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로 본 선형공원 - 시카고 606 트레일과 서울 경춘선 숲길을 중심으로 -

        심지수,오창송,Sim, Ji-Soo,Oh, Chang Song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5

        이 연구는 경관 인식 모델의 세 가지 요소(활동, 물리적 환경, 이용자)를 기본으로 하는 스몰데이터인 설문조사와 빅데이터인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문화가 다른 두 지역(미국, 한국)의 선형 공원 두 곳을 분석하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경관을 보는 새로운 매체로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원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분석과 설문 조사를 동시에 활용해서 비교함으로써 설문 조사가 갖는 한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소셜 미디어 분석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미국 시카고의 606 트레일와 한국 서울의 경춘선 숲길은 버려진 길에 조성된 공원이다. 이 두 곳을 대상으로 총 505부의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그 결과는 통계 분석, 주성분 분석, 회귀 분석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선형 공원을 언급한 트위터를 총 20,000건 이상 수집했다. 이 트위터를 대상으로 군집 분석, 바이그램 네트워크 분석 등을 통해 각 공원이 갖는 장소적 특성 및 물리적 환경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공원 디자인이 다양해질수록 행동은 단순화 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원 이용자들의 절반은 선형 공원을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지름길로 이용했고, 공원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활동과 혜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셜 미디어 분석 결과, 606트레일은 경춘선 숲길 보다 주민들과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경춘선은 606트레일보다 공원 내 이벤트와 연관이 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elects two linear parks representing each culture and reveal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using a visitor survey as small data and social media analytics as big data based on the three components of the model of landscape perception. The 606 in Chicago, U.S., and the Gyeongchun Line in Seoul, Korea, are representative parks built on railroads. A total of 505 surveys were collected from these parks.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lso, more than 20,000 tweets which mentioned two linear parks respectively were collected. By using those tweets, the authors conducted the clustering analysis and draw the bigram network diagram for identifying and comparing the placeness of each park. The result suggests that more diverse design concept links to less diversity in behavior; that half of the park users use the park as a shortcut; and that same physical exercise provides different benefits depending on the park. Social media analysis showed the 606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neighborhoods rather than the Gyeongchun Line Forest. The Gyeongchun Line Forest was a more event-related place than the 606.

      • KCI등재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nfect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Implantable Venous-Access Ports

        심지수,서태석,송명규,차인호,김준석,최철원,서재홍,오상철 대한영상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nfections associated with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s (IVAP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03 through November 2011, 1747 IVAPs were placed in our interventional radiology suite. One hundred forty four IVAPs were inserted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and 1603 IVAPs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Among them, 40 ports (23 women and 17 men; mean age, 57.1 years; range, 13–83) were removed to treat port-related infections. We evaluated the incidence of port-related infection, patient characteristics, bacteriologic data, and patient progress. Univariable analyses (t 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IVAP related infection. Results: Overall, 40 (2.3%) of 1747 ports were removed for symptoms of infection with an incidence rate of 0.067 events/1000 catheter-days. According to the univariable study, the incidences of infection were seemingly higher in the patients who received the procedure during inpatient treatment (p = 0.016), the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p = 0.041), and the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p = 0.022). From the multiple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adjusted odds ratios of infec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those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were 7.769 (p = 0.001) and 4.863 (p = 0.003), respectively.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26 (65%) blood samples, and two of the most causative organisms were found to be Staphylococcus (n = 10) and Candida species (n = 7). Conclusion: The underlying hematologic malignancy and the state of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wer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IVAP-related infection.

      • 팔라듐을 담지한 페로브스카이트 광촉매를 이용한 효과적인 톨루엔 제거연구

        심지수,이치현,박대원,임동하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반도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독성물질이 포함된 산업폐수의 배출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 중 톨루엔은 주요 화재 위험요소이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solid-state re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도 활성이 우수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광촉매를 합성하였으며, 전자-정공간의 재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라듐을 담지하였다. 톨루엔이 함유된 인공폐수를 제조하고 합성한 광촉매를 넣은 후 외부에서 Xenon lamp로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톨루엔 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페로브스카이트 보다 팔라듐을 담지한 물질이 더욱 우수한 톨루엔 분해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우수등재

