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합하는 노동자의 언어들 -대우조선 노동조합『옥포노보』를 중심으로-

        신현아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3

        It is still common to look into the ‘field’ and the workers through the turning point of the 1987 Grand Struggle of Workers. Workers who had revolted in 1987 were no longer fighting as ‘Goliath workers’ through the 1990s, as they received various welfare benefits and high wages provided by the companies. Now, the center of the Korean working class is no longer the Goliath worker.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is narrative flow is the new business management strategy that began in 1990. In particular,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DSME) had been carrying out the Hope 90’s Movement since 1990, and with a budget of about 2 billion won,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projects and education of consciousness were implemented to create the idea of a corporate family through consolidating a ‘labor-management harmony’.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stronger suppression of the union through disciplinary action, dismissal, and arrest, the union’s dominance in the field was weakened, which became a major factor for evaluating Daewoo Shipbuilding’s Hope 90’s Movement as ‘successful’. In this narrative flow, the workers who were exploited arose in 1987 and gained their identity as workers, but their identity as workers was weakened due to the company’s new management strategy in the 1990s. And through the heyday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2000s, they took on the character of the middle class. It means that it fell behind without being able to follow the trend of the times. After all, do the workers simply enjoy a life that mimics the middle class on an isolated island, being separated from the center, and then simply disappear in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Should we say that workers are only falling apart after being seduced by capital to covet and imitate a bourgeois life that is not allowed for them? What do workers say about this? In order to find another answer to that ques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records of the workers who fought for finding their share even after the mythical struggle called the ‘87 Grand Struggle’.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a close reading of ‘Okpo Nobo (옥포 노보)’, the newsletter of Daewoo Shipbuilding’s labor union (since 1990, ‘Cry of Opening the Dawn’), we learn how workers created their own language apart from the language of the capitalists and fought for themselves in order not to forget their language again. In particular, this article will focus on ‘Okpo-Nobo’ from 1988 to 1989. The union was formed in August 1987 and ‘Okpo Nobo’, published from 1988 to 1989, is an important source of records from the earliest days of union establishment. At first, they did not have their own language, so they borrowed the language of the capitalists. But in the process, they gradually acquired their own language, thus creating a situation in which various voices of workers coexisted. ‘현장’과 노동자들의 모습은 지금도 여전히 87년 노동자 대투쟁이라는분기점을 경유하여 들여다보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87년에 터져 나오듯 봉기한 노동자들은 1990년대를 거치며 기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복지와 높은 임금을 받고 더 이상 ‘골리앗 노동자’가 되어 투쟁하지 않게되었다. 이제 한국 노동계급의 중심은 더 이상 골리앗 노동자가 아니게되었다. 이러한 서사적 흐름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것이 1990년부터시작된 기업의 신경영전략이다. 특히 대우조선에서는 1990년부터 희망90’s 운동을 실시하였고, 이는 약 20억 원의 예산으로 다양한 사내외 문화사업과 의식교육 등 ‘노사화합’을 통한 기업 가족 만들기를 이루어내었다. 그리고 동시에 징계, 해고, 구속 등을 통해 노조에 대한 탄압을 더욱 강하게 실시한 결과 노동조합의 현장 장악력이 약화되었으며, 이는 대우조선의 희망90’s 운동이 ‘성공적’이라고 평가받는 큰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서사적 흐름은 착취당하던 노동자들이 87년을 기점으로 일어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지만 90년대 회사의 신경영전략 정책으로인해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이 약해지고, 2000년대 조선업 전성기를 거치며중산층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으며, 결국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 채로 뒤쳐지고 말았다는 것이다. 결국 노동자들은 그저 중심부와 괴리된 채로 고립된 섬에서 중산층을 흉내 낸 삶을 향유하다가 그저 시대의뒤안길로 사라지고 마는 것일까? 노동자들이 자본의 유혹에 넘어가 자신에게 허락되지 않은 부르주아적 삶을 탐내고 흉내 내다가 결국 몰락하고있을 뿐이라고 말해야 할까. 이에 대해 노동자들은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그 질문에 대한 다른 답을 찾기 위해서, ‘87년 대투쟁’이라는 신화화된 투쟁의 이후에도 자신의 몫을 찾기 위해 싸워온 노동자들의 기록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우조선 노동조합의 회보인『옥포노보』 (1990년 이후『새벽을 여는 함성』)를 읽으며 노동자들이 어떻게자본의 언어에서 자신의 언어를 만들어가고, 다시 그 언어를 빼앗기지 않도록 싸워 가는지 보고자 한다. 특히 여기서는 1988년에서 1989년까지의『옥포노보』를 집중해서 다룰 것이다. 1987년 8월에 노조가 결성되고 1988 년부터 1989년까지 나온『옥포노보』는 노동조합이 설립된 가장 초창기의기록들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처음에는 자신들의 언어를 갖지못해서 자본의 언어를 빌려 쓰지만 그것이 차츰 자신들의 언어로 바뀌어가는 과정이 나타나기도 하며, 또 다양한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공존한다.

