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쉼터 입소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양혜원 ( Hae Won Yang ),김희수 ( Hee Soo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

        본 연구는 Giorgi식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 9월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1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총 21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으며, 19개 의미통합 및 9개 주제가 나타났다. 9개 주제는 가정폭력 노출과 관련하여 `자녀에게 보호막이 되어 주지 못함`과 `자녀의 아내폭력 노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음`, 자녀양육에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얽히고 설키면서 어려움이 가중됨`과 `관계의 손상을 경험함`, 그리고 `미안함과 후회가 밀려듦`, 가정폭력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녀에게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것과 관련하여 `부모의 책임을 다하고자 애씀`과 `자녀를 바르게 키우기 위해 노력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녀와 함께 `힘을 냄`, `희망을 가짐`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정폭력 피해 여성 및 자녀의 복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mothers of domestic violence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en mothers who had minor children under age 20,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and resided in shelters were interviewed in September, 2007. From the phenomenological analyses suggested by Giorgi, 211 meaning unitby 19 syntheses of meaning, and 9 themes were derived. The themes were as follows: `denot provide protection for children,` `do not interveol actively in the children`s exposure to wife babaering,` `problems were deepen by getting entangled,` `experience damages in their relationship,` `run to feeling sorry and regret,` `do their best to being responsible as parents,` `work hard to r` se children uprightly,` `pluck up their heart,` `foster a hop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social welfare practice and research to improve of welfare of the mothers and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were made.

      • 아내폭력 노출이 자녀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양혜원(Yang Hae won),전명희(Jun Myung h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1 연세사회복지연구 Vol.7 No.-

        이 연구는 가정에서 남편의 아내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이 어떠한 행동문제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특히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인지적 평가가 그 과정을 내재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내폭력은 남편이 아내에게 행하는 신체적 폭력으로 규정하였으며, 아동의 행동문제는 대표적인 내재화 문제인 우울ㆍ불안과 대표적인 외현화 문제인 공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부부갈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대처효용성, 자기비난, 지각된 위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사대상 아동의 23.3%가 신체적 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심각한 행동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내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그렇지 아동은 아동에 비해 부부갈등을 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인지적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아동의 행동문제는 더욱 심각하였다. 특히, 아동의 부부갈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신체적 폭력 노출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내폭력 노출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평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이 “숨겨진 피해자”라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아내폭력에 대한 연구와 개입 대상에 이들 아동을 반드시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이 분명히 밝혀졌다. 또한, 자녀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아동의 인지적 평가의 역할 및 중요성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ssesse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violence toward their mother from father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intermediates in the process. Among 266 children in this study, 35% are exposed to verbal violence and 23.3% are exposed to physical violence. Children who are exposed to violence exhibit more serious behavior problems and they also make more negative appraisal to parental conflict than children who are not exposed. Especially, the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perfectly intermediates between the exposure to physical violenc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 of children as “hidd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s confirmed.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intervention of domestic violence. Various agencies for battered women or male perpetrators could be the first place to provide necessary assistance to victimized 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should be emphasized in the intervention process.

      • KCI등재

        한국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현황 및 발전적 역할 모색

        양혜원 ( Hae Won Yang ),김희수 ( Hee Soo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and to grope the roles of megachurches to develop Korean 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eatures of mega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were explored through previous literature and websites of ten representative megachurche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professionals was conducted and analysed. As the result, 7 concepts from 3 categories such as ``context``, ``perception``, and ``level`` in the area of ``the reality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6 concepts from 3 categories such as ``foundation building``, ``contributions to churches``, and ``contributions to society`` in the area of ``the role of megachurches in social work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regarding megachurches` future role to develop Korean 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were made. 본 연구는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현실을 진단하고, 향후 대형교회가 한국교회 복지사역 발전을 위해 해야 할 바람직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전반적 현황 및 대형교회 복자사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10개 대형교회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7명과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의 결과,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현실`` 영역에서 ``맥락``, ``인식``, ``수준``의 3개 범주, 총 7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역할`` 영역에서 ``토대 구축``. ``교회에 대한 기여``. ``사회에 대한 기여``의 3개 범주, 총 6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교회 복지사역 발전을 위하여 대형교회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어떻게 기여해야 할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저소득 아동,청소년 대상 멘토링의 과정 및 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멘티, 멘토, 멘티부모, 실무자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최선희 ( Seon Hee Choi ),김희수 ( Hee Soo Kim ),양혜원 ( Hae Won Yang ),이근영 ( Keun Young Lee ),최지현 ( Ji Hyeon Cho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멘토링의 과정과 성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멘티, 멘토, 멘티부모, 실무자라는 다양한 멘토링 참여주체들의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송파구 멘토링 사업에 참여한 멘티, 멘토, 멘티부모 등 총 2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실무를 담당한 6개 기관의 실무자들이 참여한 초점집단면접 내용을 투입-전환-성과라는 일반체계이론의 틀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투입 과정에서 1) 멘티, 2) 멘토, 3) 멘티부모, 4) 멘티-멘토 연계의 4범주에서 12개 개념이, 전환 과정에서 1) 멘토링 활동, 2) 참여자 간 상호작용, 3) 멘토링에 대한 자세의 3범주에서 33개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멘토링의 성과로 1) 멘티, 2) 멘토, 3) 멘티부모 및 가정의 3범주에서 14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아동·청소년 멘토링 활성화와 효과성 향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 and the process of a mentoring program fo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income families. In-depth interviews with 28 individuals (mentees, mentors, and mentee`s parent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6 facilitators who participated in 2009 Songpa-gu Mentoring 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General System Theory. As the result, 12 concepts from 4 sub-categories(mentee, mentor, mentee`s parents, and mentee-mentor pairing) were derived as input, 33 concepts from 3 sub-categories (mentoring activities,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attitude to participating mentoring) were derived as throughput, and 14 concepts from 3 sub-categories(mentee, mentor, and mentee`s parents and family) were derived as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invigoration of mentoring programs and improving effectiveness of them in social work practice were made.

