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파천문 상관처리를 위한 최적 코딩 방법에 관한 연구

        신재식,오세진,염재환,노덕규,정동규,오충식,황주연,소요환,Shin, Jae-Sik,Oh, Se-Jin,Yeom, Jae-Hwan,Roh, Duk-Gyoo,Chung, Dong-Kyu,Oh, Chung-Sik,Hwang, Ju-Yeon,So, Yo-Hwa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5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한일공동VLBI상관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상관기의 성능개선을 위해 공개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최적 코딩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VLBI 관측데이터를 상관처리하는 시스템은 관측국 수에 따라 계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ASIC 또는 FPGA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구축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와 같은 대용량 서버에서 구축하고 있다. 하드웨어로 구축한 VLBI 상관처리 시스템은 대부분 관측시간대비 준 실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상관처리 시스템도 이와 같은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코딩작업에서 데이터 처리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관처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인 FFT 처리과정에서 공개된 fftw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최적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fftw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 SSE를 활용한 방법, 공유메모리를 사용한 방법, OpenMP를 활용한 방법, 그리고 제시한 것들을 병합한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상관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관처리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fftw와 공유메모리, 그리고 OpenMP를 적용한 최적 코딩 방법이 상관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소프트웨어 상관기의 성능개선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optimum coding method is proposed by using open librar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software correlator developed for 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KJJVC). The correlation system for VLBI observing system is generally implemented with hardware using ASIC or FPGA because the computational quantity is increased geometrically according to the participated observatory number. However, the software correlation system is recently constructed at a massive server such as a cluster using softwa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power. Since VLBI correlator implemented with hardware is able to conduct data processing with real-time or quasi real-time compared with mostly observational time, software correlation has to perform optimal data processing in coding work so as to have the same performance as that of the hardwar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comparison was conducted by open-source based fftw library released in FFT processing sta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rrelator system for performing optimum coding work in software development phase, such as general method using fftw library or methods using SSE(Streaming SIMD Extensions), shared memory, or OpenMP, and method using merged techniques listed above.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optimum coding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veloped software correlator using fftw library, shared memory and OpenMP is effectively confirmed by reducing correlation tim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徐有榘의 『古文尙書寃詞』 비판에 대한 顧炎武ㆍ朱彛尊의 영향

        신재식(Shin, Jae-sik)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1 No.-

        이 논문은 徐有?(1764-1845)의 『古文尙書寃詞』 비판 사례를 통해 정조 연간 청대 초기 학풍의 수용 양상을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조 연간에 조선 학계는 『古文尙書』 진위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淸의 북경으로부터 『古文尙書』 진위에 대한 연구물이 수입된 것이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특히 『古文尙書寃詞』가 문제가 되었다. 이를 통해 毛奇齡이 朱子의 견해를 부정한 사실을 인지한 학자들은 반주자학적 견해가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고 적극 대응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徐有?의 『古文尙書寃詞』 비판인 것이다. 이에 「與李愚山論尙書古文書」를 검토한 결과, 顧炎武와 朱彛尊의 견해에 의거해서 毛奇齡의 주장을 반박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孔安國本 晉代 존재, 孔安國本 전수 경위, 현존 孔安國本 진본 등 毛奇齡의 요지를 전부 파악하고 이와 상반되는 顧炎武와 朱彛尊의 견해에 의거해서 일일이 반박한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는 정조 연간 학자들이 반주자학적 학설로부터 주자학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朱子의 견해에 동의한 顧炎武와 朱彛尊의 견해를 수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청대 초기 학풍을 수용하고 소화해서 주자학을 보호하는데 활용하는 등 정조 연간 학풍의 구체적인 사례를 점검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Seo yu-gu(1764-1845)’s criticism of GuwenshangshuYuanci and early Qing academic tendency’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the case of Gu Yan-wu and Zhu Yi-zun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Because a trad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became active and an enormous amount of academic books such as Gu Yan-wu’s Ri zhi Lu, Zhu Yi-zun’s pushutingji, and Mo Ki-rung’s GuwenshangshuYuanci flew into Chosun, Korean neo-confucianists took interest in the authenticity of Guwenshangshu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 The highly controversial issue was Mo Ki-rung. Because his goal was to negate neo confucianism, Korean neo-confucianists hated his anti-neo-confucianism and books. A case in point was Seo yu-gu’s criticism of GuwenshangshuYuanci. After researching Seo yu-gu’s criticism of Mo Ki-rung,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 Seo yu-gu completely got his points such as Kong An-guo’s version was in Eastern Jin, it passed from one to one across the ages, a current version is authentic, and judged his anti-neo-confucian opinion by Gu Yan-wu and Zhu Yi-zun’s neo-confucian opinion. This implies that the Korean neo-confucianists hated anti-neo-confucianists, and judged them by neo-confucianists. This academic tendency is meaningful that Korean neo-confucianists had receptive to a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chieved a complete mastery and protected neo-confucianism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 KCI등재

