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와 공간의 생산 - 여성청소노동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안숙영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he production of space, focusing on the struggles of female cleaning worker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Female workers who account for 82.5% of the total cleaning workers are situated in inhuman conditions in which there are, for example, no rooms where they could eat or take a rest. In this situation, they have begun to organize a union at their workplace and taken their protest to the streets in order to produce spaces for themselves. On their rallies, they have emphasized that absence of space means absence of rights and have demanded spaces and rights as workers and thus pursued the change of the city as product into the city as oeuvre in the sense Lefebvre makes use of that term. In order to analyze these processes of the production of space, this study in chapter 2 engage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gender focused on the workplace as gendered place. Chapter 3 focuses on the struggles of female cleaning workers who have pursued the change of the city into oeuvre through the production of space for themselves. Chapter 4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se struggles for our everyday lives, space and politics. Lastly, chapter 5 emphasizes the meaning of their strategy of ‘doing work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ity into a space of hope. 이 글의 목적은 젠더의 관점에서 공간의 생산을 살펴보기 위해 여성청소노동자의사례를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청소노동자 가운데 82.5%를 차지하는 여성청소노동자는식사 공간과 휴게 공간조차 없는 비인권적인 공간의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런 현실에서여성청소노동자는 “더 이상 화장실에서 밥을 먹을 수는 없다!”고 외치며 스스로를 위한 공간을 생산하기 위해서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한편으로 거리를 비롯한 공적 공간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여성청소노동자는 공간의 부재는 곧 권리의 부재라는 점을 강조하고 노동자로서의 공간과 권리를 요구하는 가운데, 제품으로서의 도시를 작품으로서의 도시로 바꾸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생산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은먼저 2장에서는 공간과 젠더의 관계를 젠더화된 장소로서의 일터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이어 3장에서는 공간의 부재라는 상황에서 노동자로서의 권리의 쟁취를 통해자신의 공간을 생산하며 도시를 작품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는 여성청소노동자의 투쟁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나아가 4장에서는 이러한 투쟁이 일상, 공간 그리고 정치에던지는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도시를 희망의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 ‘노동자 되기’ 전략이 갖는 의미를 지적한다.

      • KCI등재

        유럽연합과 젠더 민주주의: 정치에서의 젠더평등을 중심으로

        안숙영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9 EU연구 Vol.- No.52

        The gender politics of the European Union aims at promoting gender equality and has for a long time concentrated on ‘equal pay for equal work’. The reason was that at the beginning of European integration, especially with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the main focus of this process was economic cooper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topic of ‘gender equality in politics’ has emerged in the late 1980s belatedly as one of the gender equality policies of the European Union. When we consider that the political space is male-dominated even in the European Union,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in politics through equal participation of women is an important touchstone for progress of ‘gender democracy’ in the European Un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nalyses today’s status of gender democracy in the European Union with a focus on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who are acting as politicians in national governments and national parliaments in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It examines the national governments and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the office of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 ministers, and in government functions. Regarding the national parliaments, it analyses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the office of lawmak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uropean Union is the frontrunner of gender equality in politics worldwide, even though the European Union does not achieve the ‘gender balance’ ratio of 40% of women in politics. 젠더평등을 지향하는 유럽연합의 젠더정책의 초점은 오랫동안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맞추어져 있었다. 무엇보다 유럽연합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가 경제협력을 위한 공동체로 출발을 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에서의 젠더평등’은 198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유럽연합의 젠더평등정책으로 뒤늦게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유럽연합에서도 정치공간이 ‘남성 클럽으로서의 민주주의’에 기초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성의 동등한 참여를 통한 정치에서의 젠더평등의 향상은 유럽연합에서의 ‘젠더 민주주의’의 진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금석의 하나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행정부인 정부와 입법부인 국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에 초점을 맞춰 유럽연합의 젠더 민주주의를 향한 노력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즉, 정부의 경우는 대통령이나 총리 같은 정부수반과 장관직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비율 및 부처의 기능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비율, 국회의 경우는 국회의원직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비율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럽연합 회원국이 정부와 국회 차원 모두에서 여성의 비율이 적어도 40%에 이르는 ‘젠더 균형’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볼 때는 정치에서의 젠더평등과 관련하여 가장 앞서 나가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시각자료의 점역 분석

