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빈곤한 사별여성의 자립지원방안

        신은주 평택대학교 2001 論文集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편모의 자립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사별의 실태와 각각의 여성들이 경험하는 문제를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분석을 통해 사별여성들의 구체적인 생활실태와 욕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 이들에게 적합한 자립지원정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지금까지의 정책은 편모에게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근로자로서의 역할수행을 지원하고자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두 가지의 역할 모두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였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인 대안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비취업 대상 모자가정과 여성 생계책임자 가정에 대한 특별 지원을 한다. 비취업 대상 모자가정이나 여성이 생계를 책임지는 가정은 현재의 빈곤상태를 극복할만한 충분한 근로능력을 갖고 있지 못�. 따라서 이들은 배우자가 있는 가정과 비교해 만성적 비곤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다시 말해 근로능력은 부족하지만 경제활동에 대한 욕구는 매우 크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들 비취업 대상 여성들이 자활공동체사업이나 자활공공근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아동보육서비수, 간병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의료지원 등 근로 활동에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서비스지원은 취업대상 여성에게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비취업 대상 여성의 경우 취업대상 여성에 비해 개인적, 가족적 환경이 더욱 열악하기 때문에 더욱 세심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적 단위의 사회서비스 지원망 즉 사회적 인프라가 공고해져야 한다. 둘째, 가사노동의 사회화를 통한 여성 취업과 직업교육 기회를 확대한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방해하는 자녀 양육이나 가족원 간병 등의 가사노동 문제를 아동보육서비스, 간병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의료지원 등의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해결하여 빈곤여성에게 취업과 직업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가사 노동의 사회적 지원은 여성의 역할을 가사노동에 국한시키는 전통적 성 역할 분담체계를 극복하고 양성평등 모데을 지향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동시에 현실적으로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의 전제 조건이 된다. 셋째, 여성가구주 가족의 자립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이 증진되어야 한다. 특히, 자녀가 있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 실행되어야 한다. 혼자 사는 여성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즉 미국의 법원에서 이혼을 하고자 하는 부부를 위해 단기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처럼 여러 민간단체에서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면, 언제 어느 곳에서 사별 혹은 이혼을 경험했던 간에 가까운 단체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자치단체를 지원할 때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포함시켜야 한다.

      • KCI등재후보

        협업을 위한 공동 작업용 마인드맵도구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신은주,최자령,임수지,임지수,최유진,임순범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Mind map is a very useful technique for brainstorming. Therefore,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ollaboration as a creative group conception. However, existing mind map software is not possible to collaborat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hare mind map or discuss among member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ind map system that can support collaborative work as well as individual authoring and editing. This can incorporate individual mind maps of members into mind map of team, share and discuss them, and modify the mind map. This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ogram installation, and verifies usability to support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cess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마인드 맵은 브레인 스토밍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따라서 집단적 창의적 발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마인드 맵 소프트웨어는 마인드 맵을 공유하거나 구성원 간의 소통을 통해 마인드맵을 통합하기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마인드 맵 소프트웨어의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헙업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마인드맵을 편집 및 작성하고, 마인드맵을 통합하며, 마인드맵 편집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본 마인드맵 시스템이 협업을 지원하는데 효율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전남지역 장원질소리의 유형별 분포와 음악 고찰