        적극적 조치에 대한 찬성 태도 이끌어내기: 내집단 규범 정보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심지수,김혜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ersuasive effect of the in-group norm would be stronger when the persuasion topic was relevant to the in-group category than when it was not. In Study1,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ad an article about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for the promotion of women, after which they received a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ir in-group (i.e., Male In-group vs. Female In-group vs. College Students In-group) showed either favorable or neutral attitude toward the issue. As expe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avorable norm information of the gender in-group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favorable norm inform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in-group. However, the stronger persuasion effect of the norm information of the gender in-group was limited only to th male participants. In Study2, we attempted to replicate the stronger persuasion effect of the relevant in-group category to the persuasion topic shown in Study 1, this time using the College Student Category as the key category.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read an article about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for the permission of the minority group members to universities, and afterwards they received an normative in-group (i.e., Male In-group, Female In-group or College Students In-group) information, showing either favorable or neutral attitud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s hypothesized,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in-group normative inform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hanged their attitudes more than those who were presented with the in-group normative information of gender in-group. This finding replicated the results in Study1,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levance of the persuasion topic to the in-group category in using the normative information of the in-group in the persuasion context for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설득 주제 관련성에 따라 내집단 규범의 설득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1에서 남녀 대학생 참여자들은 여성 승진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한 지문을 읽은 뒤, 할당된 내집단 유형(남성 내집단vs.여성 내집단vs.대학생 내집단)에 따라 내집단이 여성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해 찬성 혹은 중립 태도를 보인다는 정보(도표)를 받았다. 분석 결과, 가설대로 여성 관련 적극적 조치가 주제인 경우 성별 범주가 대학생 범주보다 더 점화되고, 그에 따라 성별 내집단의 규범 정보가 대학생 내집단 규범 정보보다 더욱 영향을 미쳐 참여자들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다. 그러나 이는 남성 조건의 참여자들에게만 나타난 결과이다. 연구2에서는 연구1의 결과를 반복․확인하기 위하여 대학 입학 관련 적극적 조치 주제에 관하여 관련 내집단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2에서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한 지문을 읽은 뒤, 할당된 내집단 유형(남성 내집단vs.여성 내집단vs.대학생 내집단)에 따라 내집단이 대학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해 찬성 혹은 중립 태도를 보인다는 정보를 받았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참여자들은 성별 내집단 조건에 비해 대학생 내집단 조건에서 내집단 규범 정보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아 태도를 바꾸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극적 조치의 대상 집단에 따라 효과적인 내집단 규범 정보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이론적 함의를 가질 뿐 아니라 실제 설득 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설득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혈중 호염기구 수에 따른 성인 천식의 임상 양상 분석 및 호기 응축물 내 사이토카인과의 연관성 분석

        심지수,김민혜,조영주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2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8 No.3

        . Purpose: Although basophils are major effector cells involved in asthma, their pathophysiological role in asthma remains uncertai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basophils, clinical features in asthmatics, and cytokines in exhaled breath condensate (EBC) which could be noninvasively obtained. Methods: A total of 13 adult asthmatics were prospectively enrolled. We obtain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asthma control levels, history of acute exacerbation as well as the asthma control test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QLQAKA) scores. Peripheral blood and EBC samples were collected,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as also performed.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basophil count and clinical feature and severity of asthma or inflammatory cytokines in EBC was analyzed. Results: The percentage of blood basophi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at of blood eosinophils (Spearman r=0.665, P=0.013). The number of acute exacerbations was significantly larger (1.2±0.6 vs. 5.3±5.8, P=0.049) in the group with blood basophils ≥50 cells/μL, while the QLQAKA score was lower (68.8±7.9 vs. 49.0±12.0, P=0.02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topy status, smoking histor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according to blood basophil count. Blood basophil cou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leukin-33 (IL-33) (r=0.651, P=0.016) and IL-17 (r=0.732, P=0.004) in EBC. Conclusion: Blood basophils may be associated with frequent asthma exacerbations and lower quality of life due to asthma. IL-33 and IL-17 may be the key mediators that stimulate basophils to participate in the pathogenesis of asth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