      •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가 주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체외 신경세포 분화

        신현아,김은영,이금실,조황윤,김용식,이원돈,박세필,임진호,Shin, Hyun-Ah,Kim, Eun-Young,Lee, Keum-Sil,Cho, Hwang-Yoon,Kim, Yong-Sik,Lee, Won-Don,Park, Se-Pill,Lim, Jin-Ho 대한생식의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1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vitro neural cell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 genetically mod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ing tyrosine hydroxylase (TH). Materials and Methods: Human embryonic stem (hES, MB03) cell was transfected with cDNAs cording for TH. Successful transfection was confirmed by western immunoblotting. Newly transfected cell line (TH#2/MB03) was induced to differentiate by two neurogenic factors retinoic acid (RA) and b-FGF. Exp. I) Upon differentiation using RA, embryoid bodies (EB, for 4 days) derived from TH#2/MB03 cells were exposed to RA ($10^{-6}M$)/AA ($5{\times}10^{-2}mM$) for 4 days, and were allowed to differentiate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Exp. II) When b-FGF was used, neuronal precursor cells were expanded at the presence of b-FGF (10 ng/ml) for 6 days followed by a final differentiation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Neuron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using neuron markers (NF160 & NF200). Results: After 7 days in N2 medium, approximately 80% and 20% of the RA or b-FGF induced Th#2/MB03 cells were immunoreactive to anti-NF160 and anti-NF200 antibodies, respectively. As differentiation continued, NF200 in RA treated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3.0% on 14 days compared to that in b-FGF treated cells (53.0%, p<0.05), while the proportion of cells expressing NF160 was similarly decreased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roughout the differentiation, expression of TH was maintained ($\sim$90%). HPLC analyses indicated the increased levels of L-DOPA in RA treated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with longer differentiation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TH#2/MB03) could be efficiently differentiated in vitro into mature neurons by RA induction method.

      • KCI등재후보

        단위발생유래 생쥐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체외 분화된 기능성 심근세포

        신현아,김은영,이금실,조황윤,이원돈,박세필,임진호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6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0 No.1

        본 연구는 단위발생유래 생쥐 배아줄기세포(P-mES)지가 체외수정유래 생쥐 배아줄기세포 (mES)와 마찬가지로 기능성 심근세포로 체외 분화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각 세포주 P-mES04와 MES03를 4일간 부유 배양하여 배아체 (EB)를 형성한 다음 4일간 DMSO를 추가적으로 처리한 뒤 젤라틴이 코팅된 배양접시에 부착시켰다(4-/4+). P-mES04와 mES03으로부터 수축성 심근세포 생성 여부를 30일간 관찰한 결과, 각각 13일(69.83%)과 22일 (61.3%)에 누적 형성율이 가장 높았다. 면역 세포화학염색 결과, 수축성을 나타내는 P-mES04 세포는 수축성 mES03 세포에서와 같이 근육 특이적인 anti-sarcomeric a-actinin 항체와 심근 특이적인 anti-cardiac troponin I 항체에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T-PCR 결과, 수축성을 나타내는 P-mES04 세포는 심근특이적인 L-type calcium channel, a1C, cardiac myosin heavy chain a, cardiac muscle heavy polypeptide 7β, GATA binding protein 4와 atrial natriuretic factor는 발현하나, 골격근 특이적인 L-type calcium channel, a1S는 발현하지 않아 웅성 성체의 심장세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위발생 유래 생쥐 배아 줄기세포를 배아줄기세포의 연구의 대체제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arthenogenetic mouse embryonic stem (P-mES)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cardiomyocytes in vitro similar to (mES) cells. p-mES04 and IVF-derived mES03 cells were cultured by suspension culture for 4 days. The formed embryoid bodies (EBs) were treated with 0.75% dimethyl-sulfoxide (DMSO) for further 4 days (4-/4+), and then plated onto gelatin coated culture dish. The appearance of contracting cardiomyocytes from the P-mES04 and mES03 cells was examined for 30 days. The highest cumulative frequency was detected at days 13 (69.83%) and 22 (61.3%), respectively. By immunocytochemistry, beating P-mES04 cells were positively stained with muscle specific anti-sarcomeric a-actinin Ab and cardiac specific anti-cardiac troponin I Ab similar to contracted mES03 cells. When the expression of cardiac muscle-specific genes was analyzed by RT-PCR, beating P-mES04 cells were expressed cardiac specific L-type calcium channel, a1C, cardiac myosin heavy chain a, cardiac muscle heavy polypeptide 7β, GATA binding protein 4 and atrial natriuretic factor, but not expressed skeletal muscle specific L-type calcium channel, a1S, which was similar to male adult heart cells and mES03-derived beating cardiomyocyte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P-mES cell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 vitro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ES cells.

