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奎 7850)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신중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동서인문 Vol.- No.23

        이 글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훈련도감자본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奎 7850)을 실사하면서 국어학적인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은 아직 초간본(1525년)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은 초간본의 국어를 담고 있지만 드물지 않게 근대국어의 모습도 담고 있어서 당시 과도기 국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이 초간본으로 추정되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학계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대 소장본에서 추정의 근거로 삼은 서문이 원간본의 서문을 그대로 복각한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책의 속표지에 기록된 내사기(內賜記)를 통해서 1578년의 을해자 중간본임을 알 수 있다. 훈련도감자본인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奎 7850)은 임진왜란 이후 감염병이 재차 유행하면서 1613년(광해군 5)에 다시 간행하였다. 이 책은 정교하게 교정된 글자를 담은 교정본 의서이다. 이 책에 드러난 표기의 특징으로 ‘ㅿ’과 ‘ㅇ’의 쓰임 혼용, 옛이응(ㆁ)과 이응(ㅇ)의 표기 공존 등으로 과도기 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표기에 오자가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음운현상과 관련된 특징으로는 우선 자음동화가 반영된 사례가 눈에 띈다. 비원순모음이 전후 음절의 원순모음에 이끌려 원순모음으로 동화된 예도 수의적으로 나타난다.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도 자주 보인다. 동국정운식 한자음이 반영된 한자도 함께 보인다. 이 책에는 한자어계 조사로 이해할 수 있는 ‘至히’가 보여 흥미롭다. 주어적 속격의 용법을 보이는 ‘ㅅ’이 확인되고 나열의 의미 기능으로 파악된 ‘-(이)야 -(이)야’가 주목된다. 강조나 한정의 기능을 하는 보조사도 눈에 띈다. ‘ᄒᆞ라체’의 명령형 어미가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책에서 흥미로운 유의 관계와 다의 관계도 찾을 수 있다. 눈에 띄는 동음이의어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도 등장한다. 금기어와 완곡어도 확인된다. 한편 오늘날 쓰이지 않는 사어나 희귀어도 곧잘 보이고, 특히 ‘쉰무ᅀᅮ나박팀ᄎᆡᆺ국’는 기존 해석을 정정하였다. 또 단위 명사에 따른 수사의 변이 양상도 잘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ncient document Kani- byeokonbang (簡易辟瘟方) (奎 7850) housed in Gyujanggak (奎章閣). The document’s first printed version has not been transmitted yet. Kani-byeokonbang contains not only the 16th-century Korean language but also the 17th-century Korean langu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ividly observe the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of the time from the document. In the past, the first publication date of Kani-byeokonbang in the Korea University’s Central Library and the others were estimated to be 1525, but this turned out to be untrue. The preface of the document in the Korea University, which was used as a basis for the publishment date estimation, turned out to be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version’s preface. The Naesagi(內賜記) recorded inside of the document reveals that the document is the intermediate version of Eulhaeja (乙亥字) in 1578. Infectious diseases were spread after the Imjin War, and KanI-byeokonbang (奎 7850), one of the HullyeonDogam-Ja (訓鍊都監字) documents, began being republished in 1613. This version is the revised edition that includes precisely proofread words. This document i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and reflects the 16th century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One characteristic of writing in the document is the mixed usage of “ㅿ” and “ㅇ.” Another characteristic is the coexistence of “ㆁ” and “ㅇ” writing, and these characteristics show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Writings in the document reflect misspelled words. A characteristic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on stands out through a case where consonant assimilation is reflected. Another case shows the non-rounded vowel being assimilated into the rounded vowel, attracted by the rounded vowel of syllables before and after. Writings that reflect the weakening of “ㄱ(k)” are often observed in the document. The Chinese charac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s of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style can be seen in the document as well. In the document, “至” appears as an example that can be understood as the post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Furthermore, “ㅅ,” which shows the use of a genitive subject, is identified, and the postpositions that have a semantic function of listing are observed in the document. A complementary postposition, whose function is to emphasize or to limit, also appears. The imperative ending of “ᄒᆞ라체 (Hara-style)” is observed in various forms. Interesting synonymy and polysemy relations are seen in the document. There is a case showing a noticeable change in homonymy. Taboo words and euphemisms can be noticed as well. Words that are obsolete or dead nowadays are easily found. Additionally, the variation of a numeral according to unit nouns is well observed.