      • KCI등재

        한ㆍ일 시설거주 노인의 정신건강

        최선희(Seon-Hee Choi),양혜원(Hae-Won Yang)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 시설거주 노인들의 정신건강을 비교해보고, 시설거주에 대한 태도와 자녀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시설거주 노인 각 100명과 104명을 대상으로 시설거주태도, 자녀관계 만족도,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 시설거주 노인들은 우울 수준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수준은 한국이 일본에 비해 더 낮아서 일본에 비해 한국 시설거주 노인의 정신건강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 요인에 있어서는, 한국의 경우에는 시설 만족도와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일본의 경우에는 시설만족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시설만족도는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자녀관계 만족도는 일본의 경우 시설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다양한 유형의 노인시설이 단기간 내에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의 현 시점에서 시설거주 노인의 시설만족도와 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compare of mental health status between the Korean elderly and the Japanese elderly in institutions and to examine how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institution living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 their mental health status along with other important factors such as age, sex, and economic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⑴ Korean elderly showed better mental health status than Japanese elderly -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 elderly and Japanese elderly on the level of depression but Korean elderly is less stressed than Japanese elderly; (2) for Korean elderly, their mental health status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institution and subjective recognition of one's economic status and for Japanese elderly,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institu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arent-child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d that the practical methods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service of institution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the elderly in institutions were needed.

      • KCI등재

        Toward a Globalization of Korean Leisure Research

        이영길(Young Khill Lee),양혜원(Hee Won Yang)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199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17 No.-

        한국 여가 문헌에 관해 대충적으로 검토해 보면 여가 연구의 지나친 북미 영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여러 북미(北美)의 이론적 모형들이 한국에서 소개 및 검증되어 왔다. 여가 연구의 어메리칸화는 한국에서 건전한 여가 연구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이해하는데 있어 주요한 관점을 얻는 것 뿐만 아니라 여가 연구의 세계적인 인식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의도적으로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유럽 여가 연구와 비교한다. 이 논문은 두 대륙간의 차이의 어떤 주요한 정적 및 부적인 분류들과 더불어 ①여가를 함의하는 언어, ②학문적 지향성과 연구 논제 그리고 여가 현상들을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방법들에 있어 두 대륙간의 여가 연구의 비교를 검토한다. 이 논문은 한국 여가 연구가들에게 여가 연구의 세계화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한국에서 여가 연구의 세계화가 제언되어 있지만 이 논문은 세계의 여가 연구를 한국 여가연구를 구체화시킬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특유한 연구 의제들을 개발하는 것에 역점을 둔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의 관계

        전미순(Mi Soon Jeon),신지수(Ji Su Shin),손정인(Jung In Son),양선희(Sun Hee Yang),양혜원(Hye Won Yang),오세라(Se Ra Oh),위윤지(Yoon Ji Wih),유재은(Jae Eun Yu),황윤영(Yoon Young Hwang) 다문화건강학회 2020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on May 2020 through an survey of 143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0. Results: The mean scores of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were 3.52±0.65, 3.42±0.54, and 3.82±0.49, respectively. Ego-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a need for continuous efforts and strategies to enhance department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rough increasing their levels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We propose a further exploratory study on a wide range of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