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소정,이주헌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which the speech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qualification, the educational needs of speech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is examined. As its results, it is proved that the current state of speech competence which the students think by themselves is ‘moderate(3.18 points)’ and the necessary state which they think is ‘necessary(4 points)’. Also, by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critical functions of the Borich formula and Hershcowitz formula, it is verified that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are ‘interaction with audience’, ‘hosting with drawing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ppropriate asking and effective answering’, ‘vivid voice’, ‘precision of pronunciation’, ‘mind control of anxiety for questions’, and 'creativity'. Finally, it is result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for speech are par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rades. Based on those results,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the college students, the most important core educational cont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most preferentially in speech curriculum are positively verifi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주요한 자질로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피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 스스로가 인지하는 본인의 현재 스피치 능력은 ‘보통(3.18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피치 교육이 본인에게 ‘필요(4점)’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대학생들은 ‘청중과의 상호작용’, ‘청중 참여를 유도하는 진행’, ‘적절한 질문과 효과적인 답변’, ‘생동감 있는 어조’, ‘발음의 정확성’, ‘질문에 대한 불안감 관리’, ‘창의성’ 항목에 대한 스피치 교육을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년별 스피치 교육요구도 순위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전문대학 학생들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한 스피치 교육 요구도 분석 : 동아방송예술대학교를 대상으로
양소정,이수현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6 No.-
이 연구는 전문대학의 스피치 교육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학생들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교육 수요자인 대학생과 함께 교수자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현재 스피치 능력과 교육 내용 필요도를 좀 더 면밀히 분석하여 향후 스피치 교육을 설계하는 데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스피치 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가 주로 효과적인 측면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을 생각했을 때, 스피치 교육에 참여하는 교수와 학생의 요구도 분석은 향후 스피치 교육 연구에도 반드시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본인의 스피치 능력을 향 상시키기 위해 ‘스피치 불안 요인’과 ‘음성적 요인’에 대한 교육 내용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수들은 학생들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해 ‘내용적 요인’과 ‘청중 요인’과 관련된 교육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과 교 수 두 집단의 스피치 교육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상당한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넷째, 교수들 은 학생들보다 현재 스피치 능력은 더 낮게, 스피치 교육의 필요도는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 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향후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련 교육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nalyt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to improve college students’s speech competence of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as a part of a study on the speech education in colleg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ly,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need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speech anxiety(fear) factor’and ‘voice(vocal) factor’ most preferentially to improve their speech competence. Secondly, professors give a priority to ‘contents(quality) factor’ and ‘audience factor’ for speech competence. Thirdly, comparing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with those of professors reveals a significant perceived gap. Lastly, it is shown that educators think less of students current competence and more of educational needs of speech than students do. According to the results analyz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positive verification on what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come first in a curriculum to improve college students’s speech competence of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Dreams and the Inner Voice in The Romance of the Forest
양소정 한국18세기영문학회 2015 18세기영문학 Vol.12 No.1
Radcliffe is often known to rationalize the supernatural elements in her novels with her signature technique of explained supernatural and her heroines are marked with their refined sensibility and reason that establishes them as superior characters. This paper, howev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e heroine’s vivid and ghastly dream scenes in Radcliffe’s earlier work The Romance of the Forest (1791). No other rational heroines in her later works experience such lurid dream visions and thus the significance of the supernatural dream sequences in The Romance of the Forest justifies further explo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historically nuanced interpretation of the heroine’s dreams by returning to the eighteenth century’s growing interest in the power of imagination.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the eighteenth century leaned towards the scientific and rational, there was another stream that pursued more spiritual values. Jean-Jacques Rousseau was a leading figure who contributed to the heightened interest in feeling and spirituality. Read in this context, the heroine’s dreams in The Romance of the Forest can be understood as articulations of the Rousseauian “inner voice.” Rousseau explains that within each individual resides an “inner voice” of nature. Attuned to nature and its Creator, this voice guides the individual to become an ethical subject. Through the character of Adeline who discovers her true identity through the inner voice of her dreams as well as through her communion with nature, Radcliffe presents us with a new model of the experience of a deeply interiorized modern subjectivity. As a proponent of the power of imagination, like Rousseau, she also took part in the Romantic move away from an absolute faith in empirical reason.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 탐색
양소정,정경미,김원경 한국여성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3 No.4