        大東學會 漢文敎育 활동과 그 의도

        신재식(Jae-Sik Sh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大東學會 임원진의 대다수는 일제강점기 보수유림을 친일화하는 부역에 종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 조짐이 이미 대한제국 말기에 시작되며, 이를 파악할 단서가 그 한문교육 활동에 있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근대 법학 전문지식인 양성 사립학교인 大東專門學校를 개설 운영한다. 특기할 점은 ‘한문’을 필수 교과로 특설하고 유림 자제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는 데 있다. 대동전문학교 초대 한문강사가 작성한 한문교육 관련 작품의 모음이 바로 「學校試士雜文」이다. 이는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학교시사잡문」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한문 교과를 통해 유림 자제의 유교 이념을 강화하는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으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연대를 위한 지도층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대동학회 임원진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뉜다. 하나는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이고, 또 하나는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이다.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의 경우 한문 중심의 교육 정책의 기반, 이른바 文以載道의 이념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漢文이라는 언어를 곧 儒道 실현의 단서’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의 경우 전통 道學의 진리 구현, 이른바 修己治人의 방식을 내면화ㆍ현실화하는 유교적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자의 도덕 수양을 통한 사회 교화를 곧 통치 체제 확립의 관건’으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즉 ‘유교 통치의 정당화가 곧 유림 계층의 정당화’로 귀결되는바 결국 유교 체제의 존속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보수성은 대한제국기 시대적 변화로 인한 보수유림의 위기감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시사잡문」의 사례는 친일 보수유림의 견해가 당대 한치유ㆍ장지연ㆍ박은식ㆍ신채호 등 개신유학자의 견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조명할 수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근대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Great Eastern College is one of the significant activities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Curriculum Guide」, included in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agazine』, was written by Budangnoin, an instructor at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material that can show specific facts. It will examine the details of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becom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view of the ruling class and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which had a tremendous political influence at the time on education, talent, world, and politics.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Guide」, most of it incorporated traditional education (Chinese Classics and Taoism) into the modern school system,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astern Ideas Policy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This includes formal, writing, and content education, such as ethic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beginner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 The beginner’s course is about learning the basics, such as improving writing and reading and learning how to study. Its goal is to secure the imperativeness in educating Chinese classics and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advanced course. The advanced course is divided into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inciples it is about Confucian proprie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thics. It is like the stage of ascetic practice in Taoism, which intends to secure the personal ethical view of the ruling class. For applications, it is about historical lessons and social reformation. It is like the stage of practicing Taoist ideas, which intends to establish social leadership for the ruling class. Such Eastern ideas-centered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crisis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class, the Confucian scholars who wished to foster talented people to defend the Confucian system, the base of power.

