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전문직업성,소진, 조직몰입 변수를 중심으로

        어용숙,김미숙,박유진 한국심리협회 2015 심리행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다양한 영향 요인 중 전문직업성,소진,조직몰입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본 연구의 자료는 U시 소재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평균 94.50점,소진 59.26점,조직몰 입 25.29점,이직의도는 15.29점이었다.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20대의 연령에 종교가 없고,기 타 병동에 근무하며 밤근무를 하면서 현병동에 만족하지 않은 경우일 때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전문직업성과 조직몰입이 높을수록,소진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이직의도에 영향 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는 조직몰입,소진,전문직업성 순이었으며,이들 요인이 이직의도를 61.6% 설명하였다.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몰입과 전문직업성을 높이고 소 진을 낮추는 인적자원 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zation,burnout,organizationalcommitmentandturnoverintention,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turnoverintention ofclinicalnurses.The datawascollectedfrom 140nursesin fourhospital,betweenApril1tomay 30, 2010.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correlation,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was 15.29(SD=4.55)pointson average.Age,religion,unit,nightshiftand satisfaction ofcurrentunitweresignificantturnoverintention.Thesignificantpredictorsof nurses’turnover intention were professionalization,burnout,and organizational commitment.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61.6%.The study suggested thatto decrease the nurses’turnover intention were reinforced the professionalization,organizationalcommitment,anddecreasedtheburnout.

      • KCI등재

        일상생활의존도와 가족 대처자원이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용숙,윤치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ependence of ADL(Activity of Daily Life) and coping resources on parenting stres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78 families who their child attended in early education of registered institution and association of disabled parents in Ulsan. The research instrument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WeeFIM (self-care, elimination management, riding, locomotion, social cognition), FSS(Family Supoort Scale), family empowerment(system advocacy, knowledge, competence,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elf-care, elimination, communication, social cognition of ADL, family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parenting stres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DL, social support and family empowerment, which explained about 29.7%.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improving ADL, family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일상생활의존도와 가족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등 가족 대처자원이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U지역에 있는 8개 장애아전담 보육시설, 복지관 및 장애인부모회에 등록된 18세 이하의 장애아동 부모 2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피어슨 상관관계, 다단계회귀분석, t검증,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상생활의존도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 임파워먼트가 높으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며,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요인으로는 가족의 건강상태지각, 장애 심도, 사회적 인지 및 가족의 능력이 전체변량의 29.7%를 차지하였다. 또한 장애아동을 돌보는 양육자의 건강상태가 나쁘고, 장애아동이 남자이고, 아동의 장애정도가 심한 가족이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아동 취약가족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면밀히 사정하여 지지적 중재를 제공해주어야 하며, 또한 가족의 장애아동에 대한 양육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방법이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므로 이에 대한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직무특성과 보상공정성이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어용숙,조규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job characteristics, head nurses' leadership, compensation justice and empowerment,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empowerment of nurses in secondary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6 nurses in nine secondary hospital in Ulsan and Yangsan from April 1 to May 15, 2009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nurses' empowerment was 3.66 points on average. Nurses' age, education, position, department, clinical duration, night shift, month income and bed number were significant empowermen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es' empowerment were task importance, task identity, autonomy, procedural justice.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44.8%. The study suggested that to improved the nurses' empowerment were reinforced the job characteristics and compensation justice. 본 연구는 2차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특성과 보상공정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U시와 Y시의 2차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6명이었으며, 본 연구의 도구는 Spreitzer(1995)의 정해주(1998)가 번안한 임파워먼트 도구, Hackman과 Oldham(1975)의 김현정(1992)이 번안한 직무진단조사(Job Diagnostic Survey) 도구, Price와 Muller(1986)의 분배공정성과 Moorman(1991)의 절차공정성을 이희자(1998)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는 평균 3.66점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자율성, 절차공정성이었으며, 이들 4개의 변수는 임파워먼트를 44.8% 예측 설명하였다.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경로분석

        어용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3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B시 소재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93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설적 모형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으며,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들이 이직의도를 50.2% 설명하였다.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소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에 직・간접효과는 있었지만 총효과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와 총효과에서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은 소진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진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개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것이 조직몰입을 높이고 소진을 감소시켜 이직의도를 낮추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Between april 1 to may 30, 2010, 193 nurses were recruited from hospitals in B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was 14.87 (SD=4.71) points on average. A modified model was retained, as the final path model showed a very good fit with the data.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burnout. In addition, empowermen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were found to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In conclusion, this path model wa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these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leads to positive work effectiveness.

      • KCI등재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어용숙,안혜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 on the caregiver burd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parents who care a child with cerebral palsy at home. Family Suppor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Dunst and Trivette's model(1994). Using the program,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Oct., 2004 to Jan., 2005, in which parents whose children aged 1 to 6 register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arly disabled children participated. Family support program was practiced over 8 weeks, with one time twice a week and two hours a session ba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treatment with Family Support Program, the subjects was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score for burden and increased in score for quality of life in the comparison to the pre-test. But, the program was not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score of depression. In conclusion, Family Support Program is ver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burden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having a child with cerebral palsy. It would recommend the program should be repeated to other parents. 본 연구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 부모의 부담감,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Dunst와 Trivette(1994)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모형에 기초하여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장애전담 조기교육 기관에 내원하는 10명의 뇌성마비아동 부모에게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 부모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 부모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부담감을 감소시켰으며 이후 대조군의 선정과 더 많은 대상자에게 본 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가족 관련 변인이 일반학교 장애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어용숙,김영혜,이내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여 장애아동의우울과 관련된 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U지역에 소재한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으로 설문지를 작성할 정도의 인지수준이 되는 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64쌍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피어슨 상관관계, 다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관련 변인으로 부모교육, 부모직업, 월수입, 부모의 우울이었으며, 이들 변인이 장애아동의 우울을 설명하는 변량은 29.9%이었다. 특히 부모의 우울이 장애아동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을 교육하고 중재하는 치료자는 장애아동 뿐만아니라 아동의 부모를 함께 포함하여 중재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부모와 장애아동의 관계를 면밀히 파악하여 부모-자녀 관계가 긍정적인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후 좀 더 많은 장애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우울 연구를 확대 수행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바탕으로 장애아동과 가족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책과 지원이 모색되어야겠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obtain baseline data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jects were recruited 64 pairs of pare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y from 54 elementary schools in U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pression of children by parent education, job of parent, monthly income, and depression factor of parents, which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s parents’ depression that explained 29.9% of them. So, when the program educating about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of child with disabilities was planned, it should included not only the depression of child but also those of parents in program content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of child and parents was examined closely to make more therapeutic relationship.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recruited more subjects to looking for mental health related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Path Analysis of Empowerment and Work Effectiveness among Staff Nurses

        어용숙,김영혜,이내영 한국간호과학회 2014 Asian Nursing Research Vol.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predict and explain work effectiveness among staff nurses at local hospitals. Methods: Between April 1 and May 15, 2009, 340 nurses were recruited from two hospitals (one in Ulsan and one in Yangsan). Data were collected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A modified model was retained, as the final path model showed a very good fit with the data. Job characteristics and compensation justice were found to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empowerment. Job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were found to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 work effectiveness. In addition,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empowerment and work effectiveness than other factors do. Conclusion: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nd work effectiveness. Empower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 effectiveness.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the strategies for increasing work effectiveness in Korean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