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가 역량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 매개효과 중심으로

        안태욱 ( Ahn Tae-uk ),강태원 ( Kang Tae-wo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을 통해 함양된 창업가역량이 기업가정신과 대학생의 취업의지에 어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93명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기업가정신의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가정신은 취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취업의지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은 협업적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취업의지 사이에 유의미한 매개효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창업가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더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기업가정신의 효과를 창업분야로 집중되었던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되게 취업의지에도 직접적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취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업가정신을 고취시켜야 한다는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취업의지를 높이기 위해 기업가정신교육을 반드시 시켜야 효과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학교육의 방향성과 정책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cultivated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on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volition for advancement into society. The samples were obtain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o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received start-up education, and collected 393 students data.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 and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cooperative communication ability had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had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voli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volition. Finally,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or effects between coopera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employment voli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erived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rather than simply concentrating on creative competence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is an important core factor for improving the will to find employment. Through the foregoing,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and presented proper directivity and policy basic data.

      •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태욱(Ahn, Tae Uk),박재환(Park, Jae Hwan),이일한(Lee, Il han) 한국경영학회 201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08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신성장 산업의 혁신을 하는 창업과 이러한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 인재에 대한 교육이 시급함을 인지하였고 기존의 교육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비판과 함께 창업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창의성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교육을 통한 창업의지의 영향에 대해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1개월동안 전국 대학생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협업적의사소통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혁신적 업무행동 능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에게 창의성 역량 교육의 효과로 인하여 자기자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대한 긍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회적지지(부모의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대학생의 경우 사회진출을 위한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지지가 보다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 대학에서 청년들의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대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교육의 확대뿐만 아니라 부모님에 대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창업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importance of creative talent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we recognized the urgent need for start-ups to innovate new growth industries and creative talents to lead these eras.And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Especially,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through education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e education on the will of entrepreneurship and empowermen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393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1 month from August 2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bility of communica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 - efficacy. On the other h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ies did not directly affect self-efficacy. In addi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start up.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Self -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of founding.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self-efficacy and willingness to work was not directly affect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self an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 to start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is not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control effect of the parent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need to do so.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willingness of young people to establish a university in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not only for direc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ut also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alents and entrepreneurship required by the age of their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멘토링 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창업동아리 활동을 조절효과 중심으로 -

        안태욱 ( Ahn Tae-uk ),이인아 ( Lee In-ah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3

        대학에서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에서 비교과교육의 효과에 대해 주목하였고, 전문가들로부터 실무 지식과 경험을 간접적 체험하는 멘토링 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창업실무를 직접 체험하는 창업동아리 활동이 이들 변수 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구정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토링(경력개발기능, 역할모형기능)이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과업도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과업도전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멘토링(경력개발기능, 역할모형기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창업동아리 활동 조절효과 분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멘토링은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지원을 확대하고 반면 창업동아리 활동은 실질적인 창업의지로 이어지지 않고 단순히 지원 혜택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과 스펙 쌓기 등 형식적인 활동에 그치고 있어 청년창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창업동아리 활동을 양적인 확대·지원 보다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took notes of mentoring that enable students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indirectly from experts as a non-curriculum area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s of students’ start-up club activities through which students could firsthand experience practical affairs for startup. In this study, 3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16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oring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control, and task challenge sense). Second, out of self-efficacy, only the task challenge sense was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mentoring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start-up club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s such indicate that mentoring educ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with positive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is a non-curriculum program that must be continuously expanded hereafter. On the contrary, the start-up club activities carried out in universities do not have any positive effectson actual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remain as a simple measure to utilize the benefits of support and formal activities for specifications in university life.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start-up club activities should be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managed and improved rather than quantitatively expanding the activities to more practically activate youth startup.

      • KCI등재

        비콘 신호 처리를 활용한 개인소지품 지갑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김동익(Dong Ik Kim),남강현(Kang Hyun Nam),이현영(Hyeon Yeong Lee),안태욱(Tae Uk Ah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IoT 플랫폼의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소지품 분실을 해결하여 주는데 목적이 있다. 비콘이 결합된 개인소지품은 애플리케이션서버에 등록되고, 분실 이벤트 발생에 따른 트리거 처리 기능이 디바이스, 앱, IoT 망,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서버를 통하여 지능적으로 수행 된다. 주요한 구성과 기능은 개인 소지품에 대한 비콘 데이터 구조, 확장 가능한 리소스 구조, 그리고 비콘 등록과 운영 기능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by utilizing monitoring function of IoT platform. The beacon to combined with personal belongings are registered with the application server, the trigger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lost event is performed intelligently through the device, the app, the IoT network, and the application server.

      • 당뇨병에 의한 흰쥐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

        안태욱,곽정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1

        Authors carried out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of the retina and functional alterations of blood-retinal barrier in diabetes. White male Sprague-Dowley rats were injected 65㎎/㎏ of streptozotocin through the tail veins. The retinas were examined with electron microscope eight weeks after injections of streptozotocin.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used for vascular clearanc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diabetes, pigment epithelial cells of the retina exhibited exaggrerated and irregularly arranged basal infoldings, dilatation of SER, and emergence of regeneration pigment epithelial cells. In addition, leakage of HRP through the blood-retinal barrier was not found in diabetes. With the above results, following views can be concluded In diabetes, the earliest retinal change is damage of pigment epithelial cells. The cause of increased permeability of retina is thought to be biochemical alteration of plasma membranes of pigment epithelial cells because the tight junctions between them are shown to be well p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