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를 통한 신경학적 예후 예측

        양동화,하석균,김효정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4

        Purpose: Early prediction of prognosis of children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is a major challenge. We investigated the utility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d laboratory studies for predicting of neurologic outcome in children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from 2006 to 2015 at the Gil Medical Center. Patients aged one month to 18 years were included. EEG analysis included background scoring, reactivity and seizure burden. EEG background was classified score 0 (normal/organized), score 1 (slow and disorganized), score 2 (discontinuous or burst suppression), and score 3 (suppressed and featureless). Neurologic outcome was evaluated by Pediatric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 (PCPC) at least 6 months after cardiac arrest. Results: Total 26 patients were evaluated. Nine patients showed good neurologic outcome (PCPC 1, 2, 3) and 17 patients showed poor neurologic outcome (PCPC 4, 5, 6). Patients of poor neurologic outcome group showed EEG background score 3 in 88.2%, whereas 44.4% in patients of good neurologic outcome group (P=0.028).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 except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were presented in 44.4% of good neurologic outcome group and 5.9% of poor neurologic outcome group (P=0.034). Ammonia and lactate levels were higher and pH levels were lower in poor outcome group than good neurologic outcome group. Conclusion: Suppressed and featureless EEG background is associated with poor neurologic outcome and electrographic seizures are associated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목적: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혼수 상태의 소아 환자에서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는 병원 외 심정지 후 자발순환회복 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와 혈액 검사를 통해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병원 외 심정지로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에 방문한 1개월 이상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하였다. 뇌파 분석은 배경파 점수화(background scoring), 자극에 대한 반응성(reactivity)의 유무 및 뇌파 상 경련(electrographic seizures) 의 유무를 포함하였다. 배경파는 0점(nomal/organized), 1점(slow and disorganized), 2점(discontinuous or burst suppression), 3점(suppressed and featureless)으로 분류하였다. 신경학적 예후는심정지 발생 후 최소 6개월 후에 PCPC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좋은 신경학적 예후군(PCPC 1–3점) 9명과 불량한 신경학적예후군(PCPC 4–6점) 17명으로 총 26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불량한 예후군 환자의 88.2%, 좋은 예후군 환자의 44.4%에서 suppressed and featureless 소견을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 =0.028).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를 제외한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는 좋은 예후군의 44.4%, 불량한 예후군의 5.9%에서 보여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0.034). 불량한 예후군에서 산혈증, 젖산혈증, 고암모니아혈증이 좋은 예후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 배경파가 suppressed and featureless 패턴을 보이는 경우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있고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 가 있는 경우 좋은 신경학적 예후와 관련이 있다.

      • 퍼지 융합을 이용한 다중생체인식 시스템 구현

        양동화 ( Dong-hwa Yang ),김형민 ( Hyung-min Kim ),고현주 ( Hyoun-joo Go ),전명근 ( Myung-geun Ch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얼굴과 지문을 이용하여 실시간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 구현을 제안하였다. 얼굴인식에서는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였으며, 특징 값을 찾아내기 위한 방법으로는 얼굴인식에서 많이 사용되는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또한, 지문인식에서는 지문의 중심점을 찾아 가버 변환을 하고, 이로부터 섹터별 변량을 특징 값으로 사용하였으며,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관도가 높은 지문 3개를 기준 데이터로 등록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두 가지의 생체정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퍼지를 이용하여 얼굴인식의 결과와 지문인식의 결과를 융합하였으며, 단일 생체정보를 이용했을 때의 단점을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구간 분할 및 HMM 기반 융합 모델에 의한 온라인 서명 검증

        양동화(Dong Hwa Yang),이대종(Dae-Jong Lee),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1

        기존의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을 비교하는 방법 중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전역적 방법과 점 단위 방법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인식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분절의 불안정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을 이용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우선 기존에 사용된 구간 분할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서명의 동적정보에 대한 매칭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서명의 정적정보를 균일하게 분할한 후 분할된 영역을 주성분 분석 기법에 의해 특징 벡터를 산출하고 HMM에 의해 서명간의 매칭도를 산출하였다. 최종 융합단계에서는 SVM 분류기에 의해 서명의 진위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분절단위 기반의 구간 분할 매칭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The segment matching method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global and points-based methods to compare reference signature with an input signature. However, the segment-to-segment matching method has the problem of decreasing recognition rat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partitioning points. This paper proposes a fusion model based on the segment matching and HMM to construct a more reliable authentic system. First, a segment matching classifier is designed by conventional technique to calculate matching values for dynamic information of signatures. And also, a novel HMM classifier is constructed by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calculate matching values for static information of signatures. Finally, SVM classifier is adopted to effectively combine two independent classifiers. From the various experiments, we fin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segment matching method.

