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생쥐에 대한 아데닌 아라비노사이드와 그의 프레드니손 결합화합물인 BR-8702-AP 의 항바이러스 효과

        신현종,백우현,채희상,신원섭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1 No.1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adenine arabinoside(ara-A) and its conjugate of prednisone(BR-8702-AP) was compared in Herpes simplex Virus Type 1 (HSV-1) infected BALE/c mice. The BALB/C mouse was infected with HSV-1(700 PFU/mouse) intranasally. Among mice infected intranasally with virus, a mortality rate of 100% was observed. On the oral administration of non-toxic doses of ara-A or BR-8702-AP(125 mg /kg/day) for 5 consecutive days 2 hours after virus infection, the ara-A was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mortality to 0% (P<0.001) and BR-8702-AP was also effective in reducing mortality to 15% (P<0.01). In this model infection, the virus was first replicated in the lung and transmitted to the brain. Both ara-A and BR-8702-AP did not inhibit the viral replication in the lung, but they inhibited the viral transmission to the brain. However, the BR-8702-AP was less effective than the ara-A to prevent transmission of virus to brain. Therefore, the reduced mortality due to ara-A or BR-8702-AP therapy wa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viral transmission to brain.

      • KCI등재후보

        Piperacillin/Tazobactam 사용이 ESBL 생산균의 장집락에 미치는 영향

        신현종,장윤숙,서미란,배현주,안명주,이영열,최태열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목적 : ESBL 생산균은 병원 감염의 원인균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과 mono-bactam에 대한 내성으로 항생제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균제 사용의 감소와 piperacillin/tazobactam 사용의 증가가 입원환자에서 ESBL 생산균의 장집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 2005년 2월부터 2005년 4월(3개월)까지의 환자들은 pre-intervention group으로 하여 기존의 종양 환자에게 투여하였던 항생제를 그대로 투여하도록 하였으며, 2005년 5월부터 2005년 10월(6개월)까지의 환자들은 intervention 군으로 하여 초기 경험적 항생제를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균제 대신에 piperacillin/tazobactam을 투여하게 하였으며 두군 모두에서 대변 혹은 직장도말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ESBL 생산균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Pre-intervention군은 50례, intervention군 112례가 포함되었으며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균제의 사용이 각각 27 DDD/l.000patient/days와 6.82 DDD/l.000patient/days로 사용량이 감소하였으며 piperacillin/tazobactam은 각각 1.98 DDD/l.000patient/days, 5.66 DDD/l.000patient/days로 사용량이 증가하였다. 대변과 직장도말 검사에서 ESBL 양성률은 pre-intervention 군이 30%, intervention군이 12%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 항생제 중재에 의하여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균제 사용률이 감소하였으며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균제 사용의 감소와 piperacillin/tazobactam의 사용의 증가가 ESBL 생산균의 장집락의 감소를 유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감염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중증의 감염환자에서 ESBL 생산균 감소를 위해광범위 세팔로스포린을 대신한 piperacillin/tazobactam의사용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 Being able to hydrolyze the majority of b-lactam antibiotics that are currently in use, extended-spectrum b-lactamases (ESBLs) pose a serious clinical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commended to use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 instead of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iperacillin/tazobactam use and ESBL-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and Escherichia coli in stool colony. Materials and Methods :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hemato-oncology department patients of Hanyang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re-intervention period of 3 months (Feb. 2005 to Apr. 2005), antibiotics were prescribed liberally.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of 6 months (May. 2005 to Oct. 2005), use of the 3rd (4th) generation cephalosporins and carbapenems were restricted and piperacillin/tazobactam was recommended. All enrolled patients performed stool culture or rectal swab culture. ESBL confirmed by Double disk synergy test and commercial identification kit. Between the pre-intervention and intervention groups, acquisition rates of ESBL producing organisms were compared. Results : 50 cases were enrolled in pre-intervention period and 112 cases were enrolled in intervention period. In intervention period, use of 3rd (4th) generation cephalosporins and carbapenems decreased from 27 daily define dose/1,000patient/days to 6.82 DDD/1,000patient/days, but use of piperacillin/tazobactam increased from 1.98 DDD/1,000patient/days to 5.66 DDD/1,000patient/days. The intestinal acquisition rate of ESBL producing organism decreased from 30% to 12%.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mortality of infectious disease between two phase. Conclusion : Use of piperacillin/tazobactam instead of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reduces intestinal acquisition rate of ESBL producing K. pneumoniae and E. coli.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number of ESBL producing organism, we recommend using piperacillin/tazobactam instead of using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 Scopoliae Folium의 製劑에 關한 實驗(第二報) : 國産生藥製劑 Scopoliae extract의 總 Alkaloid定量 The eletermination of the Total Alkaloids of Scopoliae extract, domestic crude Preparations

        申鉉宗,梁在憲,李珏均 성균관대학교 1967 成均藥學 Vol.8 No.-

        The total Alkaloids contents in the commercial Scopolia extract (Rhizoma) which was known as parasympatholytic and sedative agents was determined according to korean pharmacopoeia proced-ure. The data given were found to be contained 0,947 76 as hyoscyarnine (=C_(17) H_(23) O₃N),refering 0.95~1.15% of Korean Pharmacopoeia regulation. But the total Alkaloids of the Scopolia Fluidextract (folium) which mas made according to Belladonna Leaf Fluidextract procedure of the N.F was contained 0.133%, refering 0.12-0.35% of K. P regulation.

