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귀인성향의 매개효과와 대학생활적응의 조절효과-

        심용출,나동석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귀인성향의 매개효과와 대학생활적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지역의 4년제 대학에서 재학하고 있는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가치관문제, 장래문제, 정서적 적응 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매개효과 분석결과 적합한 구조모형이며, 노력요인을 매개로 이성관계 스트레스,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간접효과만 유의미함으로 완전매개효과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수 중 대학에 대한 애착은 이성관계 스트레스,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가족관계 스트레스, 교수관계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있어 부(-)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verified to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s of attribu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A questionnaire method was conducted to 287 students of 4 four-year-course colleges in Chungcheongbukdo.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to effect of values problem stress, future problem stress, emotional adaptation on suicidal ideation Second,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was suitable structure model. And this effect verified perfect mediating effects because of significant only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romantic relation stress, friend relation stress mediating by effort factor Third,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verified that attachment about university wa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relationship between romantic relation stress, friend relation stress. on the other han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 stress, professor relation stress, economic stress

      • KCI등재

        여성청소년의 SNS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심용출,신경미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NS overindulgence experience among female adolescents, which is rapidly ris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dissemination of wireless internet and smartphone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method. Our data was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 showed that a total of 9 components, as well as a summary of 22 sub-components and 50 semantic units were deduced. The deduced components were ‘unrestricted environment for browsing internet’, ‘pressured environment for browsing internet’, ‘way to have fun and kill time’, ‘daily life habits’, ‘meeting intellectual needs and needs for information’, ‘open myself to the world’, ‘My connection to the world’, ‘symptoms of addiction’, and “negative influence of SNS overindulgence.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creating even more sensitive education environments for minimizing side-effects of SNS overindulgence. Also It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for taking systematic measures into consideration and conducting social discuss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harmful consequences of adolescents’ SNS overindulgence and the side-effects following SNS use such as cyber bullying. 본 연구는 최근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여성청소년들의 SNS 과몰입 경험을 심층면접 방식으로 조사하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descriptive phenomenology)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총 9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22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50개의 의미단위 요약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구성요소는 ‘제약 없는 인터넷 사용 환경’, ‘압박적 사용 환경’, ‘재미와 심심풀이 수단’, ‘일상생활의 습관’, ‘지적 욕구 충족과 정보력’, ‘나를 세상에 알리기’, ‘세상과 나의 연결고리’, ‘중독적 증상들’, ‘SNS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론을 통해서 SNS 과몰입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교육 환경에서 보다 민감하게 SNS 사용 환경을 조성하도록 제언하였고, SNS 활용에 따른 cyber bulling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청소년들의 SNS 과몰입의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교육적·제도적 대책의 고려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 연구

        심용출(Shim, Yong-Chool),나동석(Ra, Dong-Se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본 연구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서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이 갖고 있는 감정노동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한지 5년이 넘는 사회복지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녹음하여 녹취하였고 자료의 분석결과 331개의 의미단위, 91개의 의미단위 요약문, 26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7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의 구성요소는 “사회복지사가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 “직무 외 감정노동 경험”,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대상들”, “감정노동 경험의 긍정적인 영향들”, “감정노동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들”, “사회복지사가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법”, “변화를 위한 기대”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직무상 나타나는 감정노동을 1차 감정노동과 2차 감정노동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필요성을 분석결과로 제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일을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그 직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 그리고 적절한 직무자원의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employed 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using Giorgi’s (2004)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s to illumin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emotional labor. As such, 10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in the participants’ workplace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as per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alysis of the recordings yielded 331 meaning units, 91 summaries of the meaning units, 26 subordinate components, and 7 components regard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emotional labor. The elements comprising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onsisted of “the reason why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emotional labor”, “the target to which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emotional labor”, “non-work related emotional labor”, “methods to deal with emotional labor employed by the social worker”, “the nega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posi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and “anticipation for changes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outlined and analyzed the need to classify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to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al labor types. The study furthermore suggested that the nature of the work carried out by social workers should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labor involved - and that adequate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workers out of appropriate job resources.

      • KCI등재

        학교폭력 영향 요인 메타분석

        김동민,이미경,심용출,이창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청소년상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위기요인 중 학교폭력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메타분석한 것으로 학 교폭력 가해경험,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변인 군별 효과의 크기를 추정하였 다. 최종 분석에는 총 46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46편의 논문 중 학교폭력 가 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다룬 연구는 43편이었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다룬 연구 수는 16편이었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가해의 경우 개인 수준 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범주는 외현화 문제(공격성, 분노, 충동성)이고, 그 다음 으로 내현화 문제(우울, 위축, 죄책감, 수치심)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의 경우는 내현화 문제(우울, 위축, 불안, 외로움, 죄책감, 수치심)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으 로는 외현화 문제(공격성, 분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개인 수 준에서의 개입뿐만 아니라 가정 및 학교 수준의 개입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구체적인 개 입 초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analysis, studies on predictors of school violence offense and victimized experience were synthesized by meta-analysis. In this analysis, the predictors were grouped as 7 categories. The 7 categories wer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self-related cognitions, other-related cognitions, family, school, and peer. Total 46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In the analysis, the internalizing category for victimized experience and the externalizing category for offense experience demonstrated the largest effect size estimates. For offense experience, the other-related cognitions also showed relatively large effect size estim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vention efforts need focus on reduc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Also, effective ways of implementing these efforts would be attribution training and emotional self-awareness were implied. In addition, the need for contextual level intervention effor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