      • 가버특징량을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양동화(Dong-Hwa Yang),김창규(Chang-kyu Kim),고현주(Hyoun-Jo Go),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4 No.1

        본 논문은 지문을 이용하여 개인 식별 빛 확인하는 생체인식 시스템을 제안한 것으로, 입력지문 영상으로부터 중심점(Core)를 찾아 8개 방향의 가버 필터를 사용하여 지문의 특징을 드러나게 한다. 또한,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영역을 섹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섹터 별 특징 값을 산출하여 코드 북으로 등록한다. 등록된 데이터로부터 매칭하는 과정은 상관 계수를 이용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등록자를 선별하고 인식 대상자로 선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융선의 분기점과 단점을 특징으로 하는 알고리즘에서 문제시 되는 특징점이 빠지는 경우와 의사 특징점에 의한 오인식을 줄일 수 있으며, 중심점과 기준 축의 설정에 따라 지문 영상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방법으로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광학식 지문 센서와 PC를 이용한 실시간 지문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구간 분할 및 HMM 기반 융합 모델에 의한 온라인 서명 검증

        양동화(Dong-Hwa Yang),이대종(Dae-Jong Lee),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4 No.2

        기존의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을 비교하는 방법 중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전역적 방법과 점 단위 방법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인식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분절의 불안정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을 이용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우선 기존에 사용된 구간 분할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매칭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서명의 분할된 영역을 주성분 분석 기법에 의해 특정 벡터를 산출한 후 HMM에 의해 서명 모델을 구축하였다. 산출된 두 특징을 융합하는 방법으로는 SVM 분류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분절 단위 기반의 구간분할매칭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 KCI등재

        하기도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에서 진단된 크룹의 계절적 변동과 병인: 2009-2017년 장기간 연구

        오경진,양동화,신형록,김은진,선용한,류일,조혜경,조혜정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9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7 No.1

        Purpose: Croup is a common respiratory disease in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pidemiology, etiology, and seasonal variations of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in children with croup. Methods: From October 2009 to September 2017, children admitted with croup to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under the age of 18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medical records. Results: A total of 1,053 of 27,330 patients (3.9%) infected with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were diagnosed as having croup. In the age distribution, croup was most common (50.0%) in children aged 1 to <2 years. There were 2 peaks, the major in summer (July to August) and the minor in spring (March to May). Parainfluenza virus type 1 (15.8%) was most prevalent and coincided with the summer peaks of croup. Influenza virus type B and parainfluenza virus type 3 were the most frequent etiologic agents in a spring peak of croup. Although parainfluenza virus type 1 was predominant of all ages, human coronavirus was a significant cause of croup in children younger than 1 year, whereas influenza viru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 above the age of 3 years. Conclusion: Seasonality and epidemiology of croup varied with age and regions. Two peaks of seasonal fluctuation were in summer and spring, which were related to the seasonality of respiratory viruses in croup.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planning clinical and research needs.

