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의료정보표준 기반 게이트웨이 설계 및 성능 평가

        심우호(Woo-Ho Shim),나현석(Hyun-Suk Na),박석천(Seok-Cheo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3

        최근 병원정보 시스템은 의료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 진료서비스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개인의 진료정보를 PC, 스마트폰 등을 통해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차세대 병원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병원정보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과 다양한 사용자 기기 간의 UX 일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플랫폼 환경 하에서 의료정보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개인의 진료정보 표준과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핵심 기능인 데이터 간의 매핑 방법에 있어서 CCR 표준을 적용하고 다중 테이블 기반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실험을 한 결과 응답속도가 약 20%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cently,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health care services, smart health care services utilizing a smart phone and tablet pc are mainly being introduced into the large hospital and the interest for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which manages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utilizing PC and smart phone and technology development is actively underway. In order to build a next generati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e interoperability of data between the different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UX consistency between the various user devices must be assured. Therefore, in this paper, medical information standard and the study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is conducted to design the gateway system which converting and integra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nder multi-platform environment. In this paper, CCR standard is adapted to the mapping method between the data which is the key feature of the gateway system and design the system utilizing multi-table-based mapping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experiment was done and the result has been improved approximately 20 percent for response rate.

      • KCI등재

        휴대인터넷 망을 이용한 TDOA기반 무선 측위서버 구조 설계

        심우호(Woo Ho Shi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4 No.5

        휴대인터넷 상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우선, 무선측위 기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고려중인 무선 측위기술은 휴대인터넷의 기지국들과 단말기간의 상대적 거리 차이로 인하여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들 간에 발생하는 신호도달 시간차 값들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삼변측위 방식의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이다. 이러한 TDOA기반 측위서버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휴대인터넷 상에서의 TDOA기반 무선 측위 기술에 대한 관련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이후 휴대인터넷 망 특성을 고려한 측위서버의 시스템 구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그리고 휴대인터넷의 표준 규격을 활용한 측위 계산 모델을 제시한다. 측위서버 구현에 필요한 이러한 기술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저비용 고효율성을 보장하는 휴대인터넷용 측위서버를 구현 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location based services on Portable Internet.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based on TDOA belong to trilateration method. That is using the difference of relative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terminal due to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of downlink signal. In order to design the positioning server, This paper reviews the related research on current status of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based on TDOA on Portable Internet. And then, it is suggested that system architecture, network interface, the calculation model for position determination, which are adapted to circumstance of Portable Internet. Through this research on the positioning server, it is expected to guarantee that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of wireless positioning server on Portable Internet will be developed.

      • KCI등재

        지연 응답 모델에 기반한 성능 개선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의 설계

        이세훈(Se-Hoon Lee),심우호(Woo-Ho Sh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9

        최근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진료정보 교류는 의료의 안정성 및 질 증대, 진료업무 효율성 향상, 의료기관 운영 효율성,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필수 의료 서비스 모델이다. 하지만 의료기관별 정보화 수준이 다양하고, 표준화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기관별로 서로 상이한 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실질적인 진료정보 교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법제도 안에서 진료정보 교류를 활성화 하기위해 관련 기술표준 및 진료정보 교류 모델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중 가장 이상적인 지연 응답 모델을 기반으로 보다 나은 성능 개선을 위하여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성능 개선 진료정보 교류 프레임워크는 진료정보 교류 시 메타데이터 플로우와 실제 CDA 문서 플로우를 구분하여 기존 지연 응답 모델 기반 시스템과의 성능 비교 실험 결과 약 24%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Recently medical service environment,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which contribute to medical safety, promotion of service quality and patient's convenience, efficiency of medical procedures and medical management is essential medical service model. But, practical exchange of clinical information which variation of information level, absence of standardization system, build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systems is difficult in each medical institut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lated technical standardizations and the models of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o, we designed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ideal lazy response model which is aimed at vitalizations the exchange of clinical information under domestic law environment. In case of exchange the clinical information, we separate CDA document flow from metadata flow. As a experimental result we acquired 24%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with existed system based on the lazy response model.

      • KCI등재후보

        유방암을 동반한 제2형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1예

        노정민 ( Jung Min Roh ),이윤범 ( Yoon Bum Lee ),안혜림 ( Hye Rim An ),심우호 ( Woo Ho Shim ),이은해 ( Eun Hae Lee ),홍순원 ( Soon Won Hong ),조민호 ( Min Ho Cho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4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2) is a rare hereditary complex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pheochromocytoma, and other hyperplasias or neoplasias of different endocrine tissues within a single patient. Simultaneous occurrence of MEN2 and other cancers that are derived from different origins is rare. In this report, we present a patient with known MEN2 who developed breast cancer as a result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The patient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nd unilateral adrenalectomy due to medullary thyroid cancer and pheochromocytoma. Although patients with MEN2 may demonstrate a variety of neoplastic disorder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case report of MEN2 with breast cancer. In addition, no eti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breast cancer and MEN2 have been reported to date. Thus, here we report a case of known MEN2 with breast cancer and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Med 79:432-437, 2010)

      • 차세대 전자의무기록(EMR) 기술 분석

        정규환 ( Kyu-hwan Jung ),박석천 ( Seok-cheon Park ),심우호 ( Woo-ho Sh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 시스템은 기존의 의무 기록을 전산화 한 것으로 의료 서비스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진료정보 등을 전산화 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노령화 사회로 들어서게 되면서 많은 의료 소비자들이 의료 서비스 기관들에 발걸음이 잦아지고 각 환자마다 늘어나게 될 데이터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EMR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IT트렌드의 흐름을 살펴보고 의료 정보 기술과 접목한 새로운 차세대 EMR 기술을 분석하고 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