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발견 기반의 고속도로 영업소 분할 교통수요 예측

        안병탁,윤병조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3

        The tollbooths of a main motorway toll plaza are usually operated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variations of traffic demands of two-type vehicles, i.e. cars and the other (heavy) vehicles, respectively. In this vein, it is one of key elements to forecast accurate traffic volumes for the two vehicle types in advanced tollgate operation. Unfortunately, it is not easy for existing univariate short-term prediction techniques to simultaneously generate the two-vehicle-type traffic demands in literature. These practical and academic backgrounds make it one of attractive research topics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forecasting area to forecast the future traffic volumes of the two-type vehicles at an acceptable level of accuracy. In order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univariate short-term prediction techniques, a Multiple In-and-Out (MIO) forecasting model to simultaneously generate the two-type traffic volumes is introduced in this article. The MIO model based on a non-parametric approach is devised under the on-line access conditions of large-scale historical data. In a feasible test with actual data,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Kalman filtering, one of a widely-used univariate models,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in spite of multivariate prediction scheme 고속도로의 주요 영업소 톨부스는 일반적으로 2개 차종(경차포함 승용차, 승용차 이외의 중차량)의 교통수요 변동에 따른 사전 대응방식으로 각차종에 대하여 운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2개 차종에 대한 정확한 교통량 예측은 영업소의 첨단 운영에 있어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유감스럽게도, 기존 연구로 보고된 현행의 일변량 단기 예측 기법들을 이용하여 2개 차종의 교통량을 동시에 예측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실용적학술적 배경으로 인해 수용 가능한 정확도의 수준에서 2개 차종의 장래 교통량 예측은 ITS 예측 분야의 매력적인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변량 단기 예측기법의 단점을 극복함과 더불어 2개 차종의 교통량을 동시에 예측하기 위한 다중 입출력(Multiple In-and-Out, MIO) 모형을 제시하도록 한다. 제안된 MIO 모형은 대용량 이력자료의 실시간 이용이 가능한 자료 환경에서 비모수 접근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실제 자료를 이용한 적용가능 실험에서, 개발모형은 다변량 예측 수준에도 불구하고 폭 넓게 이용되는 일변량 예측모형 중하나인 Kalman filtering에 비하여 예측 정확도 측면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한 병실환경과 삶의 질 :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비교

        안병탁,한성희,이충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연구 목적: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하는 개방 병동과 폐쇄 병동의 병실환경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 그 차이가 그들이 보고하는 삶의 질과 어떠한 연관을 보이는가를 고찰함으로써 개방병동이 가지는 병실환경의 치료적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개방병동이 지향해야 하는 병실환경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국립서울정신병원의 일 개방병동과 일 폐쇄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각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실환경평가척도(Ward Atmosphere Scale : WAS)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에 응답케 하였으며, Lehman의 삶의 질 면담(Quality of Life Interview)의 일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하여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들과 주관적 지표들의 점수를 측정하였다. 개방병동군과 폐쇄병동군에서의 측정치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병실환경척도의 점수와 삶의 질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병실환경에 대한 지각에 있어 개방병동군은 패쇄병동군보다 병실환경을 보다 지지 적이고 자율적이며 실제 지향적이라고 지각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평가에 있어 개방병동군은 폐쇄병동군에 비해 높은 '전반적 삶의 질'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인구학적, 임상적 변수들과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들에 의한 영향을 공분산분석으로 배제한 뒤에도 유의하였다. '전반적 삶의 질' 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인 병실환경특성들 중 개방병동군의 경우 '질서와 조직'(r=0.49, p<.05). 그리고 패쇄병동군의 경우 '지지'(r=0.59. p<.01)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개방병동군은 병실환경을 지지적이며 자율적이며 실제지향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긍정적 지각은 그들이 보이는 삶의 질 점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ward atmosphere of an open ward and that of a closed ward as perceived by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perceived ward atmosphere i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and also to get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treatment policies of open wards. Methods : Fifty-two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ere selected, 26 of them were in an open ward and the remaining 26 patients were in a closed ward, in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All the pati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whole items of Ward Atmosphere Scale (WAS) and SCL-90-R. Objective indicators and subjective indicators of their quality of life were scored during a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potions of Lehman's Quality of Life Interview. The subjective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were combined to a single global quality-of-life score and then examined for associations with other variables. All the measu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Covariate adjustments were made as needed. Results :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upport', 'autonomy' and 'practical orientation' subscales among WAS in comparison with closed ward patients.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higher 'global quality-of-life score' compared with the closed ward patients. These differences were also significant fo11owing covariate adjustments for demographic, clinical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variables. Among the WAS subscales 'order and organization'(r=0.49, p <.05) was the highest correlate of 'global quality-of-life score' in case of open ward patients, and 'support'(r=0.59, p <.01) was the highest correlate in case of closed ward patients. Conclusion :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better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ir reported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their higher ratings on WAS:

      • 驛勢圈 주차장의 최적 입지선정을 위한 모형 정립과 사례분석

        김윤태,안병탁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1990 통계상담 Vol.5 No.1

        역세권 주차장의 최적입지 선정을 위한 모형을 만들고 현존하는 서울시 지하철 노선에 적용하여 최적입지를 찾아내어 그 효과를 수량화하고자 한다.

      • 색상-깊이 영상간의 좌표 정합 기법

        현용환 ( Yong-hwan Hyun ),조슬기 ( Seul-ki Jo ),안병탁 ( Byung-tak Ahn ),유국열 ( Kook-yeol Y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색상-깊이 영상간의 좌표 변환 관계 검출 시스템 및 변환 정확도 측정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자체 제작한 3D 체크 패턴 구조물을 이용하여 두 영상간의 대응점을 찾고,이들 간에 관계식을 수치적 분석 또는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관계를 유도하였다. 키넥트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고,3차원 영상으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