        안숙영,김영일,염지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7 시각장애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isual materials in the fifth- and sixth-grade regular print English textbooks with those in the fifth- and sixth-grade braille English textbooks. The regular print English textbooks were authored by Lee et al. and published at Daekyo; the braille English textbooks were transcribed in the Braille Library of Taegu University. The fifth-grade regular print English textbook presented a total of 996 visual materials, including 79 (7.9%) photos, 887 (89.1%) drawings and 30 (3.0%) other visual materials. The sixth-grade regular print English textbook presented a total of 882 visual materials, including 84 (9.5%) photos, 747 (84.7%) drawings and 51 (5.8%) other visual materials.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the visual materials for teaching English, the fifth-grade textbook consisted of 738 (74.1%) imperative, 107 (10.7%) auxiliary and 151 (15.2%) decorative materials. The sixth-grade textbook consisted of 607 (68.8%) imperative, 122 (13.8%) auxiliary and 153 (17.4%) decorative materials. The braille transcription patterns of the visual materials in fifth-grade were as follows: complete transcription 11 (1.1%), modifications 588 (59.0%) and omissions 397 (39.9%). The braille transcription patterns of the visual materials in sixth-grade were as follows: complete transcription 18 (2.0%), modifications 437 (49.6%) and omissions 427 (48.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6학년군 묵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와 점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 점역 형태를 비교ㆍ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5-6학년군 묵자 영어교과서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대교 출판사의 영어교과서였고, 점자 영어교과서는 이를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에서 점자로 발행한 것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묵자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는 5학년 총 996개, 6학년 총 882개였고, 시각자료 유형별로 보면 그림, 사진, 기타 시각 자료의 순위였다. 둘째, 5-6학년군 시각자료의 기능은 5학년의 경우 필수 74.1%, 장식 15.2%, 보조 10.7%였고, 6학년의 경우 필수 68.8%, 장식 17.4%, 보조 13.8%였다. 셋째, 점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 점역 형태는 5학년의 경우 수정 59.0%, 생략 39.9%, 완역 1.1%였고, 6학년의 경우 수정 49.6%, 생략 48.4%, 완역 2.0%였다. 넷째, 점자 교과서의 시각자료 점역 형태는 영역별, 시각자료 유형별 및 시각자료 기능별로 분석할 경우 수정, 생략, 완역의 순위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영어교과서 시각자료의 점역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독일에서의 젠더와 기본소득 논의

        안숙영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0 EU연구 Vol.- No.55

        Currently, there is a vibrant debate about basic income in Germany. Basic income is the regular payment of a certain amount of money by the state to its citizens without any conditions attached. Since basic income is based on gender neutrality, there is a strong tendency not to ques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basic income within the discussion that has developed in Germany between proponents and opponents of basic income. German feminists have argued since the middle of 1990s for the necessity of a transition from social policy as a policy for workers, focusing on the situation of male workers as breadwinners, to social policy as a gender polic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women as care providers. Since the late 2010s, they have analyzed the possibility of basic income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proposed new approaches for the future of the German welfare state. It is difficult to find related studies in South Korea, and this article will take the first step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discussions by theoretically exploring the debate on gender and basic income in German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in Chapter II critically approaches the problems of the German welfare state from a gender perspectiv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basic income discussion. In the following chapter III, it examines gender opportunity and gender crisis as two main aspects of basic income. In chapter IV, it focuses on care work and looks at how basic income will change women's lives in the dimension of gender justice. Chapter V, finally, contemplates the possible direction of this debate on gender and basic income. 오늘날 독일에서 기본소득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다. 기본소득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아무런 조건 없이 국가로부터 전 생애에 걸쳐 정기적으로 지급받는 일정한 금액의 돈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이 젠더중립성에 기초하고 있어, 기본소득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독일의 기본소득 논의 내에서는 젠더와 기본소득의 관계를 질문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가운데 1990년대 중반부터 독일 복지국가의 문제점을 비판해 온 독일의 페미니스트들, 즉 남성노동자의 상황에 초점을 맞춘 ‘노동자정책으로서의 사회정책’으로부터 여성의 상황을 고려하는 ‘젠더정책으로서의 사회정책’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독일의 페미니스트들이 200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어 기본소득의 가능성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며 독일 복지국가의 미래를 둘러싼 새로운 제안들을 내놓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가운데, 이 논문은 독일에서 진행된 젠더와 기본소득 논의의 흐름을 이론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논의의 발전을 위한 첫 걸음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II장에서 기본소득 논의의 배경을 이루는 독일 복지국가의 문제점에 대해 젠더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이어지는 III장에서는 젠더 관점에서 기본소득을 분석할 때 기본소득이 갖고 있는 젠더 기회이자 젠더 위기로서의 두 가지 측면에 대해 살펴본다. 나아가 IV장에서는 돌봄노동에 초점을 맞춰 기본소득이 젠더정의의 차원에서 여성들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를 전망해 본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 해당하는 V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논의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한다.

