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클라우드 ERP특성이 개인의 인지된 기대성과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병찬,안현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주로 온프레미스(on-premise)방식으로 구축되는 기존 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과 달리, 최 근 등장한 클라우드 ERP는 보다 적은 초기비용을 들 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필요시 얼마든지 확장해 서 최신의 솔루션을 쓸 수 있는 장점으로 각광을 받 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업 (ex. Salesforce, Workday)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ERP기업들 (ex. SAP, Oracle, MS)도 적극적으로 클라우드 ERP를 기업의 디지털혁신의 근간으로 내세우며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클라우드 ERP 시스템의 기능이 훌륭할지라도 직원들이 새로운 시스템에 저항하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업은 효과적인 ROI를 달성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ERP에 대 한 개인의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개인의 인지된 기 대성과를 선행변수로하여 부 변인 간의 관계를 우선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클라우드 ERP에 대한 수행된 기존 연구에 기반해 제시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실제 로 어떻게 클라우드 ERP의 기대성과에 영향을 미치 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ERP특성으로 선호 특성인 신속성, 확장성, 유연성, 비용효율성 외에 추가로 지각된 위험, 커스 트마이징 비중, 변화에 대한 저항을 저항특성으로 제 안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 클라우 드 ERP사용자들에 대한 사용행동을 보다 깊이 이해 하여, 실무적으로 클라우드 ERP의 시장 확대 및 활 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대학박물관과 보존과학의 역할

        안병찬 慶州大學校 慶州文化硏究所 2005 慶州文化硏究 Vol.7 No.-

        우리나라에 있는 대학박물관의 수는 총 101개 처에 달하며 여기서 직접 관리하고 있는 문화재의 수량은 약 90만 점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엄청난 양의 문화재 수량에 비해 문화재를 치료하고 잘 보존할 수 있는 보존처리 전문인력은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빈약하다. 또한 대다수의 대학박물관은 모든 면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설사 예산이 지원된다 하더라도 그 상당 부분이 특별전시와 같이 대외적인 측면에 중점 투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을 십분 감안하여 대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패를 과학적으로 보존 관리하는 데는 보존과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임무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큐레이터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 보존처리자의 임무인 문화패의 손상원인 파악과 주변 환경의 영향을 고려한 전반적인 관리를 과학적인 보존관리(Conservation Management)라고 하자! 이것을 다시 '예방적인 보존관리'와 '치료적인 보존관리'로 세분해 추진할 수 있는데 큐레이터와 보존처리자가 함께 수행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적인 보존관리 분야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수장고와 전시실에 대한 환경 모니터링과 진단, 공조관리 조언 및 개선 방안 수립 ② 손상된 유물의 발견과 손상 등급 판단, 그리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 ③ 보존처리 실시와 처리 후 문화재의 상태 결정(예를 들면 회화류 표장형식 등) 근래 대학박물관에서 발굴기관 허가를 얻기 위해 무리하게 보존처리실을 설치하고 처리자를 채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대학의 형편을 고려할 때 새로운 처리실을 만들고 처리자를 채용하기보다는 인력과 시설이 완비된 각급 보존연구소나 대학, 그리고 사설센터 등을 활용하는 편이 훨씬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박물관 단독 혹은 몇 개 박물관이 팀을 이뤄 협력체제(시스템)를 구축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이러한 체제를 구축할 경우 협력 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각 대학박물관을 순회 하며 수장고의 환경과 소장 문화재의 상태를 점검해 주고 손상된 문화제에 대한 등급을 결정해 합리적인 조치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손상된 문화재를 즉시 보존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출토된 유물에 대한 응급처치와 전시실 환경조사, 그리고 전시를 위해 선정된 유물의 안전 조치는 물론 중요문화재 복제 등 보존과학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보존처리와 관련해 종합적인 지원을 해줄 수 있는 대학이 문화권역별로 1-2개소 있으므로 이곳을 거점[Hub Conservation Center]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 봄직하다. Number of university museums in Korea is 101, and cultural assets managed by those museums are estimated to be more than nine hundred thousand pieces, Compared with these enormous amount of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specialists who remedy and conserve those assets are very short, not more than 5 persons. And most university museums are not supported fully in many respects, and even in case of some museums with fairly good budget, large sum of money are usually invested in outgoing events like special exhibitions. Because of such bad environment, roles of conservation science are very important in conserving and managing scientifically cultural assets owned by university museums. Those tasks could not be done without the cooperation of curators. Let us call it scientific conservation management to find out the cause of damage of cultural assets and to manage them considering environmental impacts, which is a conservation specialist's duty. That management could be divided into 'preventiv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curative conservation management'. These managements had better be done by the curator and the conservation specialist. Examples of scientific conservation management are: 1)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diagnosis of storing warehouses and exhibition rooms, and advice on management and planning of improvement. 2) Finding out of damaged relics, rating of the damages,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them. 3) Conservation treatment of damaged assets and deciding of the state of the assets after the treatment(for example: deciding of exhibiting form of pictures). Recently many university museums tend to set up conservation laboratories and hire conservation specialists in a hurry as a means of getting tides of excavators. But considering financi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I think it is much more efficient to use existing conservation institutes or university conservation laboratories, or private conservation centers, which have enough manpower and equipments, than to set up new conservation laboratories and hire new specialists.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for one or more university museums to make a team with a conservation center and build a cooperation system, In this system, cooperating conservation center should regularly visit the university museums and check environments of storing warehouses, rate damaged cultural assets and suggest rational treatment, If needed, damaged assets could be treated for conservation immediately. Comprehensive scientific conservation services such as copy of important cultural assets as well as emergency treatment of excavated relics, check of exhibition room environment, and security treatment of relics chosen for exhibition could also be supplied by conservation centers. Because there are one or two universities which can offer comprehensive conservation support in each cultural area,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the method of using these universities as hub conservation centers.

