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실질 지배력 적용과 경영성과

        안성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20 회계와 정책연구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hanges in subsidiaries under substantive control when prepar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n firm performance, and examines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ERC) about the change in the consolidated earnings based on substantive control. [Methodology] The samples are 7,144 firm-year, which are non-financial companies among KSE and KOSDAQ companies whos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were disclosed from 2012 to 2017. And this study performs OLS regress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on ROA and stock return. [Finding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sidiary which the controlling company’s ownership ratio is under 50% includes 0.7 firm on average and up to 133 firms. Second, the change in subsidiaries under substantive control is approximately 21% of the total samples. Third, when there is the change in subsidiaries under substantive control, the firm performance appears to be better than the previous year, which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substantive control can be strategically used to improve firm performance. Finally, the ERC of consolidated earnings from changes in subsidiaries due to substantive control is negative, suggesting that the market is negatively assessed for improved consolidated earnings using substantive control.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proves that the application of substantive control can be strategically used to improve firm performance. However, strict supervision is not desirable under principle based accounting.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mpany’s strategic judgment by enlarging the disclosure, such as disclosure on the reason of the application of substantive control or the reason and financial effect when subsidiaries under substantive control are changed. And also by providing various cases about application of substantive control, it may be necessary to make a social consensus on the substantive control.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실질 지배력 기준이 적용된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변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연결실체의 변화에 따라 증가된 연결이익의 이익반응계수를 살펴봄으로서 지배력 기준에 기초한 연결이익의 변화에 대한 시장 반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표본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연결재무제표를 공시한 유가증권 및코스닥 시장 상장기업 중 비금융기업인 7,144기업-연도를 대상으로 한다. 실질 지배력 기준에 의해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변동이 발생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더미변수를 주요 설명변수로 하고, 총자산이익률로 측정한 경영성과와 누적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OLS)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배회사의 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인기업 중 실질 지배력 기준에 의해 연결실체에 포함된 종속회사는 평균 0.7개이며 최대 133개까지 포함되어 있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연결재무제표에포함된 종속회사 중 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인 종속회사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는 전체 표본의약 21%에 해당하므로 지분율 과반수 미만인 종속회사의 변동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음을알 수 있다. 셋째, 실질 지배력 기준이 적용된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경영성과가 전기 대비 양호해지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실질 지배력 적용이 경영성과 개선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실질 지배력에 따른 종속회사 변화로 인한 회계이익의 이익반응계수는 음(-)으로 나타나, 실질 지배력 기준을 이용하여 개선된 연결이익에 대해 시장은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지분율 과반수 미만인 피투자회사에 대한 실질 지배력 적용이 경영성과 개선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그러나 원칙중심 회계 하에서 감독당국이 실질 지배력 적용의 적정 여부를 엄격한 잣대로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배력 적용근거에 대해 공시하거나 지배력이 변경되었을 때 그 사유와 재무적 효과 등을 공시하는 등의 공시 강화를 통해 지배력기준을 활용한 기업의 전략적 판단을 줄이고, 지배력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지배력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점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에 대한 대학 내 서비스와 상담전략에 대한 제언: 정신재활서비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안성희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1

        최근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그로 인한 사건사고를 고려볼 때 대학생들의 정신질환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일상생활과 학업을 유지하게 하는데 효과성이 검증된 정신재활을 소개하였다. 정신재활은 재활상담의 한 방편으로서, 대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대학 내 서비스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학 내 기관인 대학상담센터, 교수학습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정신재활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지원교육, 예방교육과 위기개입, 약물복용과 부작용관리 및 관련법령의 활용,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전략의 개발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이러한 정신재활서비스가 신체질환을 가진 학생들 뿐 아니라 정신질환을 가진 학생들에게도 자퇴율을 낮추고 졸업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던 구체적인 개입전략임이 논의되었다. 끝으로 대학 내 정신재활서비스의 보급과 정착을 위한 기본원칙과 정책적 지원 및 한국의 대학 상황을 고려한 대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Co-Design 방법론을 적용한 도시경관 디자인 기획 프로세스 연구

        안성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3

        Designing the urban landscape, literally has to cover grand scale of areas and includes many design fields as well as content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scope of simply planting plans or building urban infrastructure, attempts have been made to view landscape design from the people’s daily life point of view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f urban landscape design planning process by applying the Co-Design methodology, one of the user-centered service design methods, to find problems and discuss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residents. For the study objects, this study run three Co-Design workshops with Sejong citizens for Sejong Special City landscape design masterplanning, and the process and results were analyzed. The Co-Design workshops have proved that citizens who has little design literacy needs visual supporting material to impro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subject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develop a service model of platform-based public design which will be useful to local councils and designers who cooperate with citizens by sharing the process of the Co-Design workshop. 경관디자인은 그 특성상 공간적으로 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으며 많은 디자인의 분야와 내용들을 포함하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식재 계획이나 도시 인프라를 구축하는 물리적인 범위를 넘어 시민들의 생활적 측면을 포함하여 시민들의 관점에서 경관디자인을 바라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user-centered)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Co-Design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시의 경관 디자인 관련 기획의 프로세스에서 시민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관련된 여러 스테이크 홀더들과 함께 기획의 대상들을 놓고 대안을 토론하는 과정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세종시의 경관디자인 계획을 수립하는 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세종시민들을 대상으로 3회의 Co-Design 워크샵으로 설계하여 수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o-Design 워크샵은 디자인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한 시민들이 주제에 집중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각적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Co-Design 워크샵의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시민들과 함께 디자인하고자 하는 지역 정부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되는 플랫폼적 공공디자인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