      • KCI등재

        젠더와 노동: 탈노동사회를 향한 상상

        안숙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tend the feminist understanding of work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of conceptions of a ‘postwork society’ which are oriented toward ‘less wor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a reflectiv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work society’, in which work as wage labor is understood as the primary aspect that gives meaning to our lives. It also analyzes the concepts ‘work ethic’ and ‘family ethic’, which are the two pillars that are propping up the work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 chapter II critically examines the problem of a work ethic which is only focusing on the value of wage labor in an overwork societ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ight not to work. In chapter III, it takes a critical look at the problems of a family ethic which is another pillar sustaining the work society. In chapter IV, it tries to reimagine the economy as a pre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ostwork society’ and explores possibilities of introducing working time reductions and basic income as alternatives to a ‘postwork society’. Lastly, in chapter V, it draws a brief sketch of some points that need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spects. 이 논문의 목적은 과잉노동사회로서의 한국사회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판하며 ‘더 적은 일’을 지향하는 ‘탈노동사회’를 상상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이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이나 노동에 대한 페미니즘적 이해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으로, 노동사회의 미래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새롭게 상상해 보는 것이다. 임금노동으로 이해되는 일이라는 것이 우리의 삶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이른바 ‘노동사회’ 및 그 노동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노동윤리’와 ‘가족 윤리’를 반성적으로 돌아보는 가운데, 노동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방안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과잉노동사회에서 임금노동의 가치에만 초점을 맞추는 노동윤리의 강화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페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일하지 않을 권리 또한 중요함을 강조한다. III장에서는 노동윤리와 더불어 가족윤리 또한 과잉노동사회를 지탱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기둥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통해 가족윤리를 넘어 페미니스트 시간 운동으로 나아갈 필요성으로 시선을 돌린다. 나아가 IV장에서는 ‘탈노동사회’를 향한 상상이라는 차원에서 ‘경제’라는 개념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으로 노동시간 단축과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 해당하는 V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고 미래적 전망을 그려나가는 데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지점을 간략히 소개한다.

      • KCI우수등재

        젠더의 렌즈로 본 기본소득: 가능성과 한계

        안숙영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2

        Discussions over basic income are ongoing not only around the world but also in South Korea. Basic income refers to the regular payment of an appropriate amount of money to an individual. With this focus of the debate, scholars rarely asked about the different effects of basic income on female and male citizens. Due to this presumed gender neutrality of basic income, there is a strong tendency within feminism to hesitate to actively analyze basic income worldwide. However, due to the problem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based on paid work, two different approaches have formed, one of which expects that basic income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gender equality and focuses on its possibilities, and the other one believes that basic income will strengthen the gender labor division and pays attention to its limitations. This study seeks to find a stepping stone for the discussion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representative arguments of each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in chapter II examines basic income proposals that assume gender blindness based on the concept of gender neutrality. Chapter III analyzes the arguments of Carole Pateman who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basic income as a means of the democratization of citizenship including women’s freedom, and of Kathi Weeks who regards the demand for a basic income as a starting point for a post-work society. The following chapter IV looks at the discussions of Anka Gheaus, who predicts that basic income will be a threat to gender-symmetrical lifestyles, and the arguments of Alison Koslowski and Ann-Zofie Duvander, who expect that basic income will bring a return to the single person breadwinner model even in Sweden. Finally, chapter V discus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minist discussion about basic income should go forward. 기본소득을 둘러싼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활발하다. 기본소득은 개인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적당한 금액의 돈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성시민과 남성시민에게 미칠 상이한 영향에 대해서는 질문하지 않는다. 기본소득의 이러한 젠더중립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기본소득에 대한 적극적인 분석을 주저하는 경향이 페미니즘내에서는 강했다. 그러나 유급노동을 바탕으로 한 사회보장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으로 인해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는, 기본소득이 젠더평등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바라보며그 가능성에 주목하는 흐름과 기본소득이 젠더노동분업을 강화할 것으로 바라보며 그 한계에 주목하는 흐름이 형성되었다. 이런 가운데 이 논문에서는 각 흐름의 대표적인 논지를 탐색함으로써, 국내에서의 논의의 활성화를 위한 디딤돌의 하나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기본소득 제안에 내재한 젠더중립성으로 인해 기본소득 제안이어떻게 젠더무감성으로 나가는지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여성의 자유를 포함한 시민권의 민주화로서의 기본소득의 가능성에 주목하는 캐롤 페이트만의 논의와 탈노동사회를향한 출발점으로서의 기본소득 요구가 갖는 가능성을 조명하는 케이시 윅스의 논의로 시선을 돌린다. 이어지는 IV장에서는 기본소득이 젠더대칭적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위협이될 것으로 전망하는 안카 게아우스의 논의와 기본소득이 스웨덴에서조차 남성생계부양자모델로의 회귀를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는 앨리슨 코슬로브스키와 앤-조피 두반더의 논의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기본소득을 둘러싼 페미니즘 논의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언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