      • KCI등재

        正祖 연간 『孟子』 註解 검토와 『日知錄』의 활용 사례에 대하여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正祖 연간 『孟子』 주해를 검토하고 그것과 관련하여 『日知錄』이 활용된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顧炎武 학문이 조선후기 경학에 미친 영향관계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실 顧炎武와 그의 저서는 조선 학계에 깊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예컨대 『古文尙書』 「大禹謨」는 心傳의 진위여부 및 이념체계의 존속과 관련하여 경학사에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 과정에서 顧炎武의 견해 역시 적지 않게 기여했다. 이에 四書와 관련하여 『孟子』에 대한 顧炎武의 견해가 조선후기 『孟子』 주해 검토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 『孟子』 주해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四書 이해의 가장 기본이 되는 텍스트가 校正廳本 『四書諺解』이고 교정청본의 저본이 胡廣의 『四書大全』이기 때문이다. 『四書大全』에는 적지 않은 오류가 있는데, 이는 顧炎武가 『日知錄』 권18 「四書五經大全」에서 지적한 바이다. 비록 이전에 교정청본 『孟子』 주해에 대한 문제점을 일부 지적했지만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데 正祖 연간에 들어서서 淸으로부터 『日知錄』이 유입되고 해당 조목을 접하면서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正祖와 관련 학자들은 『日知錄』의 『孟子』 관련 조목에 의거해서 기존 주해의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하고 『孟子』 연구에 참고한다. 기존 주해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검토한 하나의 계기가 바로 顧炎武의 『日知錄』이었던 것이다. 기존 학문상의 문제점 보완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顧炎武의 연구성과를 활용한 사례를 살핀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Ri zhi Lu'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reexamination of mengzi commentary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In late Chosun Dynasty, a trad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became active and an enormous amount of academic books such as Ri zhi Lu flew into Chosun. Following this trend, Korean neo-confucianists took much interest in Gu Yan-wu's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hing controversial about the Four Chinese Classics. Because Korean neo-confucianists took interest in the authenticity of Guwenshangshu concern with continued existence of neo-confucianism. Nevertheless, there was a problem with mengzi commentary. because the original script of Gyojeongcheong's Gyeongseo-Eonhae is Sishu-daquan. Gu Yan-wu said It has numerous interpretative errors. Although several neo-confucianists pointed out mistakes in a translation of Gyojeongcheong's Gyeongseo-Eonhae, had not a lively discussion about it.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neo-confucianists could see the real state of this problem by Ri zhi Lu. Upon this opportunity, King Jung-jo and neo-confucianists accepted Gu Yan-wu's opinions in order to reexamine and supplement of mistakes in a translation of mengzi commentary. This core was a praxis of Ri zhi Lu by Gu Yan-wu. This is meaningful that neo-confucianists had receptive to Gu Yan-wu's academic achievements in order to compensate this academic problem.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詩經』해설 방식과 의미

        신재식(Jae-Sik Shin)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 峿堂 李象秀(1820~1882)의 「讀詩隨筆」을 통해 그 『詩經』 해설 방식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상수는 조선후기 호론계 경학자이자 농암계 문학가이다. 그는 호론계와 농암계의 여러 문인 학자와 교유하면서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아우르게 된다. 이는 다양한 해설 방식을 경학 연구에 활용하는 계기가 된다. 그 대표적 사례가 「독시수필」이다. 「독시수필」은 『시경』 해설서이자, 소견·감상·의론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한 단편수필집이다. 이는 『시경』의 變風·變雅 중 위정자의 失政을 소재로 한 시구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사건의 배경과 인물의 심정을 분석하고 자신의 의론을 개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경학자의 식견 뿐 아니라 문학가의 면모를 아울러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독시수필」의 『시경』 해설 방식을 검토한 결과, 그 양상이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가 그것이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저작 시기에 근접한 사료를 논거로 삼아야 한다고 판단한 그의 고증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문학성을 ‘감정 이입을 통한 공감 유도’로 이해한 그의 수사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이상수의 경전 해설 방식은 호론계와 농암계의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계승 변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유연한 태도로 다양한 학설과 방식을 수용하여 활용하는 등 조선후기 변화된 학풍의 구체적 사례를 엿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ommentary on 『Shijing(The Classics of Poetry)』 through 「Dúshīsuíbǐ」 by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Sang-soo(1820~1882). He was a Horon scholar and a nongam literatur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associated with various litterateurs and scholars of the Horon and Nongam worlds, and combined the strengths of Philology and rhetoric.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use various commentary methods in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A typical example is 「Dúshīsuíbǐ」. It is a commentary on 『Shijing』, and a collection of short essays that describe opinions, impressions, and opinions in a free form. It is in the form of aimed at poems about the ruling party's mismanagement,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and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and advanced one's own opinion. This is a case that reveals not only the insight of a scholar of scripture but also the aspect of a wri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thod of its commentary on 『Shijing』,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consisted of two main parts. First,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narrative. Second,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lyricism. First, It is to secure the trust of the readers, and reflects his bibliographical opinion, which judged that historical records close to the time of the writing of 『Shijing』should be used as a basis. It was intended to elicit sympathy from readers, and his rhetorical view was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quality of 『Shijing』as ‘inducing empathy through empathy’. Therefore, his way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can be said to be a case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merits of Philology and rhetoric.

