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학업소진과의 관계: 일상적 스트레스와 투지(Grit)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혜원,남숙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through daily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academic burnout. A total of 345 male/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daily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academic burnout was found. The mediation effects of daily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academic burnout were also found.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and daily stress was found.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relatedness and daily stress were not found.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daily stress, and academic burnout was found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for academic burnout.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 여 중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학업소진의 관계를 일상적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또한 투지(Grit)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에 대한 욕구 불만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유능감 및 관계성에 대한 욕구 불만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능감에 대한 욕구 불만족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계를 투지(Grit)가 조절하였다. 그 반면, 자율성 및 관계성에 대한 욕구 불만족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투지(Grit)가 조절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로, 유능감에 대한 욕구 불만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투지(Grit)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학업소진 상담에서의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조적 인과 모형에 기반한 교수역량에 대한 인과 경로 분석: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한 한국, 영국, 핀란드 간 비교를 중심으로

        양혜원,백순근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4

        Based on the structural causal model, this study derived a causal graph that show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predict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the UK(England), and Finland. Also,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ausal path to each country’s teaching competency. To this end, the data of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incipal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in Korea, the UK(England), and Finland were analyzed. First, the top 20 factors that predict teaching competency by each country were extracted by applying the mixed-effect random forest technique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data. Then, the causal graph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causal discovery algorithm based on a structural causal model with the extracted predictors. As a result, there were common factors and discrimination factors in the top 20 predictors extracted from each national data, and the causal paths to teaching competency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context of each country based on the causal graph by country. In addi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causal inference based on structural causal models wa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육군 기동화력장비 엔진 및 변속기 국산화에 관한 연구 (K-9 자주포와 K-2 전차를 중심으로)

        양혜원,최기일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8 No.3

        본 연구는 육군 기동화력장비 중 대표되는 K-9 자주포와 K-2 전차를 대상으로 엔진 및 변속기 국산화 추진경과와 문제점 등을 분석했다. 전 세계 자주포 시장의 약 48%를 점유하면서 두 번째로 독자개발에 성공한 K-9 자주포의 핵심부품에 해당하 는 엔진은 독일산 RENK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K-2 전차의 경우에도 독일 MTU사의 파워팩(엔진 및 변속기)을 국내 SNT중공업이 국산화 개발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게 된다. 육군의 주요 기동화력장비에 대한 엔진과 엔진을 제어하는 핵심부품을 국산화할 경우에 비용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국산화 대체에 따른 긍정적인 경제적 파급 및 유발효과 등이 기대되므로 현 실태와 종합적인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개선 및 발전방향 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gress and problems of localization of engines and transmissions targeting K-9 self-propelled Artillery and K-2 tanks represented among army maneuver firepower equipment. The engine, which accounts for about 48% of the global self-propelled Artillery market and is the second key component of the K-9 self-propelled Artillery to be developed independently, uses German RENK’s products. In the case of K-2 tanks, South Korea’s SNT heavy industry attempted to localize the power pack(engine and transmission) of MTU in Germany, but failed. Localization of engines and key parts that control the Army’s major maneuver firepower equipment is expected to reduce costs as well as positive economic ripple and inducement effects due to localization replacement, so we will suggest improv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s by seeking current status and comprehensive alternatives.

      • KCI등재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 -지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양혜원,전명희,김희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divorce. Metho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of divorce was carried out with 23 participants in six differ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searchers used Corbin and Strauss’s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analyze recordings of the programs and of parents’ counselling sessions. Results: Qualitative analysis yielded 11 factors and 26 concepts withi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arental divorce”; “responses to and recognition of parental divorce”; “difficulties due to parental divorce”; “relationship with both parents after divorce”; and “responses to family reconstruction.”Conclusions: The research yielded practical strategies for intervention programs, as well as for policies regarding children of divorce.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부모 이혼에 대한 경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이혼가족의 아동기 자녀는 부모의 이혼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서울 소재 6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혼가족 자녀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프로그램 과정기록 및 부모상담 기록에 나타난 아동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이혼가족 자녀의 정서적·행동적 변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소집단 프로그램으로, 아동이 부모 이혼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고 치료적 집단이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 속에서 부모 이혼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가진 또래들과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경험이 드러났다. 자료분석은 Corbin과 Strauss가 제시한 지속적 비교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부모 이혼과정에서의 경험’, ‘부모 이혼에 대한 반응 및 인식’, ‘부모 이혼으로 인한 어려움’, ‘부모 이혼 후 양쪽 부모와의 관계’, ‘가족 재변화에 대한 반응’ 등 5개 영역에서 11개 범주와 26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와 부모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혼가족 아동기 자녀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특히 저소득층 이혼가족과 자녀를 돕는 과정에서 고려해야하는 개입 주제를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