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 지역 방언에 나타나는 접속구의 경계 성조 : 대화체와 낭독체의 비교

        안미애,Ahn, Mi-Ae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nal structures of Korean conjunctive phrases produced by Daegu dialect speakers and show that there are distinctive intonational patterns between dialogic and reading styles.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the pitch contour at the edge of conjunctive phrases including '-ko', $'-(i)my{\partial}n'$, $'-(a){\partial}s{\partial}'$, '-(nin)de', '-do' in the base which is made a coordinate and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pre-phrase and post-phr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 has L%, $'-(i)my{\partial}n'$ has LH%, $'-(a){\partial}s{\partial}'$ has HL% and '-(nin)de' has LH%, '-do' has LH% in Daegu Dialect. And the results show the conjunctive sentences were about 20% longer when they produced in a dialogic style than in a reading style. The dialogic style has various durations, the duration of the reading style is slower than the dialogic style by a rate of 20%. This suggests that the dialogic style is more dynamic than the reading style, which may be due to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 KCI등재

        맞춤형 첨삭 매뉴얼을 활용한 표준 글쓰기 클리닉

        안미애(Ahn Mi-Ae),김영철(Kim Young-Chul),지현배(Ji Hyun-Ba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대학의 글쓰기 교과 과정 표준화 논의의 일환으로 교수자와 학습자를 모두 고려한, 효율적인 첨삭 지도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의 첨삭 지도의 표준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국대 경주에서 구축하고 있는 첨삭 지도의 표준화 방안과 표준 글쓰기 클리닉에 대해 소개하는 데 있다. ‘첨삭 지도’는 특히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에서 나타나는 편차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동국대 경주의 첨삭 지도는 <글쓰기> 교과와 연계했다는 데 다른 대학과의 차이가 있다. 또한 표준 평가표를 제시하고, 총평 제시 기준과 같은 첨삭 지도 표준 지침을 제공하여 첨삭 지도의 표준화를 모색하였다. 그러나 공통의 첨삭 지도 지침을 제시한 데도 불구하고 동국대 경주에서 시행한 2012년 글쓰기 클리닉 사례에서 관찰된 교수자 간 첨삭 조언의 격차는 교수자 첨삭 지도의 표준화에 있어 단순한 첨삭 지침 외에 고려할 요소가 더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국대 경주는 동국대 경주의 글쓰기 교과에 맞춘 <글쓰기 표준 첨삭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에 운영해 온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탑재하고자 하였다. 즉, ‘교과 과정 맞춤형 첨삭 매뉴얼’이다. ‘맞춤형 첨삭 매뉴얼’ 개발 시 고려한 요소는 아래의 네 가지이다. 첫째, 교과 과정과 연계한 진단 요소와 비교과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공통 진단 요소의 추출이다. 둘째, 진단 항목의 구체적 제시이다. 셋째, 진단과 조언으로 이루어진 구체적인 조언문 형식의 제공이다. 넷째, 진단 항목과 구체적인 처방 사례의 제공이다. 이러한 맞춤형 첨삭 매뉴얼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고려하고 있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첨삭 지도의 정도성 평가에 따라 연동되는 진단과 처방 문장의 유형화이다. 둘째, 첨삭 지도 점검 항목의 기능과 조건 탑재이다. 셋째, ‘처방 예시’ 탑재를 통한 구체적인 개선 방향 제시이다. 넷째, 위의 세 가지를 통합한 첨삭 조언문의 완성이다. 동국대 경주는 위의 네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글쓰기 표준 첨삭 모델>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반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글쓰기 첨삭 지도에 있어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맞춤형 첨삭 매뉴얼의 첨삭 표준화’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Effective writing consulting system is required i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our standards writing consulting system based on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Writing consulting is needed to overcome the gap of student s writing skills i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Probably for this reason, we are operating the Writing Clinic in th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Especially We has been operating a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ince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is a web-based writing correction and consulting program. But there are still exist gaps on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when we compared with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of advisors.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for writing advisors. And then we will develope the standards writing clinic system using the customized writing consulting manual.