      • KCI등재

        대한제국기 관료 李重夏의 경전 강연 : 大東學會를 중심으로

        신재식(Shin Jae-sik),강명관(Kang, Myeong-k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大東學會는 1907년 중앙 유림 관료 집단이 결성한 보수 학술단체이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조선후기 집권층 유학자 출신으로, 東道西器論에 입각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국내외 정세의 격변으로 인해 그 기득권의 근간인 전통 체제가 위협을 받은 까닭에 그에 대응하는 정책을 구사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결국 일제 정치 유교 집단과 협력하여 대동학회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대동학회 강연회는 매주 유림 회원을 대상으로 유교의 윤리에 서학의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모임이다. 그 내용의 일부는 「講義錄」으로 요약되어 『大東學會月報』에 수록되기도 한다. 이는 일부 유림 세력의 지지를 받았고, 일제의 유림 회유 정책에 기여한다. 그 과정에서 경전강사 李重夏(1846-1917)가 활약한 것이다. 이중하는 대동학회에서 평가위원ㆍ경전강사ㆍ전문학교교장ㆍ교육과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면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학회 활동에 참여한 바 있는데, 특히 경전강사로서의 활동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강연의 주제를 보자면 그는 『論語』 7건(「爲政」 1건, 「公冶長」 1건, 「雍也」 1건, 「述而」 4건), 『中庸』 2건(17장ㆍ20장), 『孟子』 1건(「離婁下」) 등을 다루었다. 강연의 요지를 보자면 그는 유교 체제의 부흥을 국가 부흥의 관건으로 제시하고, 사족의 자격과 역할의 회복을 유교 부흥의 핵심으로 지목한다. 그러고는 전통 주자학의 修己治人 실현을 그 방도로 제시하고 그 실천을 권면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그 학문 사상의 연원인 율곡의 『聖學輯要』의 과정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論語』ㆍ『中庸』ㆍ『孟子』 등 여러 四書의 문구를 근거로 修己의 知行ㆍ立志ㆍ誠實ㆍ矯氣質과 治人의 用賢ㆍ取善 등 여러 聖學의 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회원에게 권면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대한제국기 정세에서 전통 집권층의 생존 전략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제에 부역하게 되는 대한제국기 집권층의 구체적 행동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aedong Hakho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is an academic organization established by a group of central Confucian officials in 1908. The leaders of Daedong Hakhoe belong to the Patriarch’s Faction, the mainstream powe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led the Gwangmu Reform based on the idea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For the traditional system,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was threatened due to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landscape at the time, they needed policies to cope with the changes. Eventually, they established Daedong Hakhoe in cooperation with Japan’s imperial political Confucian organization. The lecture meeting of Daedong Hakhoe gave lectures on how to incorporate Western Learning into Confucian canons every week for members of the association who are Confucian scholars. Some of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were summarized in the 「Gangeuirok (Lecture Notes)」 and inserted in the 『Daedong Hakhoe Wolbo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onthly)』. It was supported by some Confucian authorities and influenced Confucian poli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non lecturer Lee Joong-ha (1846-1917) made a huge contribution in that process. Lee Joong-ha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activities enthusiastically and continuously by serving in various important posts in the association, such as evaluator, canon lecturer, principal of college, and dean. In particular, he mostly served as a canon lecturer. Topics of lectures included seven topics (one on 「爲政 (Practice of Government)」, one on 「公冶長 (Gongye Chang)」, one on 「雍也 (Yong Ye)」, and four on 「述而 (Transmission of Learning)」)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wo topics (Chapter 7 and 20)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one topic (「離婁下」 (Part 2 of Lilou)) from 『Works of Mencius (孟子)』. As for the substance of the lectures, he suggested the revival of the Confucian system as the key to national revival and pointed out that the restoration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aristocrats as the core of the revival of Confucianism. He suggested the realization of the idea of ‘cultivating oneself before governing others’ of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hu Hsi as a way and recommended the practice of the idea.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is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Yulgok Lee Yi s 『Essentials of the Sage’s Learning』, which is the origin of that academic thought. In other words, he derived various learning processes, such as 知行 (Knowledge and Conduct), 立志 (Establishing an Aim in Life), 誠實 (Sincerity), 矯氣質 (Control of Emotion) for ‘cultivating oneself (修己)’ and 用賢 (Recruitment of Benevolent and Gifted People) and 取善 (gathering goodness) for ‘governing others (治人)’ based on the passages of the Four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and 『Works of Mencius (孟子)』, and recommended them to the association’s member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it clearly shows the survival strategy of a group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under the political circumstanc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고증학(考證學)과 염약거(閻若璩)