      • KCI우수등재

        일사본 ≪동몽학≫에 대하여

        신중진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3

        一簑本 ≪童蒙學≫을 소개하고 300여년 앞선 동경대본 ≪百聯抄解≫과 언해문을 비교하였다. 우선 ≪동몽학≫의 원본을 통해 형태 서지 사항을 살폈다. 원 표지에 붉은 실로 새로 오침안정을 하였다. 편자는 미상이다. 19세기 중후반에 간행된 것으로 보았다. 1책 10장 분량의 목판본이다. 印面의 상단은 언해문이 유계로, 하단은 한시가 무계로 된 2단 책판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 이 책을 ≪백련초해≫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책으로 보았다. 이본이라고 하기에는 내용의 양과 질이 완전히 같지 않기 때문이다. ≪백련초해≫에서 빠진 중국 한시가 있기도 하고, 새로 추가된 한시들이 있다. 한국 한시 <제물염정(題勿染亭)>과 중국 한시 네 수가 ≪百聯抄解≫에 비해 새롭다. 절대적인 차이점은 ≪동몽학≫에 한시 79구만 수록되어 있어서 온전한 ≪백련초해≫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백련초해≫가 자훈과 언해문을 포함하나 ≪동몽학≫은 자훈 없이 언해문만 담았다. 절대적인 수록 聯句의 수량에 차이를 넘어서 질적인 차이도 있는 셈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동몽학≫은 ≪백련초해≫의 아류이기는 해도 표지제처럼 별도의 책으로 보았다. 한편 ≪백련초해≫와 연구의 짝이 맞는 ≪동몽학≫의 음운적 특징, 형태 어휘적 특징, 문법적 특징들은 전반적으로 근대국어의 특징과 함께 한다. 더하여 전라도 방언의 흔적을 담고 있다.

      • KCI등재

        초고층건축물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신중진,임창복,류훈,박종현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ning strategy of super tall building for publicness improvement in the points of urban, local and environmental level As a result is summarized with 8 theme, content is following as First, skyscrapers plan to consider urban grad and local character Second, urban landscape plan to promote city identity and image Third, context plan to consider local history and culture Fifth, pedestrian network plan to link near site and district Sixth, pedestrian environment plan to promote physical and sensibility Seventh, the secur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surance of residential amenity In last, consideration to prevent corruption of surrounding local environment

      • KCI등재

        의성어의 조어원리와 단어형성 참여 양상

        신중진 형태론 1999 형태론 Vol.1 No.1

        전형적인 의성어의 경우, 중첩형이 도출과정을 거쳐 출력된 것이 아니라 도출과정 이전에 이미 어휘부에 내재되어 있는 비도출형인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가 [단발성] 의미자질을 가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그 자립성 이 결정된다. 의성어 가운데는 [+의태성]을 지니는 예가 상당수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의성태어’라고 불렀다. 의성의태소는 [의성성]만 갖는 순수한 의성어(꿀꿀, 멍멍)에 개입하지 않는다. 어기의 자격을 부여받은 의성어 가운데에는 명사 파생접미사 ‘-이, -질, -장이, -쇠, -아리’나 동사 파생접미사 ‘-거리-/-대-’, ‘-이-’, ‘-하-’와 결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의태어에 관여하는 형용사 파생접미사 ‘-스럽-’, ‘-맞-’, ‘-하-’, 부사 파생 접미사 ‘-이’, ‘-히’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합성어 형성에서 의성어나 그 구성요소는 예외없이 명사어기의 좌측에 부착된다. 따라서 항상 종속적 합성어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합성어에서 의성어나 그 구성요소는 항상 비핵인 셈이다.

