learning method, group 3 was classified as learning environment, and group 4 was classified as learning experience. [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students’ need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 keywords left by students for good cla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econd, students’ requirements were clustered into four dimensions through CONCOR. In other words, if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method’,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xperience’ were divided, the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each dimension. Fi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sing questionnaires as a method to identify student needs, open-ended questions were identified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KCI등재후보

        서비스실패의 허용영역과 심각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옥정원,윤대홍,엄성원,임선주,Ock, Jung Won,Yun, Dae Hoong,Eum, Seong Won,Yim, Sun J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6 서비스연구 Vol.6 No.2

        As the development of service marketing, research on service failure has gained more and more attentio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service failure severity perception, focus on consumers' internal propensity, ZOT(zone of tolerance) about service and comparison with other consumers in service failure situation. According to study results, it revealed that past experience satisfac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zone of tolerance about service failure. Company image also has negative effect on the ZOT about service failure. While service importance has negative effect on the ZOT about service failure, it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 service failure severity. The ZOT about service failure has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serviced failure severity. In contrast, social comparison perception level has no effect on perceived service failure severity, and negative affectivity also has no effect on that. In Conclusion, five hypothesis are accepted among seven hypothesis. This study gives important point to researchers and service providers in the service industry. For researchers, the result will be helpful them to further develop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framework. For service providers, the results will suggest specific guidelines for recovering the service failure. They can place emphasis on the serious point, so they can get a effective performance from the recovery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서비스 자체의 요인, 소비자의 내적 요인, 주위 상황 등의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실패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서비스 실패 상황에 대한 불평 행동과 이탈 행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과거 경험의 만족도, 기입이미지, 서비스 중요도는 서비스 실패에 대한 허용 영역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 중요도는 지각된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 실패에 대한 허용 영역은 지각된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가설 1, 가설 2, 가설 3, 가설 4, 가설 5는 지지되었다. 반면, 사회비교에 대한 의식 수준은 지각된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 성향 또한 지각된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6, 가설7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연구자 및 제공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서비스 실패 및 회복 프레임워크를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실패를 회복하기 위한 특정 가이드라인 제공을 통해서 서비스 회복 전략에 효과적인 심각성 포인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BtoB거래에서의 협업 Quality 측정도구 개발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연구

        옥정원(Ock, Jung Won),엄성원(Eum, Swong Wo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BtoB거래에서의 협업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협업을 구성하는 요소가 불명확하기에 협업Quality라고 명명한 측정도구 개발이 목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BtoB기업의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다. 협업Quality의 측정개발은 Study1, Study2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Study1에서는 FGI를 통해 협업 Quality의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해 협업의 구성요인을 알아냈다. Study2에서는 측정항목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여 4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이 요인들을 신뢰, 공유된 목표, 정보공유성, 조직유연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요인들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협업Quality는 BtoB거래에서 공급업체와 구매업체간의 협업을 의미하며, 개발된 측정도구는 향후 협업과 파트너십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ing tool called 'Collaboration Quality amid current uncertainty over elements forming collaboration despite its importance in BtoB transaction under rapidly changing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on which basis we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BtoB corpor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measurement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Quality were made in Study 1 and Study 2. Study 1 involved development of measurement items related to Collaboration Quality through FGI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forming collaboration through interview of expert groups. Study 2 involve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derivation of 4 related elements which were called reliability, shared objectives, information-sharing, and organizational flexibility. Finally, w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rived elemen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Collaboration Quality in this study refers to collaboration between corporate suppliers and corporate buyers in BtoB transaction and will provide basis for research into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in the period ahea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옥정원 ( Jung-won Ock ),엄성원 ( Seong-won Eu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생활협동조합의 조직시민행동(OCB)이 관계품질, 사회품질 그리고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생활협동조합의 구성원들은 상호 간의 좋은 관계 형성을 통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시민행동(OCB)은 관계품질 과 사회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1,H2). 둘째, 조직시민행동(OCB)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혀냈다(H3). 셋째, 관계품질이 사회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4). 마지막으로 관계품질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혀냈다(H5). 하지만 사회품질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H6). 본 연구를 통해 마케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조직시민행동이 생활협동조합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f the cooperative associa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social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mbers of the life cooperative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cooperative performance through the formation of good relations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has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social quality (H1, H2). Seco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3). Third, relationship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quality (H4). Finally, we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5). However, social quality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in the field of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s.