        신재식 ( Shin Jae-si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이 논문은 閻若璩(1636-1704)의 考證學이 조선후기 경학에 미친 영향력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후기 지식인은 당시 淸나라의 고증학보다는 주자학과 관련이 있는 明末淸初의 고증학에 더 큰 흥미를 느꼈다. 그 대표적 사례가 염약거의 고증학 수용이다. 염약거의 학술서는 『尙書』ㆍ『四書』 등 경전에 대한 기존의 의혹과 오해를 고증학적 연구방법으로 해명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조선 지식인은 『四庫全書簡明書目』ㆍ毛奇齡ㆍ徐乾學ㆍ魏禧 등의 저술을 통해 염약거와 그 저술의 존재를 파악하고는 청나라를 왕래하는 사신을 통해 관련 서적을 입수한다. 『尙書古文疏證』 8책ㆍ『四書釋地』 4권ㆍ『潛邱札記』 6권 등이 그것이다. 조선후기 지식인이 주목한 염약거의 고증학설은 逸書復元, 言語慣習, 文物制度, 古文僞作, 朱說批判이다. 염약거는 금본 『尙書』가 고본 『尙書』와는 그체제, 구성, 문자 등의 차이가 크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輯逸과 校勘을 통해 고본 『尙書』의 원형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염약거는 경전과 사서에 자주 등장하는 언어관습과 문물제도 등이 경전의 문구를 해석하는 단서가 된다는 점을 간파한다. 또한 염약거는 주자가 의혹한 이래로 학계의 논란이 된 『古文尙書』의 위작을 확정한 바 있는데, 조선 지식인은 주자의 정설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를 수용한다. 끝으로 염약거는 여느 명말청초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유가의 실천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그 근거를 제공하는 경학 연구에 전념하는데, 특히 주자설의 실증적 오류를 비판하고 보완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인다. 조선 지식인은 대체로 염약거의 고증학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단지 비평하거나 참고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그것을 발전시켜 새로운 논의를 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염약거 고증학 수용 양상은 조선 지식인이 주자의 실증적 학문태도를 이해하고 일부 실증적 결함을 보완하여 주자학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참고하기에 적절한 학설로 인식한 사례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Chosun Dynasty(朝鮮後期). Orthodox-neo-confucianists of the Joseon Dynasty had a great interest in a bibliographical study of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because it related to Orthodox-neo-confucianism(朱子學). Embracing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can be an example. The purpose of him study is to explain academic questions of chineses classics. Joseon’s neo-confucianists often saw scholarly tomes of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on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and purchased his scholarly tomes from envoys of Qing dynasties such as chángshuguwenshuzhèng (尙書古文疏證), Sìshushìdì(四書釋地), qiánqiuzhájì(潛邱札記). After researching yánruòqú's influence of late Chosun Dynasty.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Excavating and restoring complete books of chineses classics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Sheding light on important clues of curation of Confucian texts such as cultural practices, languages, customs.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oris of Orthodox-neo-confucianism through his theoris of chineses classics. Joseon’s neo-confucianis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oris of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and developed that.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論語』 해석과 朱子學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경화사족의 핵심인 老論系는 중앙정계에서의 위상을 공고화하려는 욕망으로 인하여 그 근간인 주자학의 학술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심화시킨다. 이상수는 老論系 학자로 湖論 韓元震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다. 朱子는 『四書』에 경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이를 주석한 『四書集註』를 편찬하여 주자학 이론의 근거로삼는다. 그러나 『論語集註』의 경우 주자가 초년에 그 초고를 완성한 이래로 장기간수정의 과정을 거친다. 그 사이에 일부 견해의 변화가 생겨서 초년의 설과 충돌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는 반주자학파의 비판 대상이 된다. 문제는 이것이 주자 설의의미를 왜곡시켜 주자학의 대의를 오인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상수가 「論語筆程」을 집필한 동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그는 『論語集註』 보완과 해명을 위해 다양한 해석 방식을 활용한다. 문리에 대한체계적 분석, 이설에 대한 실증적 비판이 그것이다. 문리에 대한 체계적 분석의 사례는 『論語』 전편의 구성과 문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단서로 주요 개념의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 결과 『集註』의 주자설을 활용하여 『論語』 전편의 구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論語』와 『集註』의 주요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이설에 대한 실증적 비판의 사례는 반주자학설의 핵심논거인 古注의 설을 실증적 논거로 비판하고 이를 단서로 주자주를 변호하는 것이다. 그 결과 이로써 반주자학설에 대응할 실증적 논거를 주자학자에게 제공할 수있었다.특히 ‘주자의 정론이 다 최초의 견해로 귀결된 까닭에 『集註』가 해석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 韓元震의 학설을 추종하여 『集註』를 기준으로 삼고 실증적 논거를 가지고 그 결점을 보완한 점, 편장의 구성 뿐 아니라 자구의 호응에 주목하여그 함의를 세밀히 분석한 점 등의 특징이 다 그 제자인 朴文鎬의 경설과 어느 정도일치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 관계를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상수의 『論語』해석 사례는 老論 湖論系 경학의 계승 양상과 그 실체를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The circle of Patriarch’s Faction in late Joseon Dynasty becam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a stronger Neo-Confucian system and promoted the intensification of the doctrine by using various methods. In other words, they decided to supplement the incomplete Neo-Confucian theory to protect it against criticism and confirm it as the established theory of Chutzu to strengthen its point. Sang-soo Lee (1820-1882) is a scholar of the Patriarch’s Faction and succeeded to the scholastic mantle of Won-jin Han who represents Ho Faction. Chutzu gave the 『Four Books (四書)』 the status of a Confucian classic and compiled the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四書集註)』, making it the basis of the Neo-Confucian theory. Meanwhile, the 『 Commentaries on the Analects (論語集註)』 often becomes the subject of criticism for having incomplete parts for it was compiled earlier. The problem is that it distorts the great cause of the Neo-Confucianism. This motivated Sang-soo Lee to write the 「View on the Analects (論語筆程)」. Lee used various methods to supplement the 『Commentaries on the Analects (論語集註)』, such as the analysis of the classic, criticism on old annotations, and expatiation on the commentaries. The analysis of the classic is about analyzing the 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essentials and doctrines of the entire 『Analects (論語)』 and each component of the verses and their composition. The criticism on old annotations is about criticizing the theory of old annotations which form the basis of argument of anti-orthodox-Neo-Confucianism. The expatiation on the commentaries attemp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Chutzu’s annotations. These are the appropriate examples for examining Lee’s view on Confucian classic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how the Confucianism developed within Ho Faction of Patriarch’s Faction for they show different interpretational methods and types.