      • KCI등재

        유신(維新) 체제와 새로운 몸(維身)으로거듭나기: 농민, 장발족, 여학생: 하근찬의 1970~80년대 중 ․ 단편을 중심으로

        신현아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8 No.-

        본고에서는 하근찬의 1970~80년대의 작품들이 유신이라는 체제 하에서 다양한 ‘통제 불가능한 존재’들을 ‘국민’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지를 담아내고 있다는 측면에서 읽어보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이 추진한 공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베트남 전쟁의 후방이라는 조건 속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빈농, 장발족, 통제불가능한 소녀들은 하근찬의 소설 속에서 ‘정신개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그러한 ‘개조’를 벗어나는 존재들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유신 체제 하에서 사회를 문란하게 하는 존재들을 ‘정신개조’를 통해 통제하고자 한 것과 함께 묻어두어야 했던 것은 식민지에 대한 기억과 반공논리를 벗어나는 전쟁과 죽음의 기억이었다. 1970년대가 되면서 TV와 라디오를 타고 전달되는 새로운 문화의 홍수 속에서 정작 개인의 신체인 두발조차도 억압당하고 빈곤과 착취의 문제가 은폐되었던 것처럼, “잘 살아보세”라는 외침 속에서 식민지와 전쟁에 대한 기억 역시도 묻어두어야 하는 것이 된다. 1965년의 한일청구협정으로 식민주의의 피해를 ‘청구’할 권리를 국가가 빼앗은 이래, 식민주의의 피해의 구제를 말하는 것은 억압되었다. 그리고 한국전쟁의 고통과 기억 역시도 반공 논리 속에서 왜곡되거나 검열되었다. 국가는 전 국민이 과거/역사를 잊고 이제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여 ‘잘살아보세’를 외치며 산업역군/전사가 되어 전진하길 요구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국가는 식민지도, 아시아태평양 전쟁도, 한국전쟁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몸과 정신을 개조하여 ‘새마을’에 맞는 ‘새인간’으로 만들어내어야만 했다. 유신(惟新)은 인간을 바꾸는 인간 개조의 유신(惟身)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 시스템 속에서 드러나는 비틀린 인간과 관계, 사랑과 연애를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1970~80년대 하근찬의 소설을 분석한다.

