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와 실영상을 이용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

        안현식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2 No.2

        지금까지 3차원 지리 공간 구성을 위해서는 2D 지리 데이터로부터 수작업으로 건물의 프레임을 만들고 단면 영상을 붙여서 건물을 모델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도 데이터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치지도와 임의의 위치에서 입력된 건물의 영상을 이용하여 3D 지리공간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지리 모델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OpenGL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에 지형을 TIN과 DEM 방법으로 형상화한다. 건물을 모델링하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서 카메라로 입력한 건물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단면 영상을 추출하고, 검출된 수직선으로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정하고,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고, 얻어진 단면영상과 texture 맵핑을 하여 실제 공간에 가까운 3D 지리공간을 자동적으로 구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지역에 적용하여 제안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For 3D modelling artificial objects with computers, we have to draw frames and paint the facet images on each side. In this paper, a geographic modelling system building automatically 3D geographic spaces using GIS data and real images of buildings is proposed. First, the 3D model of terrain is constructed by using TIN and DEM algorithms. The images of buildings are acquired with a camera and its position is estimated using vertical lines of the image and the GIS data.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computed with the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which used for making up the frames of buildings. The 3D model of the building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facet iamges of the building and texture mapping them on the 3D frame. The proposed geographical modeling system is applied to real area and shows its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동적 ID 할당과 샘플링 주기 결정 기법을 결합한 CAN 기반 제어시스템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기법

        안현식,기영훈,안봉주,문찬우,정구민,김도현,이영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6

        현재 차량 내 네트워크에서 주로 쓰이는 CAN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내에 다수의 노드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메시지의 전송지연이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방법들이 제안되어 시험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동적 ID 할당 기법을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하여 각 장치들 간의 메시지 전송 지연문제를 해결 하며,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내 네트워크 시스템의 수행 주기 변화의 문제점을 샘플링 주기 결정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해결하였다.

      • 퍼지 모델에 기초한 게인 스케쥴링 최적제어기의 설계

        안현식,성영락 국민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3 공학기술논문집 Vol.26 No.-

        This paper presents an LQR design method for nonlinear multi-variable systems using fuzzy model-based gain scheduling. For the design of LQR, the nonlinear system is first represented by Takagi- Sugeno’s(T-S) fuzzy model. In T-S fuzzy model, nonlinear system is represented by a set of linear models, and the stability of control system is analyzed. The proposed gain scheduling LQR is applied to the nonlinear inverted pendulum system, and it is illustrated by simulations that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existing fuzzy optimal method.

      • 고정밀 선형 모터의 지능 제어

        안현식 국민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2 공학기술논문집 Vol.25 No.-

        In this paper, we formulate the modeling of a linear brushless DC motor with armature coil assembly as a moving part and find a simplified form using dq transformations. A discrete-time repetitive controller, which is one of intelligent controllers, is plugged in the PI-controlled feedback system in order to obtain a higher precision for repetitive inputs. To show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we perform the simulations for the position control of a linear brushless DC motor. It is illustrated by simulations that the tracking error is much reduced by using the proposed control system for the repetitive inputs.

      • 이동 로봇 제어를 위한 3D GUI 시스템

        안현식 동명정보대학교 2002 저널 정보공학기술 Vol.1 No.-

        Recently, there are lots of concerning on robot agent system working for itself with the trends of the research of bio-mimetic system, mixed reality, and intelligent robot. In this paper, a virtual 3D GUI system is proposed based on Internet for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mobile robot. The proposed system is constructed as a manager ordering a new position and displaying the motion of robot, robot agents moving to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dication, and a positioning module transferring the current position of robot to the agent. A worker can order the robot agent move to a new position by clicking the destination and watch the real image captured by camera attached at the robot on the virtual space of the 3D GUI. Then the robot agent move to the position automatically with avoiding collision by using range finding and autonomous control algorithm. The proposed robot agent system lets us control the mobile robot remotely more conveniently. Recently, there are lots of concerning on robot agent system working for itself with the trends of the research of bio-mimetic system, mixed reality, and intelligent robot. In this paper, a virtual 3D GUI system is proposed based on Internet for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mobile robot. The proposed system is constructed as a manager ordering a new position and displaying the motion of robot, robot agents moving to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dication, and a positioning module transferring the current position of robot to the agent. A worker can order the robot agent move to a new position by clicking the destination and watch the real image captured by camera attached at the robot on the virtual space of the 3D GUI. Then the robot a agent move to the position automatically with avoiding collision by using range finding and autonomous control algorithm. The proposed robot agent system lets us control the mobile robot remotely more conveniently.

      • 주문형 신발 상거래를 위한 거리 검출 시스템

        안현식 동명정보대학교 2002 저널 정보공학기술 Vol.1 No.-

        In this paper, a laser range finding system is proposed for the foot profile detection of the customized shoes selling system. First, a customized shoes selling system model is described which consists of a rang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 range finder and a scanning robot, a shoes selling server including Sell management module and data base module, and clients. The range finding system is calibrated and detects depth by using a new 3D data detection method which allows nonlinear lens cameras to be used as a image input camera. The calibration procedures produce a calibration coordinate file from a panel marked with a arranged calibration points. The range data is obtained by interpolating the calibration coordinates from the laser image captured from the foo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practical to the real customized shoes selling system.

      • KCI등재후보

        GIS와 실영상을 이용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

        안현식 대한공간정보학회 200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2 No.2

        For 3D modelling artificial objects with computers, we have to draw frames and paint the facet images on each side. In this paper, a geographic modelling system building automatically 3D geographic spaces using GIS data and real images of buildings is proposed. First, the 3D model of terrain is constructed by using TIN and DEM algorithms. The images of buildings are acquired with a camera and its position is estimated using vertical lines of the image and the GIS data.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computed with the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which used for making up the frames of buildings. The 3D model of the building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facet iamges of the building and texture mapping them on the 3D frame. The proposed geographical modeling system is applied to real area and shows its effectiveness. 지금까지 3차원 지리 공간 구성을 위해서는 2D 지리 데이터로부터 수작업으로 건물의 프레임을 만들고 단면 영상을 붙여서 건물을 모델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도 데이터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치지도와 임의의 위치에서 입력된 건물의 영상을 이용하여 3D 지리공간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지리 모델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OpenGL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에 지형을 TIN과 DEM 방법으로 형상화한다. 건물을 모델링하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서 카메라로 입력한 건물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단면 영상을 추출하고, 검출된 수직선으로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정하고,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고, 얻어진 단면영상과 texture 맵핑을 하여 실제 공간에 가까운 3D 지리공간을 자동적으로 구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지역에 적용하여 제안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