      • KCI등재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정조 연간의 『春秋』 역법 이해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日知錄』의 수용 사례를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조 연간 『日知錄』 등과 같은 淸代 考證學 관련 서적이 대거 청나라에서 유입되면서 실증적 학풍이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春秋』와 같은 역사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시점을 확정짓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유사한 시기의 텍스트와 비교 검토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고증학적 연구방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顧炎武의 설에 입각한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는 청대 고증학풍 수용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정조 연간 학자들의 『春秋』 역법 이해에 대해 검토한 결과 『日知錄』의 견해를 대거 수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正祖, 成海應, 徐有榘 등은 『日知錄』을 통해 각국이 별도로 각자의 역법을 사용하였다는 설, 정삭을 고치면 계절과 월호도 바뀐다는 고염무의 설을 인지하였다. 이는 정조 연간 『春秋』 역법 이해에 있어 과거 胡安國의 주관적 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던 풍조를 비판하고 실증적 학풍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염무의 『日知錄』이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선 학계가 유연한 자세로 청대 실증적 학풍을 소화하여 기존 문제를 비판하고 보완해 나가는 과정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Ri zhi Lu'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chūnqiū's calendar in late Chosu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 a trad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became active and an enormous amount of academic books such as Ri zhi Lu flew into Chosun. Following this trend, scholars officially took much interest in a positive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To understand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e one most important fact is providing a single point of event. To do so, we have to contrast it with texts of a similar period. This way is closely related to bibliographical study of Qīng Dynasty. So,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rough Qing Dynasty scholar Gu Yan-Wu's theories are one of accept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fter researching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chūnqiū's calendar,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All country of Xia Shang Zhou period had each calender. If some dynasty amend former dynasty's calendar, season and month will be changed. This implies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criticized non-critcal study attitudes such as Hu An-guo because of Ri zhi Lu. This an academic tendency is meaningful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had receptive to a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nd achieved a complete mastery.