      • KCI등재

        1980년대 중공업 가족의 형성과 지역적 삶의 반경

        신현아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9 No.-

        With the construction of various heavy chemical plants in Yeongnam in the mid-1970s, the way of life of the country, region, and local people is completely changed. The state declared the “heavy industry era”, the region was reorganized as a “heavy industry” production base, and the residents were reborn as “heavy industry workers”. And through the 1980s, regions, industries, and families formed one patriarchal family that was inseparable. This paper conceptualizes it as the “radius of local life” to see how life in the region is structured so as to be completely subordinate to industry. This is analyzed through Kim Soom's <Iron> and Pyun Hye-young's <Let The Dead>. Kim Soom's <Iron> is carefully watching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and re-fall as ‘heavy workers’ and ‘heavy industries’ as locals are assigned to serve as “heavy industries”. Pyeon Hye-young's <Let the Dead> revolves around the corruption of Lee Seok and Muju at the Seondo Hospital in Yi-In city, which relied on everything at the shipyard but completely collapsed after the shipyard was closed down. In this novel, I would like to see the way of life in the region that has become inseparable from the region. In particular, in this study, workers' way of life is formed through overlapping scales of state, region, and family, and the worker's life is equivalent to local life, so that industrial downfall and local downfall and family downfall can't be separat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ee the process of regional reorganization by the state and the capital which decides the lives of people living in the region as fate and cannot get out of it. 1970년대 중반 영남 지역에 각종 중화학 공장이 건설되면서 국가와 지역과 지역 주민들의 삶의 판도는 완전히 바뀌게 된다. 국가는 ‘중공업 시대’를 선언하였으며, 지역은 ‘중공업’ 생산 기지로서 재편되고, 주민들은 ‘중공업 노동자’로서 재탄생하게 된다. 그리고 80년대를 거치며 지역과 산업과 가족은 분리 불가능한 하나의 가부장적 가족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그것을 ‘지역적 삶의 반경’으로 개념화하여, 지역에서의 삶이 어떻게 산업에 완전히 종속되어 벗어날 수 없도록 구조화되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를 김숨의 『철』과 편혜영의 『죽은 자로 하여금』을 통해서 분석한다. 김숨의 『철』은 지역이 ‘중공업 기지’로서의 임무를 할당받고, 지역 주민들은 ‘중공업 노동자’와 ‘중공업 가족’으로 재탄생되고 다시 몰락하는 과정을 섬세하게 살피고 있다. 편혜영의 『죽은 자로 하여금』은 조선소에 모든 것을 의존하다가 조선소의 폐업 이후 완전히 몰락한 ‘이인시’에 위치한 ‘선도병원’에서 ‘이석’과 ‘무주’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비리에 얽혀가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 소설을 통해 지역과 분리 불가능하게 되어버린 지역의 삶의 방식을 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역-가족이라는 스케일의 중첩을 통하여 노동자의 삶의 방식이 형성되고, 그렇게 형성된 노동자의 삶이 지역적인 삶과 등치되어 산업의 몰락과 지역의 몰락, 그리고 가족의 몰락이 분리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가와 자본에 의한 지역 재개편이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운명처럼 결정지어놓고 여기서 벗어날 수 없게 하는 과정을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세대론적 서사의 한계와 페미니즘 글쓰기

        신현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3

        이 연구는 페미니즘에서 ‘원년’을 선언하는 세대론적 수사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세대론은 매번 ‘리부트’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원년’을 재생산해야 지속 가능한 담론 구조이다. 아비계승서사에서 아들 세대는 언제나 현재를 파국과 폐허로 상정하며 아비 세대를 부정하고, 아들 세대는 다시 아비 세대가 되어 그 전 아비 세대의 몫을 상속하며 가부장적 질서를 유지해왔다. 그렇게 남성들의 세대론은 약 백 년의 시간 동안 매 번 ‘새로운 세대’를 자임하고 ‘새로운 원년/기원’을 선언하였지만, 결국 부정과 계승으로 이어지는 가족적 상속의 구조를 단 한 번도 혁명해내지 못하였다. 그렇다면 우리는 세대론을 반복하지 않고, 절멸되지 않는 페미니즘의 서사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을까. 소설 82년생 김지영 에서는 이러한 ‘페미니즘 원년’의 선언이 매번 반복되며 ‘여성 일반론’의 구축이 결국 여성 수난사의 계보가 되는 것이 나타남을 분석한다. 또한 웹툰 <단지>에서는 각각의 개별적 경험을 토로하고 아카이브로 만들며 ‘일반론’을 해체하고자 하는 것을 살펴본다. 그리고 웹툰 <여중생A>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응답이 어떻게 해방적인 ‘낙원’을 구축하게 되는지를 보고자 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consideration of generational rhetoric that declares the “first year” in feminism. Generational theory is a sustainable discourse structure that requires constantly reproducing a new ‘first year’ through ‘reboot’. In the father's succession narrative, the son's generation always assumed the present as catastrophe and ruins, denying the father's generation, and the son's generation became the father's generation again, inheriting the share of the previous father's generation and maintaining a patriarchal order. In this way, the generational theory of men pretends to be a “new generation” and declares a “new year / origin” every time for about a hundred years, but it has never revolutionized the structure of family inheritance that leads to injustice and succession. Then, how can we imagine the narrative of feminism that does not repeat generational theory and is not exterminated? In the novel <Kim Ji Young born 1982>, this declaration of “feminism first year” is repeated every tim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general theory of women” eventually appears to be the genealogy of the female survivors. In addition, in the webtoon <Dan-ji>, we will discuss each individual experience, make it into an archive, and dismantle the ‘general theory’. And through the webtoon <yeo-jung- saeng-A>, I want to see how writing and responses form a liberating “parad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