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漁對凌몽初的繼承與發展

        楊琳 한국중국소설학회 2005 中國小說論叢 Vol.22 No.-

        Ling Mengchu and Li Yu are all great masters of NiHuaBen. Compared with Feng Menglong’s San Yan, Ling Mengchu’s Liang Pai was more original. It was the first time that NiHuaBen had been assembled to a book. At first, as a new style, NiHuaBen is vigorous but with the time went , it became more and more stiff. Li Yu inherited and reformed the NiHuaBen style moulded by Liang Pai , and made a breakforth of the development of the NiHuaBe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history books, many of the former novels of China were objectively transcribe the real people or stories. For writers, the works was only one-dimensional objective world. In Ming dynasty, the first-classical scholars participated in collecting and reorganizing SongYuanNiHuaBen and they simulated its style to write NiHuaBen. The scholars brought their emotions into the works. FengMenglong’s San Yan had made an important stride in injecting writer’s emotion. After this, LingMengchu’s mentalities were showed projecting in Liang Pai. In Ling’s works,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mentality was still expressed unconsciously. LiYu directly inherited and developed LingMengchu’s style and his ideas and should could be seen everywhere in his works. From LingMengchu to LiYu, writer’s emotion in NiHuaBen was developed from projecting to rising. As far as novel theory was concerned, LingMengchu firstly put forward that writer should write “the rare of mediocrity” (yong chang zhi qi), but his works was contradictory with his theory. It was LiYu who inherited his idea and successfully applied it to writing. LiYu’s works came from real life and he rarely used ghosts to propel his plot. Li regarded “original” as alternative name of “strange” and posed demanding request of the writer.

      • KCI등재

        공교육정상화정책의 입법정책적 요인분석: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양림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 of the legislative policy in the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Law” and suggesting the method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cusing on policy goals and mean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its policy goals of the normalization in public education, substantively it includes limited focus on the normalization in school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dequacy of the policy goals is somewhat limited in that the regulation is uniform ignoring the particularity of individual schools.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policy means, the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more useful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an the social-cultural aspect. Finally, a deliberate review on the legal-feasibility of regulation of precedent education is required due to its possibility of unconstitutionality. 본 연구는 2014년 3월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법의 제정부터 개정의 논란이 되고 있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약칭: 공교육정상화법)이 입법정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이 법이 지향하는 정책목표의 명확성과 적절성,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의 효과성과 법적 실현가능성을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이들이 이 법의 목표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 공교육정상화법이 공교육의 정상화라는 정책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질적 내용상으로는 공교육의 한 부문인 학교교육과정의 정상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하나의 법률・제도만으로는 부족하며, 각급 단위학교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규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법만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한편, 공교육정상화법의 정책수단인 선행교육 규제의 효과는 선행교육의 교육적・사회문화적 측면보다는 심리적인 측면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선행교육 규제가 가지고 있는 기본권 침해와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과 같은 문제는 다른 법률체계와의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보였다.

