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쪽방거주 문제음주자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경험

        양정운,김성재,강경림,김병희,한슬기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0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21 No.2

        Objective: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ir need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explore promotion factor and barrier to attend the progra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male problem drinkers with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score of 20 or higher. They are also those who attended at least eight times a week in a program that ran from April to November 2016.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0 minutes to less than an hour,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were revealed in 5 categories: ‘Change of physical and health behavior’, ‘Change of cognitive and psychosocial status’, ‘promotion factor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arrier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needs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 We found out that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had positively affected the problem drinkers' physic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hysical functions of a problem drinkers living in jjok-bang has improved, and it is positively affecting their health by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 Problem drinkers living in Jjok-bang mostly have urgent and serious health problems, so directly teaching them about the necessity of abstinence is ineffectiv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the client get interested in their own health problem and then plan the program based on the client's condition and preparation stage. Since so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jjok-bang also affected the drinking of individua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eam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n addition, continuous management of problem drinking is required through the formation of a therapeutic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 KCI등재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양정운,이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해외(중국)에 거주하는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한국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하였다. 개별 면담한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의미 있게 도출된 단어나 어구의 유사한 내용으로 상호연관성에 맞게 범주화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5세이며, 중국에 거주한 평균 기간은 약 5년이었다. 개별 면담 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성 건강과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경험은 3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자녀의 성 건강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경험」이며, 하위 범주로 ‘국제학교 재학에 따른 제한된 경험’, ‘다양한 문화와 인종 사이에서 개방된 성문화를 접함’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우려스러운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대처」이며 이에 따른 하위 범주는 ‘성 건강 관련 대화 회피’, ‘관련 교육자료(도서, 동영상 등) 제공’이다. 세 번째 범주는 「자녀의 성 건강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 요구」이고, 하위 범주는 ‘자녀의 성교육에 대한 정보부재’, ‘모국어로 진행되는 성 건강교육 요구’, ‘전문가를 통한 실제적인 성교육 요구’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제3문화 아이들이 성 정체성을 건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며, 관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한다.

      • KCI등재

        신규간호사를 위한 인터넷기반 비폭력대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 구성요소와 전문가타당도 검증

        양정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is study iis aimed at developing internet-delivered nonviolent-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novice nurses within a year of their appointment.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required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review in order to derive possible work conditions and communication conflicts that may occur to novice nurses, and a total of 10 programs are developed based on such data.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and cases of nursing work were selected. Results We developed a total of 10 communication programs (10 sessions, 20 minutes each session). We applied “empathic listening” and “expressing honestly” which are core principles of nonviolent-communication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each session.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of nonviolent-communication, practicing nonviolent-communication at the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ing concepts at the summary stage. Stressful situations related to nursing skills (antibiotic skin test, securing an intravenous line, etc.) and communication conflict situations (handover, patient request convergence, etc.) were configured as examples. The result of the program's expert validity review was (CVI= .87).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ield-orient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at can help the adaptation of novice nurses within a year of work. 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위한 인터넷 기반 비폭력대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검토를거쳐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를 시행하였고 대상자에게필요한 임상 간호현장에서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다음 절차로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내용구성 및 교수-학습 방법 선택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평가를 의뢰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핵심직무 관련 스트레스 상황(항생제 피부반응검사, 정맥주입로 확보 등)과 의사소통 갈등 상황(인수인계, 환자요구 수렴 등)을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터넷기반 비폭력대화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10회기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전문가 의뢰 타당성 검토 결과는 (CVI= .87)로 나타났다. 결론 신규간호사의 근무 여건 상 집체 교육보다 접근성이 수월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운영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과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이들의 임상실무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비폭력대화를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통합적 고찰

        양정운 ( Jeong Woon Yang ),김성재 ( Sungjae Kim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간호학의 지평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cover the evidence for 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using Nonviolent Communication (NVC-CI). The specific purposes were to analyz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VC-CI studies, intervention cont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ies. Methods: This was an integrative review that analyzed NVC-CI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5 identified through searches of five Korean electronic databases. The method proposed by Whittemore and Knafl was applied. This contains four stages: problem identification, literature search, data evaluation, and data analysis. Results: Twelve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Most of the experimental designs were Quasi-experimental studies. These included 9 papers (75%), one qualitative study, one mixed methodology, and one case study (8.3% respectively). Most NVC-CI studies used group inter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hange communication patterns, interventions needed about 10~11 sessions 1~2 times a week. Conclusion: Future research with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using NVC-CI needs to be done in the area of mental health nursing to promote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정신간호교육에서 활용되는 시뮬레이션의 통합적 고찰 : 정신간호학 학습목표와 간호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양정운(Yang Jeong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literature review the types and methods of simulation used in psychiatric nursing education. Also,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th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e competency of nurse. Key words in Koran and English were used to search 8 electronic databases: RISS, KISS, NDSL, DBpia, MEDLINE, PsycINFO, Cochrane library and CINAHL.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Whittemore and Knafl integrative review strategy(problem identification, literature search, data evaluation, data analysis, presntaion). The simulations used in mental health care have been largely categorized into standardized patient, audio utilization, computer-based, simulator (audio function), and mannequin simulation. Each simulation result was confirmed to reach nursing learning objectives; such as application of knowledge based nursing skill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the nursing situation, application of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based on critical thinking. It was found that the core competency of nurses could be reach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objectives(competency of integrated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nursing skills to provide holistic care, competency of critical thinking to solve nursing problems, competency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between specialties to improve the cli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simulations could be applied to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정신간호 교육에서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기법의 종류와 적용방법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정신간호 학습목표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간호사 핵심역량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글과 영문 주제어를 이용하여 국내 문헌 검색은 RISS, KISS, NDSL, DBpia를, 국외는 MEDLINE, PsycINFO, Cochrane Library, CINAHL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의 통합적 고찰방법(문제규명, 문헌검색, 자료평가, 자료분석, 의미해석)에 따라 총 30개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정신간호에서 활용된 시뮬레이션 기법은 크게 표준화 환자 활용, 오디오 활용,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터(음성기능), 비디오, 마네킹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시뮬레이션 기법은 간호학의 학습목표인 ‘전공지식에 근거한 간호술 적용’, ‘간호상황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 선택 및 실행’, ‘치료적 의사소통술 적용’,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 적용’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간호에 적용된 다양한 방법의 시뮬레이션 수업은 ‘전인간호제공을 위한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능력’과 같은 간호사 핵심역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정신간호 실습에서 다양한 방법의 시뮬레이션을 혼합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