유치원에 다니는 손자녀의 주양육자 역할을 낮시간 동안 담당하는 공동양육 조모 125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간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로서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선택․최적화․보상(SOC) 전략, 그리고 조부모로서의 의미(GM)가 사용되었으며, 모형은 좋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조부모로서의 의미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은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유의한 경로지수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 조부모로서의 의미는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C전략은 양육스트레스와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하나의 통합적인 모형으로 검증한 결과, 특히 사회적 지지와 조부모로서의 의미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보호요인이라는 점이 시사되었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양소정(So-Jung Yang),박민식(Min-Sik Park),장승민(Seung-Min Jang),홍성훈(Sung-Hoon Ho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1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어 일상생활에서 영상을 쉽게 획득 할 수 있지만 주변 환경에 따라서 콘트라스트가 낮은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IIR 형태의 필터를 통하여 콘트라스트와 역광영상에 뛰어난 영상 개선 효과를 보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필터는 히스토그램을 통하여 영상의 연관성을 판단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연관성이 있을 경우에는 consist한 히스토그램을 만든 후 현재 영상과의 가중치를 두어 Histogram Equalization을 하고 연관성이 없을 경우에는 현제 영상만 histogram equalization을 하는 3차원 필터이다. 실험결과 제안된 필터는 기존의 필터들보다 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 거주 암 입원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양유정,한소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광주광역시 거주 암 입원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양 유 정**ㆍ한 소 정*** 요약: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거주 암 입원환자의 서울・수도권 지역 의료이용에 관한 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환자집중화 현상을 파악하여 의료이용의 지역적 형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3년부터 2017년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 높았다. 둘째,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관 관련 악성 신생물인 경우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높았다. 셋째, 입원환자가 수술을 시행하고 중증도가 높을수록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암 환자에 대한 맞춤형 전략을 개발하여 향후 암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핵심어: 암 환자, 의료접근성, 관외 의료이용, 의료 질, 퇴원손상심층조사 □ 접수일: 2022년 3월 26일, 수정일: 2022년 4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광주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jyang@gwangju.ac.kr)*** 교신저자, 을지대학교 대학원 의료경영학과(Corresponding Author, Eulji Univ., Email: hansj6135@hanmail.net) The Study on the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by Hospitalized Cancer Inpatient Residing in GwangjuYujeong Yang & Sojeong Han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by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residing in Gwangju.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patients and suggest the methods to improve the local equity of medical use. The study used in-depth injury survey data after discharge ranging from 2013 to 2017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the patients were younger, the medical use rate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as high. Second, when the cancer is a reproductive-related malignant neoplasm, the medical use rate in the Seoul metro region is high. Third, as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is high or the patients have surgical history, the medical use rate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ncreases. Consequently,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cancer control policy by developing a customized strategy for the cancer patients residing in Gwangju. Key Words: Cancer Patient, Medical Accessibility,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Quality of Medic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양소정(So Jung Yang)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1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6
This study explor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exposure to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permissive attitudes. Via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established the O1-S-O2-R model on the adolescents` Exposure to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permissive attitudes, and the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is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vely most influential factor upon the adolescents` exposure to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was sex, and then Sensation seeking tendency, the variable of discriminative contact and the use frequency and amount of the Internet.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xposure to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influenced on the perceived reality. Third,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on the adolescents` permissive attitudes are the grades, Sensation seeking tendency, the parent`s caring attitude, the variable of discriminative contact, the exposure to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the perceived reality. In particular, the perceived reality ha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net-oriented sexually explicit materials and permissive attitudes in partially.
양소정(Yang, So J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최근 교육계를 관통하는 화두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 인재’, ‘융합형 인재’를 양성 하는 것이다. 많은 대학들은 기존의 교육방식에 다양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모델이 바로 ‘융합수업’으로 통칭되는 교육과정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D대학교에서 진행한 융합수업을 분석함 으로써 방송콘텐츠제작 교육에 있어 융합수업의 특징과 그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들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아이디어 수렴 과정에서 서로가 가지고 있던 기존 지식의 전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력을 개발시킬 수 있었다. 둘째, 서로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제대 로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는 문제해 결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셋째,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한 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협업함으로써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The latest topic that penetrates the education sector is to foster creative talent and converged talent that can actively cope with future society. Many universities are making various changes to their existing methods of education,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odels is the curriculum,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convergence classes.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f convergence classes in broadcasting contents production education by analyzing convergence classes conducted by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The curriculum enabled students to achieve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First, creative thinking power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transfer of existing knowledge that each other ha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various ideas.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properly identify and effectively utilize each other s resources, and develop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o identify and prepare for future problems. Third,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were able to increas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by working together to achieve one go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