      • KCI등재

        대구 지역어의 모음 /ㅡ/와 /ㅓ/에 대한 사회음성학적인 연구

        안미애(Ahn, M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2 문화와 융합 Vol.34 No.-

        본 논문은 기존에 음운론적으로 합류되었다고 알려진 대구 지역어의 단모음 ㅡ와 ㅓ의 발음 양상의 연령대별 차이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음성학적인 논의에 따르면, 대구 지역어의 모음체계는 연령대별로 발음양상에 차이가 있다. 대구지역어에서 구분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단모음 /ㅡ/와 /ㅓ/의 경우, 20대와 30대는 이 두 단모음을 구별하며, 40대 이상은 연령대와 발화형식에 따라 /ㅡ/와 /ㅓ/를 비구별 또는 혼동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최근 들어 분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 대구 지역어의 모음/ㅡ/와 /ㅓ/는 자유 발화의 억양구 중간과 말의 위치에서 50대와 6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가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구별의 정도가 연령대와 발화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모음 간의 안정적인 구간을 유지하려는 모음의 속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purposes to discuss on difference between simple vowel /ㅡ/ and /ㅓ/ of Daegu dialect by ages. The /ㅡ/ and /ㅓ/ of Daegu dialect is known as merged vowels. Follow existing discussion of the experimental phonetics, The vowel system of Daegu dialect has a difference vowel space by ages. The 20’s and 30’s are distinguish /ㅡ/ and /ㅓ/ of Daegu dialect in the vowel space. But in over the 40’s merged / ㅡ/ and /ㅓ/ in the Intonational phrase medial and Intonational phrase final position. These results are evidence that in Daegu dialect they were originally already merged. As a result, The 20’s, 30’s and 40’s are distinguish /ㅡ/ and /ㅓ/ in the vowel space of the Daegu dialect except the 50’s and 60’s. But there are difference as the degree of distinction by ages and speech style.

      • KCI등재

        대학 교양 과목 ‘NCS를 위한 실용 글쓰기’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제고 : 학습자 효능감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안미애(Ahn, Miae),이채영(Lee, Chae 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9 교양학연구 Vol.0 No.10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for the liberal education subject, ‘Practical Writing for NCS’ at Dongguk University Gyeongju. First,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beral education subjects related to NCS communication skills of universities was presented. Second,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survey of students who took the second semester of 2018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learner were analyzed to enhance the plan for improving the subject. During these discussions,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the assessment of the preparation of ‘Korean Practical Writing Examination’ through the subject were analyzed as well.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measures to design and operate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s aimed at fostering NCS communication skills can be derived. Second, through a study on the subject"s learner"s efficac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subject can be considered by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is, it can also derived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function and necessity of NCS communication skills-related subjects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 KCI등재

        발화형식에 따른 모음의 음성적 실현 양상 연구 -대구 지역어를 대상으로

        안미애 ( Mi Ae Ah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2 어문론총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observe the variation of vowel space on Daegu dialect through the Acoustics Phonetics by using speech styl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53 informants by interviewing the subjects. In this interview, I used two different formats of speech style. One format was spontaneous speech and the other was reading speech style. After analyzing results of the interview, I measured the vowel formants by using the Praat program. Using the results, I analyzed the statistical analysis by informants` age, speech style and the vowel position of prosody units. As a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ormants by speech style. There were reducing vowel spaces in the reading speech style to the spontaneous speech style. When the vowel space is reduced the /a(ㅏ)/ raised, the /i(ㅣ)/ backed and /u(ㅜ)/ fronted. When the age category in the reading speech style is low the vowel space tends to expand. When the age category in the spontaneous speech style is not valid in the vowel space variation.