      • KCI등재

        개화기 ‘-학(學)’ 파생 명사와 근대 학문 분야 명칭의 정착 양상 연구

        신중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4

        A total of 58 derived nouns were revealed in the corpu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mong them, “Scholarship, Rhetoric, Psychology, Logic, and Receiptology” and so on are academic names in the humanities and sciences, and “Scholarship, Receiptology” was already listed in ≪朝鮮語辭典≫(1920). Most of these are still used as names for modern studies. “Sociology, Commerce, Anthropology, Economics, Law, and Political science” and so on are academic name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mong them, “Economics, Law, and Politics” appeared at a high frequency of more than 10 times. Today, “Economics, Law, and Politics” are still valued in social science, which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Physics, Zoology, Botany, Pharmacology, Hygiene, Biology, Astronomy, and Physiology and so on are academic name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frequency and various academic names were revealed enough to be safe to do with the era of natural science. Among them, “Astronomy, Pharmacology” is also listed in ≪朝鮮語辭典≫(1920). Engineering, Factory, Mechanics, Telegraphics, Electrical, Railway, and Manufacturing and so on are other academic name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medicine, military science, etc. Finally, all of them are names for academic disciplines, so they form salmon relationships by integrating them with ‘study, lecture, learn, master, teach, study’. 개화기의 말뭉치에서 드러난 ‘-학(學)’ 파생 명사 중에 ‘셩리학, 수사학, 심리학, 심성학, 령혼학, 비평학, 론리학, 슈신학’은 인문 과학 분야의 학문 명칭인데, ‘셩리학, 슈신학’은 ≪朝鮮語辭典≫(1920)에도 이미 등재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현대 학문의 명칭으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경리학, 경찰학, 샤회학, 샹무학, 샹업학, 우톄학, 인류학, 인죵학, 경졔학, 법률학, 졍치학’은 사회 과학 분야의 학문 명칭이다. 이 중에 ‘경졔학, 법률학, 졍치학’은 10회 이상의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오늘날에도 ‘정치, 경제, 법률’이 사회 과학에서 중시되고 있는데, 이는 개화기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격물학, 광산학, 금슈학, 농리학, 농림학, 농업학, 동물학, 산슐학, 식물학, 약물학, 위학, 츅셩학, 측량학, 고물학, 우쥬학, 물학, 텬문학, 격치학, 디리학, 디질학, 물리학, 박물학, 리학’은 자연 과학 분야의 학문 명칭이다. 개화기에는 가히 자연 과학의 시대하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높은 빈도와 다양한 학문 명칭이 드러났다. 이 중에 ‘텬문학, 약물학’은 ≪朝鮮語辭典≫(1920)에도 등재되어 있다. ‘공업학, 공쟝학, 긔계학, 뎐보학, 젼긔학, 텰노학, 졔조학’은 공학 분야의 학문 명칭이며, ‘농공샹학, 륙군학, 텬쥬학, 항학, 해군학, 협잡학, 뇌샹학, 두개골샹학, 화공학’은 의학, 군사학 등의 기타 학문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학문 명칭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모두는 학문 분야의 명칭이라서인지 주로 ‘공부ᄒᆞ다, 강론ᄒᆞ다, ᄇᆡ호다, 슉달ᄒᆞ다, ᄀᆞᆯᄅᆞ치다, 연구ᄒᆞ다’ 등과 통합하여 연어 관계를 형성한다.

      • KCI등재

        의미 변화 이론의 수용 그리고 새 관점

        신중진 한국어의미학회 2021 한국어 의미학 Vol.72 No.-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meaning change in our country comes down to Ullmann(1962). In this book, as a ‘comment’ of meaning change, Meillet cited “discontinuity, vagueness, and loss of flexibility”. Ullmann also added “variability by polysemy, ambiguous contexts, and an infinite set of lexical structures”. More “relationship between words, culture” could be added to this. There are also six reasons for meaning change. They are “language causes, historical causes, social causes, psychological factors, foreign language influences, and the need for a new name”. From a modern perspective, new causes will also be added due to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communication means, and the dailyization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eanwhile, “the property of meaning change” was also proposed as a methodology. It was noteworthy here that two or more properties often change in meaning in four properties as they are complexly involved. More factors, causes, and properties can be added to the meaning change. In addition, in a future society where the language environment will b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re may be other important factors, causes, and properties of meaning changes. In addition, even in “The Consequences of Meaning Change”, <Change in Scope> may include ‘magnification, reduction’ not only the ‘meaning category of the monosemy’ but also the ‘meaning category of the polysemy’. If we look at “Change in Evaluation”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a new perspective arises. From the perspective of ‘near diachronic’ and synchronic points, we can find not only the types of improvement and depravity of meaning, but als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improvement or depravity coexist parallel.

      • KCI등재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체험프로그램 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2005 안동 군자마을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체험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신중진,김희경,Shin, Joong-Jin,Kim, Chi-Kyu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6 건축역사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a method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for organizing continuous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Therefore, with having purpose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residents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in '2005 An-dong Gunjamaul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accomplished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can continuously manageable by residents and space and facilities which are accompanied wit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veloping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has four phases, selecting program, planning program, growing and changing program, and practicing and firmly establishing program.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planning and setting up a resident's organization and the experience program need to be considered. The things that experts have to consider are come up with three subjects. First, planning experience program with citizen participation. Second, designing experience program with spaces which will contain the programs. Third, developing programs which are accompanied with rediscover village's resources through continuous feedbac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