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근아,서경화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discusses the duty of instant replay in Poomsae competitions. Current instant replay in Poomsae competitions are allowed upon request right after the competitions, and there is a lack of game regulations regarding instant replay. Therefore, to secure fairness and correction of a bad call by a referee, introduction of instant replay was emphasized, and relevant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have been discussed. First,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Poomsae competitions, a map of human body needs to be included, ideas must be collected openly, and the ratio of subjective thoughts should be minimized. Second, to secure consistency of the referees’ judgments, referees should intend elitism, and scoring items must be clearly classified with level of difficulty and completeness. Third, to provide an excellent scoring system, a new scoring item must be established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kicks based on their level of difficulties and susceptibility of Poomsae movements. Another solution is to score athletes one by one on absolute evaluation throughout the tournament. Like this, distrust on referees’ judgment can be eliminated, and a standard to recover trusty is set. Hence, detailed guidelines and evaluation item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instant replay is only possible through insight and cooperation of professionals. Sooner the instant replay is introduced, the better referees’ judgements are trusted, and fairness of the game as well. This will also further globalization of Poomsae competitions in Asian Games and Olympics. 이 연구는 태권도 품새경기에서 비디오판독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이다. 현재 품새경기의 비디오판독은 경기직후 소청에만 적용되어 있으며, 첨단장비에 힘입어 공정성 확보에 필수가 된 비디오판독에 대한 경기규정은 미흡하다. 따라서 심판의 오심정정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디오판독 도입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위한 사전논의와 조치로써 경기규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첫째, 품새 경기규칙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체도 첨부, 공개적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것과 주관적인 견해의 비중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둘째, 심판의 채점기준에 대한 일관성 유지를 위해 품새심판을 소수정예화하고, 동작의 난이도와 완성도를 세분화시킨 평가항목 도입과 정확성과 표현성의 채점항목을 명확하게 분류한다. 셋째, 발차기의 수준별 난이도를 구분하는 것과 품새동작의 기준을 평가할 수 있는 채점항목 신설, 토너먼트로 한 선수씩 절대평가로 채점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품새경기에서 비디오판독 도입을 위한 조치가 반영될 때 심판판정의 불신을 애초에 제거할 수 있고 심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판독 도입을 위한 세부적 지침 및 평가항목의 규칙개정은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통찰과 협의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디오판독 도입의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공정한 경기에 대한 신뢰로부터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을 위한 품새경기의 세계화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안근아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는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도전과 과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제작자 2인, 배우 2인, 관객 2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작자의 관점에서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도전과 과제는 다양한 무대장치의 도입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인 여건 마련과 태권도 스 타배출을 위한 연기수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배우의 관점에서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도전과 과제는 배우들이 융복합 기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태권도 전문 연출가가 요구된다고 한다. 셋째, 관객의 관점에서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도전과 과제는 태권도의 예술적 가치를 부각시킬 수 있는 퍼포먼스로 발전하는 것과 공연의 주제를 쉬운 소재로 선정하고, 소극장 공연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앞으로 태권도 융복합 공연의 발전은 기술적인 측면과 예술적인 측면의 절묘한 조화로 인해 완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권도 융복합 공연이 한국의 문화예술콘텐츠 및 국위선양을 위한 한류문화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 구되는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hallenges and tasks of Taekwondo convergence performance. For this, 2 producers, 2 actors and 2 spectators of Taekwondo convergence performance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producers’ perspective, it was revealed that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acting training programs for producing Taekwondo stars are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stage settings. Second, from the actors’ viewpoint, it is required to provide prior training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techniques and nurture Taekwondo-specialized expert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aud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erformances that can highlight artistic values of Taekwondo, choose easy performance topics and vitalize performance in small theater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aekwondo convergence performance will be completed through an exquisite balance between technical and artistic aspects. In order for Taekwondo convergence performance to position itself as a kind of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nd Korean Wave for enhancing national prestige, active interest and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안근아,정락희,장권,이재봉,문원재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오늘날 태권춤새는 태권체조, 태권로빅, 태권댄스 등과 같이 명확한 구분없이 각종 대회에서 표현되는 동작구성과 배경음악에 따라 개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올바른 태권춤새 음악제작에 있어 우리음악의 당위성에 대해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의 역사와 전통, 문화의 하나인 우리음악은 아름다운 소리의 율동과 춤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전하고 있다. 이토록 위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음악의 이해와 그 서양음악 속에서 요동치는 태권의 몸짓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는 한국토착문화에서 형성된 우리 음악 위에 표현되어질 때 비로소 완전한 한국의 국기인 태권도의 몸짓 즉 태권도 정신의 예술적 표현인 태권춤새가 될 것이다. 또한 우리음악이 지니는 풍부한 정서는 한국인의 바람직한 인간상을 마련하기에 충분하다. 즉 태권춤새의 배경음악은 반드시 우리 고유 음악위에 만들어져야 한다. 이렇듯 태권도가 세계화 시대에 고유성을 지키고 과거 반세기만의 이룬 태권도 외교 입지를 성공적으로 굳히기 위해서는 태권춤새와 같은 연구와 그 배경으로 우리 음악의 이해와 토대위에 다시금 세워져야 할 것이다.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운동중단요인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 Q방법론을 중심으로