      • KCI등재

        조선족 평북 방언 화자의 대화체 문미 성조 유형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안미애(Ahn, M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07 문화와 융합 Vol.29 No.-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spect of the Choseonjok s Pyungbook Dialect in the China. The studies which of many dialect of North Korea was conducted about Phonology, Morphology, Lexicology of Choseonjok. The Dialects of Choseonjok in the China are many important for the Dialec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Pyungbook Dialect of the Choseonjok in the China. This study which it sees to use a acoustic phonetics method and will analyze the Rhythm structure of dialogue style in Pyungbook dialect.

      • KCI등재

        글쓰기 클리닉의 운영 성과 분석과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개발 방안

        안미애(Ahn Mi-Ae),김영철(Kim Young-Chul),지현배(Ji Hyun-Ba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이 논문은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에서 시행해 온 비교과 과정의 하나인 ‘글쓰기 클리닉’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글쓰기 클리닉>은 2013년 1학기부터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으로 개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과와 연계하여 시행된 2012년의 ‘글쓰기 클리닉’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클리닉 상담 건수의 증가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은 큰 성과였다. 그러나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첫째, 대면 방식 클리닉 진행의 비효율성, 둘째, 교수자 간 지도 조언의 격차, 셋째, 1학년에 편중된 상담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는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글쓰기 클리닉의 상담 건수가 2013년 5월 29일 기준으로 1,900건이 집계되어 상담 건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교수자 간의 지도 조언의 편차를 줄이고, 효과적인 첨삭 지도를 하기 위해 ‘첨삭 지도 표준 모델’을 개발하여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에 탑재함으로써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으로 클리닉 시스템을 발전시켜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1학년에 편중된 상담은 추후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홍보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는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첨삭 지도 표준 모델’을 개발하여 탑재ㆍ운용함으로써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을 지향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methods about the Standard Writing Clinic System based on analysis of Writing Clinic 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Writing Clinic is a Extra program in th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We has been operating a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ince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is a web-based writing correction and consulting program. Online Writing Clinic system s opera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counseling cas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Second, the students writing skills have improved than before. Of course, there are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When compared with existing offline, there are still exist a gap on the writing consulting advices. To solve this problem, we want to develop a standard system for writing clinic. To establish the Standard writing clinic system, we are developing the ‘Standard Model of Writing Consulting Cases’.

      •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과 연계 글쓰기 클리닉의 효용성 제고

        안미애(Ahn, Mi-ae),이채영(Lee, Chae-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6 교양학연구 Vol.0 No.4

        The writing clinic on Dongguk University of Gyeongju is a writing program that operates with a writing program which is linked with writing curricula of the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d how the features of the writing clinic system have been linked to the usag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on the writing clinic and curricula.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ssessed the progress of the subject matter the writing clinic and investigated the usag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about the writing clin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Clinic linked with the writing curriculum showed highly latio satisfaction of students". Second, the Writing Clinic based on the Web is Useful system, and this system made possiblly the blended learning. Actually, there remains still some problems. The problem is that many professors feel burdened about the writing clinic. Another problem is that mobile systems have not been created.

      • KCI등재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안미애(Ahn M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의 영역에서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과 능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함께,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양상을 진단 역량 평가 도구를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정도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인식과 행동으로 나눠볼 때,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이해와 무관하게, 대학생들은 인터넷에 대한 가치 인식과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미디어에서는 자신을 표현하는 것보다 표현된 것을 이해하는 행동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 교육의 차원에서 먼저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고, 디지털 기반 미디어에 서 긍정적인 자기 표현의 경험을 하도록 하여, 균형 있는 디지털 기반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a literac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have a low need for awareness and ability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is also a lack of knowledge about media literacy. Second,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re generally positive. Third, regardles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 valu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the Internet. In addition, Internet media evaluated the behavior of understanding what was expressed more positively than expressing oneself. From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ositive perception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balanced digital-based literacy capabilities through positive expression experiences for Internet media.

      •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안미애 ( Ahn Mi-ae ),홍미주 ( Hong Mi-joo ),백두현 ( Paek Doo-hy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6 No.-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