      • KCI등재

        소비자의 지속적인 친환경소비행동을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는가?

        서문식 ( Munshik Suh ),엄성원 ( Seongwon Eum ),손은지 ( Eunji So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소비자들이 소비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소비자가 친환경소비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 많은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고려나 환경가치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언급하였다(Carrington et al., 2014; Luchs et al., 2010).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식량과 물 부족, 에너지 고갈 등 환경문제가 전 지구적 화두이자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다(세계리더스보전 포럼, 2015). 이렇듯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면서 소비자들의 친환경소비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가 인식하는 환경에 대한 가치 혹은 중요성이 반드시 소비자로 하여금 친환경소비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내용에 주목하여, 소비자들이 환경에 대해 느끼는 가치만큼 친환경소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신념에 대해 밝혀보았다. 본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는 중요한 신념으로는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PCE(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 이하 PCE)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증을 하고, 이후 소비자 친환경행동에서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PMI(Perceived Marketplace Influence ; 이하 PMI)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일반적인 소비행동을 보다 친환경 소비행동으로 이끌어 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념임을 밝혔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소비자가 느끼는 환경에 대한 가치를 2가지로 구분하여 친환경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환경관심, 건강관심은 PCE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관심, 환경지식, 건강관심, 혁신성, 집단중심성은 PMI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환경가치가 친환경소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념 PMI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PMI가 중요한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환경가치와 PMI사이에 자기결정성이 중요한 조절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The fact that consumers have begu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nviroment in consumers consumption process means that consum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already mention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values are important factors(Carrington et al., 2014; Luchs et al., 2010).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food and water shortage, energy depletion, etc., have come to the fore as a global issue and key challenge(World Leaders Preservation Forum, 2015). A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s increasingly emphasized,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nvironment 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However, the value or importance perceived by consumers towards environment does not necessarily lead consumers to be involved in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important beliefs leading to consumers’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of which extent would be proportional to the value that they perceive towards environment with a focus on matters mentioned before. Specifically, we primarily validate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hereinafter referred to as “PCE”) which has been dealt with in many studies in connection with important belief mentioned in this study, and furthermore, verified Perceived Marketplace Influence(“PMI”) which was examined in this study intensively. That would clearly be the belief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urning ordinary consumption behaviors of consumers into mor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In summary, this study classified the environment perceived by consumers into two different types. The verification of effect on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showed that environment interest and health intere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CE while environment interest, environment knowledge, health interest, innovativeness, and group-oriented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MI. Moreover, it turned out that PMI played important mediating role in connection with the medicating effect on belief PMI so as to allow environment value, the key focus of this study, to lead to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Finally, It is statistically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that self-determination plays an important moderating role between environmental value and PMI.