      • KCI등재

        럭셔리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구성요소 융합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해의 루이비통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양림,이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공간 마케팅의 궁극적인 목적이 기업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및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상품의 진열 및 판매의 실용적인 목적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공간 디자인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 상해 소재의 루이비통 플래그십 스토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분석과 해당 플래그십 스토어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객의 특성에 따라 공간구성요소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별은 여성, 연령은 20대와 30대, 직업은 회사원인 집단이 공간구성요소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럭셔리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하는 목적이 제품 구매에 한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대부분의 방문객이 해당 여가, 취미, 시간보내기 등을 목적으로 플래그십 스토어에 방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럭셔리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 구성을 위해서는 방문객의 특성과 방문 목적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통시장 보행환경 개선 연구 -영등포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양림,이석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시장은 오랫동안 지역사회에서 상업과 교류의 기능을 발휘하여 도시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 공간이다. 그러나 첨단 시설과 대형 유통구조를 갖춘 새로운 형태의 상업공간이 빠르게 확장되면서 전통시장은 심각한 생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다양한 지원법과 개선사업을 추진했지만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며, 이는 기존이 환경시설 개선이 주로 판매시설에 집중되어 이용자의 이용환경을 고려한 전통시장의 차별화된 공간개선 부족의 영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보행공간을 중심으로 이용자 친화적 공간디자인 요소를 정리하고 전통시장이 가진 현황 문제점의 객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재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첫째, 보행공간의 정의와 전통시장의 보행공간 구성요소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보행공간이 전통시장의 공간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보행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전통시장 보행공간의 평가지표를 정리한다. 셋째, 도출된 전통시장 보행공간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국내ㆍ외 전통시장의 개선 사례를 분석, 평가한다. 넷째, 국내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영등포 시장을 대상으로 도출된 평가지표를 활용해 문제점을 분석,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분석 후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영등포 전통시장의 보행공간 구조 개선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보행공간의 구성 요소는 공간적요소와 기능적 요소로 구성되고,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 접근성, 연속성이 평가의 중요한 척도라는 점이 정리되었다. 다음으로 영등포 전통시장 보행공간을 평가한 결과, 전통시장이 가진 문제점이 이용자의 쾌적성과 연속성, 접근성의 배려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정리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통시장 보행공간 평가방법은 향후 전통시장 보행공간 연구에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등포 전통시장의 보행공간을 대상지로 한정한 점에서는 다른 전통시장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개선방향 도출을 위해 국내외 타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국내 전통시장의 보행공간 개선과 공간디자인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 markets have l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ties and are important spaces for urban development. However, with the rapid expansion of new commercial spaces equipped with cutting-edge facilities and large circulation structures, traditional markets are facing a serious survival crisis.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series of laws and construction projects, but the revitalization effect of the traditional market has not yet reached the expected level. At present,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facilities mainly focuses on commercial spaces, while the improvement of other spatial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s is still insufficient.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summarize the elements of traditional market pedestrian spaces and develop evaluation methods for them. Evaluate the Yongdengpu traditional market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pedestrian space exported from the market, and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This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pedestrian spaces in the market. (Method) Firstly, by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pedestrian space elements, a table of pedestrian space composition elements is derived. Then prove the impact of pedestrian space on the overall space. Secondly, by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and deriv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pedestrian space in traditional markets, establish evaluation standards for pedestrian space in traditional markets. Thirdly, search for excellent traditional market improvement ca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rough the internet and literature, and analyze the advantages using the derived traditional market pedestrian space evaluation method. Fourthly, conduct on-site inspections, select the target market in Yongdengpu, use the derived evaluation method for problem analysis, and identify key issues. Fifthly, based on the key issues derived, refer to other excellent improvement cases at home and abroad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main problems of pedestrian space in the traditional market of Yongdengpu. (Results) We have developed an evaluation method for traditional market pedestrian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spatial and functional factors, Pedestrian space has safety, convenience, comfort, accessibility, continuity, and corresponding space and facilities. Use the specified evaluation method to evaluate the pedestrian space in the traditional market of Yongdengpu, and identify the main issues before proposing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excellent cases. (Conclusions) The traditional market pedestrian space evaluation method deriv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and referenc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Yongdengpu are not applicable to all markets,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other traditional markets still needs to be analyzed based on on-site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양림(Yang R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irnes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have been changed circularly with the turnover of political power, but the problem of fairness is not resolved. Recently, the various accidents triggered the problem of fairness with regard to the high school comprehensive report admission type and scholastic ability test admission type.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in the equal opportunity are 1) any admission systems advantageous relation to high socioeconomic status, 2) high school location and class has an effect on equal opportunity. And high school comprehensive report admission type is somewhat problematic in transparency of assessment. Such analysis suggests that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are requisite to various admission types and transparency of the high school report admission type must be necessary strength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bjective ‘public admission officer’ who take charge in high school comprehensive report admission type.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분석과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입학전형제도는 정권의 교체와 맞물리면서 순환적 변동의 과정을 겪었지만, 끊임없이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특히 최근 수능위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과 관련하여 소위 ‘금수저 전형’, ‘깜깜이 전형’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공정성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정성 문제를 교육의 기회균등 측면과 평가의 투명성 측면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의 기회균등 측면 중 가정배경 요인은 두 전형 모두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배경 요인은 일반고와 중소도시·읍면지역은 학생부위주전형, 특목고·자사고와 대도시지역은 수능위주전형으로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가의 투명성과 관련하여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강했다. 따라서 첫째, 상위계층일수록 학종, 수능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능위주전형을 확대하는 정책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특히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과정의 정상화라는 측면에서는 학생부교과 전형의 비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문제가 되는 평가의 투명성과 관련하여 교사의 객관적인 기록과 평가자인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담보하기 위한 대학 단위의 입학사정관 이외에 국가가 일정한 자격수준을 갖춘 ‘공공사정관’을 양성하여 함께 참여하는 제도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