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쟁, 보완관계를 고려한 WiBro 서비스 수요 전망

        안지영,이광희,박광만,송영근,An, Ji-Yeong,Lee, Gwang-Hui,Park, Gwang-Man,Song, Yeong-Ge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2 No.4

        개인용 휴대 인터넷의 개념으로 세계에서 최초로 기술이 개발되고 본격적인 상용화를 개시한 WiBro는 기술개발 초기부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예측 작업이 이루어져 왔고, 이는 HSDPA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초기의 수요예측 시점에 가정하였던 여러 가정들이 구체화되고, 정보통신 환경도 변화함에 따라 이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수요예측이 이루어질 시점에 도달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변화된 여러 환경을 고려하여 WiBro 서비스에 대한 수요예측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위암 환자의 혈장 및 종양 조직에서 측정된 그렐린 농도의 임상적 의의

        안지영,최민규,홍성권,백용해,노재형,손태성,김성,An, Ji-Yeong,Choi, Min-Gew,Hong, Seong-Kweon,Baik, Yong-Hae,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4

        목적: 그렐린은 위에서 주로 생산되며 체내 영양상태를 반영하고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위암으로 위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혈장 및 조직의 그렐린 수치와 임상소견과의 관련성, 혈중 그렐린 수치와 위 암 조직 의 그렐린 수치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9월까지 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전절제술과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체중이 5% 이상 감소한 군과 5% 미만으로 감소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 생화학 검사소견, 체질량지수, 종양의 병기, 조직 유형, 혈액과 조직의 그렐린 펩타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라 수술 전후의 체질량지수, 생화학적 검사 소견, 혈중 그렐린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체중 감소 정도에 따른 환자들의 임상 양상, 혈중 그렐린 농도, 종양 조직 및 정상조직의 그렐린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이들 사이에 상호 연관성 역시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에서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정상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비해 유의하게(P<0.0001)감소되어 있었고 종양의 분화도에 따라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 위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7일 째 혈장 그렐린 농도는 수술 전 농도의 $36.5{\pm}25.6%$로,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수술 전 농도의 $47.3{\pm}34.3%$로 감소하였다. 절제 범위에 따른 수술 전 후의 혈중 그렐린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의 발생 및 종양의 분화도는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위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Ghrelin, produced primari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cluding the stomach, has been reported to reflect nutritional status and to control homeostasis by influencing food intake and adipo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as well as plasma and gastric tissue ghrelin level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analyzed by the degree of weight loss $(weight\;loss{\geq}5%\;or\;<5%)$ and the extent of gastrectomy (subtotal or total gastrectom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especially at seven days. Gastric tissues, including tumor and norm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the resected stomach. levels of plasma and tissue ghrelin were measured with a commercial ELISA ki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hrelin levels of plasma, gastric tumor tissue and normal tissue by the degree of weight loss. The ghrelin levels in plasma and tumor tissue showed no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the ghrelin level in tumor tiss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rmal tissue. The degree of cellular differentiation also had an association with ghrelin production. A gastrectomy proved to decrease significantly plasma ghrelin levels, body mass index, and biochemical markers, regardless of the extent of gastric rese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gastric cancer affects the production of ghrelin in the gastric mucosa and that ghrelin is mainly produced in stomach even though it could be partially covered by endogenous ghrelin from other organs following a gastrectomy. However, we should further investigate which other factors have an impact on energy consumption, ghrelin secretion, and changes in ghrelin levels after a gastrectom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IV기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김민국,안지영,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Kim, Min Kuk,An, Ji Yeong,Choi, Min Gew,Noh, Jae Hyung,Sohn, Tae 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조기위암이 림프절 전이에 의해 IV기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 후 IV기로 진단된 조기위암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삼성 서울병원에서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뒤 IV기 조기위암으로 확진된 10명의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10명의 환자들 중 남녀 비는 5:5였고 수술 당시 평균연령은 61세였다. 8예에서 근치적 위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는 근치적 위 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위의 병리 검사에서 10예 모두 점막하층까지 종양이 침윤되어 있었고, 9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평균 45.5개의 절제된 림프절 중 평균 22.2개에서 전이가 있었다. 종양의 크기의 중간값은 5.3 cm이었고, 6예에서 암세포가 Lauren형 조직 분류로 미만형을 보였으며, 이들은 WHO 분류로 저분화형 선암과 인환세포암종을 보였다. 10명 중 9명은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간값은 31개월이었고,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지 않은 1명은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9명 중 한 명은 암의 재발로 사망하였으며, 추적 검사에서 골 전이를 보인 한 명을 제외한 나머지 7명의 환자들은 현재까지 재발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IV기 조기위암은 점막하층의 침윤 깊이를 보이고, 비교적 큰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 등의 특징을 보인다.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 및 보조항암 화학요법을 통해 재발을 줄이고, 향후 이들 위암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및 장기적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Stage IV early gastric carcinoma (EGC) is a rare disease. We report here on 10 cases of EGC that showed metastasis in more than 15 lymph nod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354 cases of gastric carcinoma in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between January 2001 and January 2007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tudied, and 10 cases were classified as stage IV EGC. We investigated thei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ere 5 males and 5 females. Their ages at operation ranged from 46 to 76 years with a mean age of 61. All of the 10 patients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The pathological diagnosis confirmed that all of the patients had tumor confined to the submucosa. The median size of the tumors was 5.3cm and the mean number of dissected nodes was 45.5 with a mean number of 22.2 involved nodes. Six cases were classified as the diffuse type and 4 were classified as the intestinal type by Lauren's classification. Histologically, 3 cases were signet ring cell carcinoma, 3 were poorly differentiated, 2 were moderately differentiated and 2 were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Endolymphatic invasion was found in 9 cases. The median follow-up was 31 months. Adjuvant chemotherapy was done in 9 patients, and the patient who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died by cerebrovascular accident. 2 patient had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nd 7 survived without recurrence. Conclusion: More cases should be collected and further studies on the molecular and cellular tumor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o characterize these tumors that show aggressive lymphatic spread.