안근아,이재봉,김일광,최유리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태권도학과 대학생의 운동중단요인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시사 점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Q 표본은 25개, P 표본은 태권도학과 재학생 12명, 졸업생 11명으로 총 23명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진행하였다.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응답자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주성분 분석과 배리맥스 회전방식을 통해 Q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유형의 설명력은 61.84%로 나타났다. 제Ⅰ유형(N=10)은 ‘진로 불안 형’, 제Ⅱ유형(N=3)은 ‘목표 상실형’, 제Ⅲ유형(N=5)은 ‘흥미 상실형’, 제Ⅳ유형(N=2)은 ‘성취 제약형’으로 각각 명명하 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학과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진로 탐색 지원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경기화 발전에 발맞추어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은 현대 시대의 흐름에 맞게 세분화되고 심화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태권도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키고, IT 기술 및 품새와 시범 경기의 활성 화를 반영한 심화 교과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factors leading to the discontinuation of sports among Taekwondo students by applying the Q-methodolog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type. To achieve this goal, Q-methodology was applied, and a total of 23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Q classification, with 12 current students and 11 graduates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Q sample consisted of 25 items. Using the QUANL program,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respondent were calculat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to perform the Q-factor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four types were derived,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61.84% for all types. Type I (N=10) was labeled as the 'Career Anxiety Type,' Type II (N=3) as the 'Goal Loss Type,' Type III (N=5) as the 'Loss of Interest Type,' and Type IV (N=2) as the 'Achievement Constraint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ssential to provide career exploration support and mentoring programs to help Taekwondo students plan their careers more effectively. Finally,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port, the Taekwondo department's curriculum must be refined and deepened to align with modern trends. Through these changes, students' interest in Taekwondo can be increased, and by offering advanced courses reflecting the activation of IT technologies and the evolution of Poomsae and demonstration events, 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actively engage in learning.
안근아,안진영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는 태권도학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국진출의 방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4년제 태 권도학과 교수 2인과 중국 태권도 전문가 2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째, 글로벌 역량 부문에는 대한민국의 국위선양, 태권도의 위상제고, 중국의 대학교 및 중국 내의 태권도 관련기관과 MOU체결이 기대된다. 둘째, 해외 취업률 부문에는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인턴십의 연계,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목해야 된다. 셋째, 외국인 입학전형 부문에는 정기적인 세미나 및 교육 실시, 태권도학과 홈페이지에 중국어 탑재, 외 국인들을 위한 기숙사 및 어학교육 마련되어야 한다. 앞으로 태권도학과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무대에서 태권도 의 가치를 올바르게 전파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태권도를 선도해 나갈 글로벌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특 히 우리나라와 같은 아시아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리적으로 가까워 접근성이 용이한 중국시장은 그 활용가치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directions of entering China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aekwondo departments. For this, the study selected 2 professors from 4-year Taekwondo departments and 2 Chines experts in Taekwondo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for global capacity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aekwondo departments, it was revealed that enhancing Korean national prestige, improving the status of Taekwondo and concluding MOUs with universities and Taekwondo-related organizations in China were expected. Second, in terms of the overseas employment rate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aekwondo departments, restructuring curricula of Taekwondo departments, linking with internship programs and nurturing global talents were emphasized. Third, when it comes to Taekwondo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for foreigner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aekwondo departments, developing regular seminars and training programs, providing Chinese on website of Taekwondo departments and preparing dormitories for foreigners and language education are necessary. In the future, Taekwondo departments need to disseminate the right value of Taekwondo at home and abroad and produce global talents who would lead the future of Taekwondo with creative thinking. Especially, China that is located in the same Asian region and has close accessibility to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 very useful case in the study.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태권도공연 인식 변화 분석: 코로나19를 기준으로