      • KCI등재

        주자(朱子)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에 대한 어당(峿堂)의 수사학적 독법

        신재식 ( Shin Jae-si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7 No.-

        峿堂 李象秀(1820-1882)는 老論系 문인으로 唐宋派 문학론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그는 당송파 문학론의 수사법에 주목하여 이를 활용한 산문 독법을 고안하고 이를 독해에 적용하는 지침서를 집필하였다. 그 「大學章句序讀法」은 당송파 문학론의 수사법을 朱子의 「大學章句序」 독해에 적용한 지침서로, 당송파 문학론의 계승 양상 뿐 아니라 조선후기 산문의 수사법과 학습법까지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이다. 이상수는 「大學章句序」에 수사학적 기법이 동원되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를 단서로 「大學章句序」의 문장을 분석하여 大註와 小註의 형태로 부기함으로써 독해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분석의 과정을 재구한 결과, 그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구성을 통한 주제의 장악, 기교를 통한 의도의 포착, 부연을 통한 함의의 명료화 등이 그것이다. 즉 「大學章句序」의 종지와 골자를 포착하고 이를 단서로 각 단락과 그들 간의 호응 관계를 파악하여 그 전체의 구성과 요지(1단 大學의 정의, 2단 고대 大學의 敎法, 3단 孔子의 大學 전수, 4단 후대 大學의 폐지, 5단 二程의 대학 표장, 6단 朱子의 장구 저술)를 정리한 것, 그 다양한 수사학적 기교(기세, 반복, 대조, 과도, 어감 등)를 포착하여 작자인 주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단서로 활용한 것, 그 주제(『大學』의 ‘明德’ · ‘三綱領’ · ‘八條目’, 朱子의 『大學』 改正, 異端 등)와 관련한 다양한 소재마다 자세한 해설을 부가하여 그 함의를 명료히 함으로써 수사학적 분석을 보조한 것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이상수는 문학의 수사학적 분석을 학문에까지 적용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성과는 창작과 독해 역량의 증진이라는 당대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적절한 대안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것이 단지 이상수의 사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제자인 朴文鎬의 경전 해석에 전승되는 등 조선후기 경학의 연구방법론 발전에 다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문학과 학문을 아우르는 사적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Lee Sang-soo (Eodang) (1820-1882) is a literary man of the Old Doctrine Faction who developed theories on Tang-Sung literatures. Focusing on the rhetorics of the Tang-Sung literatures, he devised a way of reading prose using the rhetorics and wrote a guideline about applying it to reading. The 「Way of Reading the Preface of the Commentaries on the Great Learning (大學章句序讀法)」 is a guideline that applied the rhetorics of the Tang-Sung literatures to the reading of Zhuzi’s (朱子) 「Preface of the Commentaries on the Great Learning (大學章句序)」 and provides a proper source to examine the trend of carrying on the legacies of the Tang-Sung literatures as well as the rhetorics used in the prose in the late Joseong Dynasty and the learning method. The reconstruction of the analytical process of his way of reading revealed its characteristics, largely divided into three: domination of the theme through composition, capture of the intention through technique, and clarification of implication through elaboration. In other words, he captured the cadence and gist of the 「Preface of the Commentaries on the Great Learning (大學章句序)」 to use them as the clue to grasp the respons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ach paragraph to put together the entire composition and substance, captured various rhetorical techniques to use them as the lead to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author, Zhuzi, and added detailed interpretations to each material related to the theme to clarify their implications to complement rhetorical analysis. As described, Lee Sang-soo extended the rhetorical analysis of literature to the learning, maximizing its application. Therefore, this achievement is deemed a proper alternative to the challenge of the times; promotion of creative and reading capa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