      • 출혈을 동반한 거대 위 신경초종 1예

        김제연,안지영,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Kim, Je-Yeon,An, Ji-Yeong,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1

        위에서 생기는 점막하 종양은 내시경적 조직검사로는 그 기원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막하 종양 중, 슈반 세포(Schwann cell)로부터 분화하여 생기는 종양을 신경초종(Schwannoma)이라고 하며, 위에서 생기는 전체 종양의 0.2%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증례는 2개월 전부터 시작된 다량의 흑색변과 빈혈을 주소로 내원한 57세 여자 환자에 대한 보고이다.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및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위 분문에서 3 cm정도 아래부터 위각 직상부까지 위체부 소만을 대부분 차지하는 약 8 cm 이상의 돌출된 종양이 관찰되었고, 수 차례에 걸친 내시경적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괴사조직과 육아종성 조직, 만성 위염 소견만 반복해서 나왔다. 출혈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 림프종 등을 생각하여 정확한 진단 및 출혈에 대한 치료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조직검사에서 전반적으로 소엽상 형태(lobulating pattern)로 주변에 림프구 침윤(lymphocyte cuffing)이 있었고 책상핵(palisading nuclei), 방추세포(spindle-cell) 등이 보였다. C-kit, CD34, SMA 모두 음성이었으며 S-100 양성으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The origin of a submucosal tumor is difficult to determine by endoscopic biopsy. One type of submucosal tumor, which originates in Schwann cell, a schwannoma represents 0.2% of all gastric tumors. We experienced the case of a 57-year-old female patient with a gastric schwannoma presenting with melena and anemia. Computed tomography and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howed a protruded huge mass from 3 cm below the cardia to angle. Seven endoscopic biopsies indicated only necrotic debri and granulation tissue, chronic gastritis. Because we suspected an advanced gastric cancer, or lymphoma with bleeding, It was performed an operation for an exact diagnosis and a treatment for bleeding. A-post-ope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led to the final diagnosis of a gastric schwannoma.

      •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강태호,안지영,김용석,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Kang, Tae-Ho,An, Ji-Yeong,Kim, Yong-Seok,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 Borrmann 제4형 위암은 일반적으로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를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 분석하고, Borrmann 제4형 위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 받은 4,416명의 진행 위암 환자 중 Borrmann형 분류 및 생존여부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3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TNM 병기 및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위벽침윤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모두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았고, 근치적 절제술 비율이 낮았다. 5년 생존율은 Borrmann 제4형이 20.7%로 다른 형의 5년 생존율 53.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일 병기에서도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위벽침윤도,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치유도 그리고 Borrmann 제4형이 위암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였다. 결론: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시 임상병리학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동일 병기에서도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어 이를 고려한 예후 판단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rognosi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is poorer than that of the other gastric carcinomas. We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with those of other types of cancer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as a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NM stage and survival rates of 4,389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manage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4. Results: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had a more advanced stage than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initial diagnosis, and the curative resection rate was lower.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cancer was 20.7%, and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cancer was 50.3%.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same TNM stage.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depth of invasion, the nodal state, distant metastasis, the TNM stage, cur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n cases of gastric cancer. Conclus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has uniqu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he prognosis should be predicat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rrmann type IV qastric carcinomas and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nd multimodal and intensive therapies are needed in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 위에서 발생한 선-편평세포암종

        조용권,안지영,홍성권,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Cho, Yong-Kwon,An, Ji-Yeong,Hong, Seong-Kweo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1