      • KCI등재

        즐거움이 과연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옥정원 ( Jung Won Ock ),엄성원 ( Seong Won Eum ),김한주 ( Han Ju K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참여를 통해 일어나는 감정적 반응인 즐거움을 통해 조합원과 생활협동조합의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매력성, 지속적 정보탐색 및 호혜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Flow)이론에 입각하여 참여와 참여를 통한 즐거움이 조합원의 몰입을 이끌어 내고 이러한 몰입을 통해 생활협동조합원들은 생활협동조합 제품에 대한 매력성을 지각하게 되면 상호 호혜성, 충성도 및 관계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가설(H1,H2,H5,H7,H8,H9)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참여를 통해 참여 즐거움을 느낀 조합원들은 제품 과 생활협동조합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탐색을 한다는 것은 가설(H1,H2,H3)로 검증이 되었고 또한 이런 조합원들 생활협동조합 제품에 대한 매력성을 통해서도 또 다른 정보탐색에 대한 욕구가 생기고 더욱 더 생활협동조합과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탐색하려고 한다는 것을 가설(H4)를 통해서 지지되었다. 하지만, 생활협동조합의 조합원들이 참여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게 되면 좀 더 생활협동조합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려 하고 또한 친환경제품에 대한 관심도 더욱 가지게 되면서 생활협동조합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탐색을 한다는 것은 앞선가설에서 검증되었지만 이러한 지속적 정보탐색을 통해 생활협동조합에 대한 상호 호혜성 지각 혹은 생활협동조합에서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합원들에 대한 상호 호혜성 지각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가설(H6)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유기농 제품사용의 중요성 혹은 친환경제품에 대한 중요성을 지각한 소비자들이 생활협동조합에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생활협동조합의 제품을 구매하려고 하지만 각각의 조합원들의 개인특성과 개인이 추구하는 목적에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cooperative and its members through enjoyment, an emotional reaction produced by participation, using the parameters of attractiveness,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and reciprocity. In this research, it was verified with the hypotheses (H1, H2, H5, H7, H8, H9) that if enjoyment, induces engagement of the members of the consumer cooperative through participation on the basis of the Flow Theory, the members will become aware of the products of the consumer cooperative through engagement and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ciprocity, loyalty, and continuity of relations. It was also verified by the hypotheses (H1, H2, H3) that the members who felt enjoyment, through participation make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for the consumer cooperative and its products. In addition, it was supported by the hypothesis (H4) that such members have the desire to make additional information search through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s of the consumer cooperative and continue to search fo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sumer cooperative. However, while the previous hypotheses proved that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try to searc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operative when they feel enjoyment, through participation and make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for the products of the consumer cooperative with more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he hypothesis (H6) shows that such a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does not produce reciprocal recognition of the consumer cooperative or its members, which has an important suggestion in this study. It means that though the consumers who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using organic products 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ant to purchase the products of the consumer cooperative by participating in it as member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goals pursued by each member appear differently. the increasing attention on the care-helper``s role in Korean societ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its job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job stres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stresses with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and task-conflicts based on 248 care-helper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shows that task significance and task ident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stress, whereas feedback is negatively related to. Second, it is found that both relationship and task conflicts have positive influences with job stress. Third, the empiricalresult shows that relationship conflict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es but task-conflict h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 KCI등재

        학생만족도에 대한 교육품질 속성의 비대칭·비선형 영향 연구

        임병학(Byung-Hak Leem),엄성원(Seong-Won Eum),변수연(Su-Youn Byo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품질 속성에 대한 비대칭, 비선형 분석을 통해 학생만족도 향상을 위해 어떠한 속성을 강화할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속성을 개선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에 대한 비대칭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PRCA분석, AIPA(Asymmetric impact-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전략적 방향성 제시를 위해 IA와 속성 간의 매트릭스를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속성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번째, PRCA 분석 결과 전공교육과정은 일원적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양교육과정, 비교과프로그램, 행정서비스는 매력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교수상담, 정보시스템서비스 그리고 이클래스는 기본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두번째, IA와 속성 매트릭스 결과는 비교과프로그램, 교양교육과정, 행정서비스는 공격적인투자를 통한 개선영역이며, 정보시스템, 교수상담, 이클래스는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전공영역은 투자를 더육 강화해야 할 요인으로써 중요한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속성에 대한 AIPA적용을 통해 교육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제공해주고 교육속성요인 내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속성을 분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학생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attributes to strengthen and which attributes to improve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through asymmetric and non-linear analysis of educational quality attribut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asymmetr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attributes that affect student satisfaction. For this, PRCA analysis and AIPA(asymmetric impact-performance analysis) were used, and a matrix between IA and attributes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to further suggest strategic directions. Through this analysis,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attribute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CA analysis, the major curriculum was classified as a one-dimensional fact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non-curricular program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classified as attractive factors, and professor counseling, information system service, and this class were classified as must-be factors. Second, IA and attribute matrix analysis results show that non-curricular programs, liberal arts curriculum, and administrative services are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aggressive investment, and information system, professor counseling, and this class are classified as areas that must be improved first. and the major area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area as a factor that should further strengthen investment. Last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iority of alloc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IPA to educational attributes and to classify the attributes that need to be improved first within the educational attribute factors. This will help to efficiently utilize resources and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