안근아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이전과 코로나19 이후 태권도공연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고 태권도공연 산업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전 2016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과 코로나19 발병 이후인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수집기간으로 선정하였으며, ‘태권도공연’으로 키워드를 선정하여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의 수집채널을 통해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Textom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F-IDF, 연결중심성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태권도, 공연, 시범, 일시, 세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태권도, 공연, 일시, 태권도시범, 시범 순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코로나19 이전은 남북 태권도 합동시범, 태권도공연 관람 및 체험, 어린이 대상 주요 공연, 태권도시범공연대회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문화예술행사, 비대면공연 영상, 코로나19 영향, 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원 공연으로 5개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공연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태권도공연 시장과 관련한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of‘Taekwondo Performance’before COVID-19 and after COVID-19 using big data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Performance industry. For this study, we selected the collection period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9, pre-COVID-19, and and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3, COVID-19 outbreak. We specifically focused on the keyword 'Taekwondo Performance' to collect big data using Naver and Daum's collection channels. The study utilized Textom and Ucinet 6.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F-IDF,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efore COVID-19, taekwondo, performance, demonstration, temporary, and world were in the following order, while after COVID-19, taekwondo, performance, temporary, taekwondo demonstration, and demonstration were in the following order.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before COVID-19, four cluster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North-South Taekwondo joint demonstration, watching and experiencing Taekwondo performances, major performances for children, and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After COVID-19, five clusters were formed: cultural events, non-face-to-face performance videos, COVID-19 impact, WF, and Taekwondowon performanc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ublic's perceptions and reactions to taekwondo performances and suggest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taekwondo performance market.
태권도 경기수행 능력이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안근아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4
이 연구는 2008년 제4회 한국체육대학교 총장배 전국 태권도 품새대회에 출전한 선수 30명을 대상으로 운동수행 능력에 따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운동수행 능력에 따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태권도 선수의 운동수행 능력에 다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의 차이는 상위집단이 중간집단이나 하위집단에 비해 에피네프린과 노에피네프린 그리고 코티졸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운동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코치나 감독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심신이완 요법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시합시 심리적인 압박감을 더 많이 받는 선수들에게 알맞은 심리적 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근아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Of the Poomsae events in Taekwondo, the Freestyle Poomsae is uniquely accompanied by music and presents a variety of unpredictable technical movements. Music introduced in the Freestyle Poomsae, in particular, promotes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erves as a chance for the Freestyle Poomsae to receive greater responses from the audience. There is a recent need for basic data about the meanings and selection of music in the Freestyle Poomsae in Taekwondo.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 Freestyle Poomsae and its music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are three Poomsae events in Taekwondo, and they are Authorized, New, and Freestyle Poomsae; second, music introduced in the Freestyle Poomsae in Taekwondo is in harmony with overall Poomsae movements; third, music delivers the messages of creative Freestyle Poomsae in Taekwondo; fourth, the Freestyle Poomsae has artistry added to it through music in Taekwondo; and finally, the Freestyle Poomsae of Taekwondo contains the values of performance art. A set of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music and figure out the types of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for the effective selection of music in the Freestyle Poomsae. 태권도 자유 품새는 품새 경기 종목 중 유일하게 음악과 함께 진행되며, 다양한 예측불허의 기술 동작이 이루어진다. 특히 자유 품새에 도입된 음악은 감성적 소통의 역할을 하며, 자유 품새가 더욱 관중들에게 큰 호응을 받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 태권도 자유 품새 음악의 의미 및 음악 선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태권도 자유 품새와 음악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태권도 품새 경기의 종목은 공인 품새, 새 품새, 자유 품새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태권도 자유 품새의 음악 도입은 전체적인 품새 동작과 어울림의 조화를 야기한다. 셋째, 태권도 자유 품새의 음악은 창작된 자유 품새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태권도 자유 품새는 음악을 통해 예술성을 가미하게 되었다. 다섯째, 태권도 자유 품새는 공연예술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 효과적인 자유 품새의 음악 선정을 위해서 음악의 이해와 더불어 음악이 지닌 정서적 반응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