        배경: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선암종이 가장 흔하며 선-편평세포암종은 전체 위암의 0.5%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편평세포암종의 발생기전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명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치료 방법 역시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원에서 체험한 선-편평세포암종을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8,268명의 환자 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선-편평세포암종으로 확진된 8명의 환자를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5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중앙 연령은 49 ($41{\sim}69$)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중부가 3명, 하부가 5명이었고 크기는 평균 6.2 ($2.5{\sim}8cm$)였다. 병기는 UICC 분류상 II기가 5명, III기가 2명, IV기가 1명이었으며 조직 검사상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7명에서 관찰되었고 전이 림프절 개수는 평균 3.7 ($1{\sim}14$)개였다. IV기 환자 1명은 위절제술을 시행하지 못하고 위-공장우회술만 시행하였고 수술 후 5개월만에 사망하였다. 근치적 위절제술과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6명의 환자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34 ($12{\sim}66$)개월이었으며 1명은 경과 관찰 중 손실되었고 2명은 수술 후 각각 30개월과 34개월에 재발로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4명은 재발의 증거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위에서 발생하는 선-편평세포암종도 선암종과 마찬가지로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근치적 위절제술과 함께 술 후 보조 항암 화학 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X>$1,000{\mu}g$을 1개월 간격으로 $5{\sim}6$회 근육 주사하면 정상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사료된다. 실험동물모델의 신경연접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연접의 형태적 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척도(r=-.341, p=0.036)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5) 사회적 관계 영역(영역 3)과 관련 있는 요인은 없었으나, 하부척도 중 성적활동 척도는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r=0.344, p=0.037). 6) 환경 영역(영역 4)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점수가 높았지만(r=0.482, p=0.003),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고하였다(r=0.328, p=0.044). 한편 하부 척도 중에서는 신체적 안전 척도(r=-0.414, p=0.010), 거주환경 척도(r=-0.429, p=0.007),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 척도(r=-0.382, p=0.018), 의료서비스 및 사회보장서비스 척도(r=-0.351, p=0.031)가 환아의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적 안전척도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음을 보고하였다(r=-403, p=0.012). 한편,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척도(r=0.406, p=0.013), 여가활동 척도(r=0.464, p=0.004), 교통 척도(r=0.363, p=0.027)은 교육연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결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은 건강대조군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보호자의 교육연수가 낮을수록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의정도가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Purpose: A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is relatively rare, accounting for only about 0.5% of all gastric cancers. However, its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are still unclear, and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therapy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8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s out of 8,268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04.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8 patients was 49 ($41{\sim}69$) years, and the male : female ratio was 5 : 3. In 3 patients, the tumor was located at the mid body of the stomach, and in 5 patients, at the lower body or antrum. The tumor sizes were $2.5{\sim}8cm$. Seven patients showed metastase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The UICC stage distribution were: 5 stage II, 2 stage III, and 1 stage IV. In the stage IV patient, a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was performed, and he died 5 months after surgery. Of the 7 patients who underwent a radical gastr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tpy, the median survival was 34 ($12{\sim}66$) months, 2 patients died of cancer recurrence, and 4 patients are being followed up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 As for an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a radical gastrectomy including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should be performed for appropriate treatment of an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 KCI등재

        위암에서의 복강 내 세포검사의 임상적 의의

        노건호 ( Kun Ho Roh ),안지영 ( Ji Yeong An ),박경호 ( Kyung Ho Pak ),정재호 ( Jae Ho Cheong ),노성훈 ( Sung Hoon Noh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복강 내 세포검사는 몇몇 연구에서 복강 내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7판 AJCC staging에서는 복강 세포검사가 양성으로 나오면 다른 인자를 배제하고 4기로 구분한다. 이번 논문에서는 위암 환자에서의 복강 내 암세포의 존재가 가지는 임상적 그리고 예후적 가치에 대해 논하겠다. 대상 및 방법: 위절제술을 시행한 125명의 위암환자에서 복강내 세포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환자군을 복강 내 세포 검사 양성과 음성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125명의 환자 중 16명(12.8%)이 양성으로 나왔으며, 이 군에서 T, N 그리고 M stage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 군에서 미분화암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검사 양성과 음성, 두 군의 전체 생존율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으나(p =0.106), 질병 외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복강 내 세포 검사 음성군에서 질병 외 생존율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복강 내 세포 검사 양성군 중에서 전이가 없는 군과 세포 검사와 상관 없이 전이가 있는 군을 비교해 보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p =0.076). 결론: 복강 내 세포검사는 암의 진행뿐만 아니라 수술 후 암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마커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마커가 생존과 재발을 나타낼 수 있는 독립적인 영향력이 있는지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Peritoneal cytology has been reported to be a useful tool for the detection of peritoneal dissemination in several studies, and in the 7th edition of the AJCC staging,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is classified as metastatic disea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sence of free cancer cells through the peritoneal cytology in gastric cancer patients and analyzed their clinical and prognostic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125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with intraoperative peritoneal cytolog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cytology negative (Cy-) and cytology positive (Cy+). Results: 16 of total 125 patients (12.8%) were Cy+, and they had more advanced T, N, and M stages, as well as histologically undifferentiated carcinomas. The difference of the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Cy- and Cy+ group was not significant (p =0.106), but the disease free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Cy+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with Cy- (p <0.001). The survival curves of patients with positive cytology but no gross metastasis (Cy+/M0)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with gross metastasis (M1) (p =0.076). Conclusions: Peritoneal lavage cytology may be a useful marker of tumor progression and a strong predictor of recurrence in gastric cancer patients. However, it should be questioned whether this novel marker is an independent prognosticator in survival and recur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