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상담 전공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 진정성과 치료적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심은정,이희경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how clients perceive the counselors’ authenticity in actual counseling, and to examine the therapeutic changes and processes related to the counselors’ authentic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cli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57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counselor authenticity perceived by clients were identified as ‘honesty’, ‘sincere attitude’, and ‘heartfelt caring’. Second, counselors’ authenticity was found to bring about deeper and generalized therapeutic changes when a deep level of acceptance and empathy for the client was accompanied. Finally, therapeutic changes in counselors’ authenticity were found to be ‘increasing self-understanding and acceptance’, ‘generalization of authenticity modeling’, and ‘increasing initiative in coping with problem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counselors’ authenticity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value of authenticity and factors, and provided the implications to education and training for novice counselors. 본 연구는 실제 상담에서 내담자들이 상담자의 진정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 구성요인들을 확인하고, 상담자 진정성과 관련된 치료적 변화와 그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내담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57개의 개념과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내담자가 인식하는 상담자 진정성의 구성 요인은 ‘진솔성,’ ‘진심어린 태도,’ ‘정성스런 돌봄’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담자 진정성은 내담자에 대한 깊은 수준의 수용과 공감이 동반될 때 더 깊고 일반화된 치료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자 진정성의 치료적 변화로는 ‘자기이해와 수용의 증가’, ‘진정성 모델링의 일반화’, ‘문제 대처에 대한 적극성 증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상담에서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 진정성과 치료적 변화에 대해 면밀히 살핌으로써, 진정성이 가지는 치료적 가치와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고 초심상담자의 훈련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일본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호랑이와 피리불기(とらとふぇふき)]에 관한 고찰

        심은정 同日語文學會 2005 同日語文硏究 Vol.20 No.-

        ?科書はその時代を反映する鏡である.特にその中でも小?校の?語?科書が持っている重要性は子どもの?達過程においても、また文???においてもとても大切である。感受性が敏感な小?校時代に習った文?作品は一生忘れられないものである。その中でも、昔話はその民族の魂と?民精神をよく出しているもので,その?を代表できる文?として?げられる。 1945年以後??の小?校?語?科書に?載されている昔話を調べる中、韓?の昔話が?載されていることに 注目し、その意義および??過程に伴う比較を試みることにした。日本の2000年度版の場合、4社にかけて?4篇の韓?の昔話が?載されているが、本稿では始めての韓?の昔話?材として紹介された[とらとふえふき]を中心に比較してみた。[とらとふえふき]は韓?の‘巫女虎'?話を元にしたもので、韓?の代表的な虎の話で、初登場した作品である。踊る虎という似合わない組合わせで、子どもたちの興味や持たせるにはとても有?な作品であるが、韓?を代表できる虎の話ではない。また、元の?話より具?的な描?と?話?を用いて?細に書いた??作品とも言える。また、虎が生存してない日本にも虎の話があることについてはこれからの?究課題とする。

      • KCI등재

        습관적 코골이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서 주간졸리움의 빈도 및 관련 인자

        심은정,김준식,이주화,이형,황상희,안병훈,서영성,김희철,조용원 대한신경과학회 2007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5 No.4

        Backgrou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is a common symptom in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including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owever, there had been no studies for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EDS in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in Korea. So we studied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EDS in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Methods: Sixty two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were selected from our sleep center from February 2004 to January 2007. All patients were given an overnight polysomnography and then took the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the following day.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EDS (mean sleep latency, MSL<10 minutes) and no EDS (MSL≥10 minutes).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EDS in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and compared two groups about the demographic data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Most (72.6%)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demonstrated E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parameters between the EDS group and the no EDS group, such as total sleep time, percent of slow wave sleep, snoring index, arousal index, and number of desaturation. Among these,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otal sleep time 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daytime sleepiness. MS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percent of slow wave sleep and number of desaturation.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e high prevalence of EDS in patients with habitual snoring in Korea. Long total sleep time in polysomnography seems to predict EDS.

      • KCI등재

        대학생활 스트레스, 부정 정서, 종교적 대처가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집단과 무교 집단의 비교

        심은정,신선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college life stress, negative emotions, and religiou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and alcohol addiction, and thus inform Christian counseling. Data of 314 college students reporting protestant affiliations and 783 college students reporting no religious affiliations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clud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group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llege life stress, negative emotions, and religiou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and alcohol addiction. Among Protestants, family relationship, future concerns, anxiety, and self–directive religious coping positively affected internet addiction, whereas for the non–religious, future concern, anxiety, and depression had positive effects and romantic relationship had negative effects. For Protestants, romantic relationship and anxiety had positive effects on alcohol addiction while depression and cooperative religious coping had negative effects. For the non–religious, romantic relationship, economic problem, and anxiety had positive effects on alcohol addiction while a relationship with professor had negative one.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생과 무교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부정 정서, 그리고 종교적 대처가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 대학생 314명과 무교 대학생 78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중독 정도를 비교해보면, 인터넷 중독 위험군 비율은 기독교 집단이 무교 집단에 비해 다소 높았다. 알코올 중독 관련 위험군은 무교 집단이 기독교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대학생 스트레스, 부정 정서, 종교적 대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기독교 집단의 경우 가족관계, 장래문제, 불안, 자기주도형이 인터넷 중독 가능성을 높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무교 집단의 경우, 장래문제, 불안, 우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성문제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부정 정서, 종교적 대처가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기독교 집단의 경우 이성관계, 불안은 알코올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과 협력형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무교 집단의 경우, 이성관계, 경제문제, 불안이 알코올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수와의 관계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 상담적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