      • KCI등재

        PDA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

        권만준(Man-Jun Kwon),양동화(Dong Hwa Yang),고현주(Hyoun-Joo Go),김진환(Jin Whan Kim),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의 온라인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을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CMOS 카메라를 장착한 PDA를 이용하여 얼굴영상을 획득하고 이 영상을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된 결과를 받도록 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 측인 PDA에서는 등록과 인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업베디드 비주얼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서버 영역에서는 얼굴인식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PCA와 LD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DA로부터 전송받은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한 결과를 재전송하는 부분이 구현되었다. 시스템 구현에서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해 PDA에서는 영상에 웨이블렛을 이용하여 압축한 뒤 압축률 효과가 좋은 JPG 형식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송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학습과정에서 미리 구한 고유값을 이용하여 테스트 얼굴영상을 같은 공간에 투영시켜 서로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도록 하여 얼굴인식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implementation of real-time face recognition system unde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First, face image is captured by PDA with CMOS camera and then this image with user ill and name is transmitted via WLAN(Wireless LAN) to the server and finally PDA receives verification result from the server.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server and client parts. Server uses PCA and LDA algorithm which calculates eigenvector and eigenvalue matrices using the face images from the PDA at enrollment process. And then, it sends recognition result using Euclidean distance at verification process. Here, captured image is first compressed by the wavelet transform and sent as JPG format for real-time processing. Implemented system makes an improvement of the speed and performance by comparing Euclidean distance with previously calculated eigenvector and eignevalue matrices in the learning process.

      • 물류 출하 관제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GPS 기반의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임은천(Eun-Cheon Lim),양동화(Dong-Wha Yang),신창선(Chang-Sun Shin),심춘보(Choon-Bo Shim),이정훈(Jeong-H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물류 출하 관제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GPS 기반의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작은 아키텍처로 불리며 전체 시스템 설계의 안정화를 촉진하며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객체지향 모델링의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GPS가 내장된 PDA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획득하고 CDMA망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관제 서버간의 통신을 하며, 클라이언트의 위치는 맵 서비스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효과적인 물류 차량의 이동 경로 관리 및 검색을 위해 기존의 TB-트리를 확장한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실제 물류 운송에서 운송 차량의 수배 및 배차 등록, 상차 작업, 배송경로 및 목적지 도착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물류 출하 관제 시스템인 g-LOGICS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efficient GPS based vehicle monitoring system for logistics shipping service.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by applying design patterns of object oriented modeling called mini-architecture to enhance reliability of software as well as promote stability of overall system design. In addition, we can get a position information by means of the GPS embedded in PDA and communicate between client and monitoring server using CDMA network so that the position of client can be identified directly by the map service. This paper proposes an moving object indexing technique which extends the existing TB-tree to manage and retrieve a transporting trajectory of logistics efficiently. Finally, with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shipping service called g-LOGICS system, we can verify the usefulness of our system which is able for monitoring a vehicle preparation, allocating registration, loading a burden, transfer path, and destination arrival in real world.

      • PDA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

        권만준(Man-Jun Kwon),양동화(Dong-Hwa Yang),고현주(Hyoun-Jo Go),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5 No.1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의 온라인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을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CMOS 카메라를 장착한 PDA를 이용하여 얼굴영상을 획득하고 이 영상을 무선 랜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된 결과를 받도록 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 측인 PDA에서는 등록과 인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임베디드 비주얼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서버 영역에서는 얼굴인식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PCA 와 LD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DA로부터 전송받은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한 결과를 재전송하는 부분이 구현되었다. 시스템 구현에서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해 PDA에서는 영상을 압축률 효과가 좋은 JPG 형식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송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학습과정에서 미리 구한 고유값을 이용하여 테스트 얼굴영상을 같은 공간에 투영시켜 서로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도록 하여 얼굴인식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였다.

      • Anti-windup을 통한 유압유 온도 제어 시스템

        이영균(Y. G. Lee),양동화(D. H. Yang),김성동(S. D. Kim)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20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7

        Two conventional ways are generally u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hydraulic oil: On-Off control and PID control. There is an critical disadvantage in PID control that an integral winding-up occurs when there is saturation limit in control action. Once the wind-up occurs, overshoot of an output comes to be very large. We have devised to combine On-Off control and PID control to solve the integrator wind-up in this study. Two methods are specifically considered in combining On-Off control and PID control. The first method is that the On-Off control works when error between output and target temperature is out of a PID zone, which is normally chosen to be small enough to avoid the integrator windup. The second anti-windup is a method in which On-Off control works initially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changed and the PID control and the oil cooler are activat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error temperature comes crossover zero and becomes the same sign as the initial error sign. An experiment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was set up and a series of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al performances of the suggested anti-windup controls. Test results showed that two suggested methods were found to be a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henomenon of integral wind-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