      • KCI등재

        크래독(Fred B. Craddock)의 귀납적 설교와 라우리(Eugene Lowry)의 내러티브 설교를 활용한 설교의 플롯 구성과 메시지의 이미지화 연구

        안병찬,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The reality of today's culture and social change is that the audience is stained with cultural ills that prevent them from listening and understanding the word of God. However in each age, God raised a pioneer, a preacher,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and the culture of the time. Therefore, God will raise many preachers in the future, and the procession to convey the voice of God will continue. It is also true that the prevailing preachers who control the rapidly changing generation of this procession are encouraging the preachers' minds today to be more used to the work of preaching the gospel. I believe that the sermon using imagery will help the audience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word of God and transforms one 's life based on the gospel. The sermon is not an old story of an archaeologist, but a worship that shows the history of the living God who was, and is and always will be. Abraham, Isaac, and Jacob are people who passed by, but God is the God of the living. Therefore, preaching is to convey the God who is present at the moment. The message that makes the Early Church into a modern church is not a collection of words of the dead. Therefore, the sermon must be infused with vitality. This is possible only with the Holy Spirit. The heart of the congregation should burn with the word of God just as the preacher's heart burns in every worship. It is clear that these preachers will not have a dead sermon. God will manifest his living through such preachers. And those who have experienced such a presence will not leave God's Word, will give up their sinful ways, stay away from their idols, leave their secular lives, and yearn for the eternal kingdoms drawn in their hearts. Therefore, the preachers create a large forest through the principle of inductive preaching, then create a theme with various trees in the by constructing plots, and place details such as birds and animals well in each place where each theme is. If we can complete the imagery that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God's providence using this method, the audience will experience the real rest of their soul in the Lord's forest. I conclude with the anticipation that the presentation of these issues and the methodologies in this paper becomes a small fruit that will shine a light for those who are eager to become true preachers of this age. 본 연구는 전통적 설교의 한계를 넘어 새롭게 등장한 신설교학 운동에서 이해되어진 후레드 크래독(Fred. B. Craddock)의 귀납적 설교방법과 신설교학의 또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 유진 라우리(Eugene Lowry)의 내러티브 설교방식을 동시에 고찰하여 오늘날 한국강단에서 플롯구성과 이미지화를 통한 귀납적 설교방법으로 메시지 전달을 극대화 하는 설교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오늘날 설교는 침체되어 가고 붕괴되어가는 상황에서 더욱 내실을 굳건히 해나가야 하는 의무가 설교자에게 있다. 시대적으로 민감한 이러한 현실에서 설교자의 관심은 설교의 내용에서 설교유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설교의 내용이 아무리 좋더라도 잘 전달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맹인에게서 지팡이를 빼앗는 격이 되는 것이다. 이미지화 된 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의 청중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몇 가지의 논리나 명제에 의한 어떤 개념적 내용을 듣기보다는 이미지(Image), 메타포(Metaphor), 스토리(story) 그리고 가시적인 이미지로 확장될 때 청중의 집중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현대의 소통 언어는 이미지화로 설교 또한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보여주는 언어(audiovisual language)를 사용하여 말씀을 선포할 때 메시지는 더욱 강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귀납적 설교와 이야기 설교(Narrative Preaching) 이론을 기반으로 오늘날 한국강단에서 플롯구성과 이미지화를 통해 메시지 전달에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설교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사회에 새로운 설교 문화를 만들어가며, 청중들로 하여금 복음을 받아들이고, 인격의 변화와 신앙의 성장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하구부 도시유역 배수위 해석 시스템

        안병찬,안상대,김원일,안원식,Ahn,Byung-Chan,Ahn,Sang-Dae,Kim,Won-Il,Ahn,Won-Sik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5

        본 연구에서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한 SWMM5 모형에 배수갑문 모의기능을 추가하여 수정한 USWMM 모형을 개발했다. 개발된 USWMM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안성천 유역을 81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실제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배수위 해석을 수행하고 동연수위표와 평택수위표 및 배수갑문 지점의 관측수위를 대상으로 검 보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관측치와 매우 근사했으며, HEC-HMS와 HEC-RAS로 모의한 결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USWMM은 HEC-RAS에서 누락된 불완전수중오리피스 흐름과 배수갑문의 관리수위를 설정할 수 있어 실제 배수갑문 운영 현장상황을 동일하게 모의할 수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배수갑문과 연계된 하천 배수위 해석에서 USWMM을 범용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WMM was developed as a drainage analysis system for estuarine urban areas by adding sluice gates on existing EPA SWMM5 through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Ansungchon river was modeled with USWMM and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re attempted at three observation stations. In comparison, another approach using HEC-HMS and HEC-RAS was applied to the area under the same condition. It turned out that USWMM resulting values were closer to the observed values than those of the HEC-HMS and HEC-RAS approach. USWMM`s flow simulation through sluices were more realistic to sluice operation fields by adding incomplete submerged orifice flow equation and maintenance water level. In sum, USWMM can be seen as a general purpose tool for estuarine urban drainage analysi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