      • KCI등재후보

        Plan Position Indicator Scope 주사방식의 Radar 영상신호를 LCD Display 에 잔상영상으로 데이터 표출 구현에 관한 연구

        신현종,유형근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3

        디스플레이는 장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자, 도형, 영상, 패턴 형태의 정보를 인간의 육안으로 판별 가능하도록 전달함으로써 인간과 기계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영상정보통신시스템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를 활용해 보여주는 기능이중시되면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표출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과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아날로그 시대의 대명사였던브라운관(CRT)에 PPI Scope 주사방식 시스템 신호를 CRT에 표시함으로써, CRT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기계적인 시스템에서 발생된 신호를 인간인 판독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통해 정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수신된 신호를정보로 표출하는 레이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블랭킹 간격(Vertical blanking interval)과 버퍼스왑(Buffer swap)을 통한, 고정함수 그래픽 파이프라인 고속 대용량 처리형태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FPGA 및 내부 알고리즘, H/W로직을 동기화 처리로 표출정보 끊김 현상을 제거하고, 고속으로 영상정보가 표출될 수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고가 고성능 그래픽 연산장치 GPU 없이 구현된 FPGA 로직에 수행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경제성은물론 레이더 정보표출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기존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CRT 레이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레이더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를 평면 디스플레이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레이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연구이다. The display device is an important video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evice to connect between human and device. it transfers the information as characters, shapes, images and pattern to enable recognizing by eyes. Theres absolutely needs some key functions and role to quickly display informations. It can analyse a information through a PPI Scope of a cathode-ray tube(CRT) displays information which can perform a role. this research proposed a radar device to display informations as received signal. The radar display researches can apply to fixed function graphics pipeline algorithms of the large capacity type through a vertical blanking interval and buffer swap of display unit. Also, it can be possible to apply to performed algorithms to FPGA logic without high-performanc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through synchronization which can implement a display system. In this paper, we improved the affordability and reliability through proposed research. 이So, we have studied the radar display unit which can change a flat display from radar display of CRT radar display.

      • KCI등재

        해외주재원 육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외 학술논문의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신현종,박성민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2

        Since 2000, domestic corporations have focused on resolving the economic crisis, and exploring overseas markets and expanding the scope through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because of increase of enterprise activities frequently crossing the frontier,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xpatriates, but studies for thi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offer an opportunity to trigger a follow-up study related to expatriates available in administration of enterprise in this nation in the future through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focusing on research topic of accessible theses in a thesis area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i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offer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expatriates. As a result of analysis, in case of this nation, 41 research papers were run in 29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16, and in case of foreign countries, 251 research papers were run in 126 academic journals. To analyze research topic, 18 research topics of work area and non-work area were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expatriates ran adaptation most as a research topic. However, in case of foreign countries, various topics were studied, but in case of this nation, five research topics of 18 research topics were not studied, and studies on non-work area in this nation are relatively less than research papers run in foreign academic journal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conclusion that in this nation,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study topics highly related to adaptation of expatriates variously, and the necessity of an empirical study considering diversity of research topics and a study including non-work area should be raised once more. 2000년 이후, 국내기업들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국제경쟁력 강화를 통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외연을 확대하는데 주력해 왔으며 국경을 넘는 기업 활동의 증가로 해외주재원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주재원과 관련한 연구논문들 중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국내외 학술지논문 영역에서 접근할 수 있는 논문을 연구주제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에서 기업경영에 활용가능한 해외주재원 관련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국내의 경우 2000년부터 2016년까지 29개 학술지에서 41개의 연구논문의 게재되었으며 해외학술지에서는 126개 학술지에서 251편의 연구논문이 게재되었다.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업무영역과 비업무영역의 18개 연구주제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으며 국내외 해외주재원 관련 연구 모두 연구주제로 적응을 가장 많이 게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반해 국내의 경우 18개의 연구주제 중 5개의 주제는 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비업무영역에 관한 연구도 해외의 학술지 게재 연구논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해외주재원의 적응과 관련하여 연관성이 높은 주제들을 다양하게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고려한 실증적인 연구와 비업무 영역을 포함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제고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