        신은주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전라남도 지역은 논농사가 매우 발달된 지역 중 하나로, 다양한 논매는소리가 존재하였고, 그에 대한 채록 작업 및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고는 그 중 연구가 미진하였던 논매고 돌아올 때 부르는 소리인 장원질소리에 대해서 소리 유형별로 지역적 분포와 음악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간의 전남 지역 농업노동요 채록 자료를 망라하여 보면, 전라남도 장원질소리는 총 23유형의 소리가 발견된다. 가장 많이 불리는 소리는 함평을 중심으로 영광, 무안, 장성, 광주, 나주, 영암 등 서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애롱대롱>이며, 두 번째로는 서남부의 진도, 해남, 신안, 고흥 지역의 <질꼬내기>, 그 다음은 중부 지역인 담양, 곡성, 보성, 화순의 <산아지타령>이다. 이 세 소리가 발견되는 지역에 따라 전남의 장원질소리는 서북부지역의 애롱대롱권과 서남부지역의 질꼬내기권, 중부지방의 산아지타령권으로 나뉘어 소리 구분이 이루어지고, 동부 지방인 구례, 순천, 광양, 여수 등지에서는 장원질소리가 채록되지 않았다. 서북부지역에서 불리는 또 다른 소리는 <절사소리>, <우야헤하일로> 등이며, 서남부 지역에서는 <제화소리>가 발견되고, 중부 지역은 <두룸박타령>, <어리롱타령>, <양산도> 등 가장 많은 유형의 소리가 채록되었다. 이처럼 전남 서북부, 서남부, 중부 지역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소리가 불리는 것은 모찌는소리나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등 다른 농업노동요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서부와 동부의 소리 양상의 차이는 평야와 산간으로 구분되는 전남의 지형에 그 원인이 있기도 하다. 소리 유형에 따라 구분된 권역별로 전남 지역 장원질소리의 음악 특징을 살펴보면, 박자와 토리 등이 각 권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성을 보인다. 서북부 지역의 소리 중 가장 대표적인 곡인 <애롱대롱>은 긴소리와 자진소리로 나뉘어 긴소리는 3소박 3박자 및 3소박 자유박에 부르며 육자백이토리는 물론 경토리 및 남부경토리도 사용하고, 자진소리는 3소박 4박자의 육자백이토리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 서북부 대부분의 소리들은 3소박 4박자와 육자백이토리를 사용하여 전남 지역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소리하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지역 음악 어법에 충실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남부 지역은 박자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3소박 2박자, 3박자, 4박자, 6박자형이 존재하고, 토리는 대개 육자백이토리에 비교적 단순한 선율 형태를 갖지만 사당패소리에 근거한 <질꼬내기>는 경토리를 사용한다. 중부 지역은 3박자 계통이 많고 <두룸박타령>만 3소박 4박자에 소리하며, 토리는 육자백이토리를 사용하나 구성음과 시김새면에서 약간 변화된 형태를 띠는 곡들이 많고, <양산도>는 경토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각 권역별로 음악 형태가 구별되는 것은 이들 소리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데 연유한 것으로, 서북부 지역의 장원질소리는 대개 그 기능이 장원질소리로만 불리며 지역에서 형성되어온 소리들 위주이고, 서남부 지역은 다른 기능을 가진 소리들이 장원질소리로 전용(轉用)된 경우가 많으며, 중부 지역은 모찌는소리 및 논매는소리 등 농업노동요로 전라도 지역에서 널리 불리는 소리 및 사당패소리에 근원들 둔 소리들이 장원질소리로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전라남도 지역 장원질소리는 이와 같이 각 권역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의 소리가 존재하고, 각각 다른 근원적 배경과 음악 특성을 갖고 있... Jeollanam-do area is one of the areas where rice farming is very developed, thus there are many rice farming songs. And the recording and research of songs have continued. Jangwonjil Sori is one of such rice farming songs that have not been studied fully. And this study examine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Jangwonjil Sori by type. There are 23 types of Jangwonjil Sori in Jeollanam-do. The most popular song is Aerongdaerong which is found in the northwestern area of Jeollanam-do including Yeonggwang, Hampyeong, Muan, Jangseong, Gwangju, Naju, and Yeongam. The second most popular song is Jikkonaegi fou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Jeollanam-do including Jindo, Haenam, Sinan, and Goheung. And the third most popular song is Sanajitaryeong found in the central area of Jeollanam-do including Damyang, Gokseong, Boseong, and Hwasun. Geographical location of Jangwonjil Sori of Jeollanam-do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of northwestern area, southwestern area and central area.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nam-do including Gurye, Suncheon, Gyangyang, and Yeosu, Jangwonjil Sori has not been recorded. In the northwestern area, Jeolsa Sori and Uyahehailro are also found and in the southwestern area, Jehwa Sori is also found. And in the central area, Durumbaktaryeong, Eorirongtaryeong, and Yangsando are found. The way different types of songs are found in the different areas of northwestern, southwestern and central areas of Jeollanam-do is the same with other farming songs. Division of east and west is caused by the geography of Jeollanam-do that is divided into plains and mountains. Jangwonjil Sori of Jeonnam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eat and Tori differ slightly by region. For example, Aerongdaerong, one of the major songs of northwestern area of Jeonnam, uses Ginsori and Jajinsori. For Ginsori, 3 smallbeat 3 beat and 3 smallbeat free beat are used and Yukjabaegitori, Gyeongtori, and Southern Gyeongtori are used as well. For JajinSori, Yukjabaegi consisting of 3 smallbeat 4 beat is used. However, other songs use 3 smallbeat 4 beat and Yukjabaegitori, which is the most basic type used in Jeonnam. Overall, the songs faithfully follow the local musical characteristics. But in the southwestern area, various types of beat are used including 3 smallbeat 2 beat, 3 beat, 4 beat, and 6 beat and for Tori, Yukjabaegitori, a relatively simple tune, is used. But Jilkkonaegi, which is based on Sadangpae Sori, uses Gyeongtori. In the central area, mostly 3 beat is used. Only Durumbaktaryeong uses 3 smallbeat 4 beat and for Tori, Yukjabaegitori is used. But component sounds and ornaments are changed in many songs and Yangsando uses Gyeongtori. The reason why songs are different by region is that these songs have different backgrounds. Jangwonjil Sori of northwestern area are sung as Jangwonjil Sori only while songs with other functions are sung as Jangwonji Sori in the southern area. And in the central area, labor songs such as Jangwonjil Sori and rice farming songs are based on the songs and Sadangpae Sori sung widely in the area. Jangwonjil Sori is not just pungmul songs sung when the farmers return from the rice paddy. It is a song farmers sung to cheer and encourage each other around the harvest time. The fact that more than 20 types of Jangwonjil Sori remain in Jeonnam proves that Koreans valued community spirit and fun. Each region has a unique type of songs and each region formed a unique cultural zone as the songs of each region have unique background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songs not covered by this study need to be studied in depth through field stud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ngwonjil Sori and other folk songs with different functions and studies comparing Jangwonjil Sori of Jeonnam with that of other areas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단가 <옥루사창(인호상이)> 연구

        신은주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1 No.-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an-ga and new pieces were reproduced continuously by borrowing lyrics of several dan-ga. Specifically, in 1930s, lots of new pieces of dan-ga appeared and became popular with people greatly. However, considerable number of such pieces is not sung today and compared with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dan-ga repertoire reduced significantly. <Oclusachang>, the subject of this study appeared in 1930s and it was sung actively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but few people sing it. When examining performance of <Oclusachang> at that time through radio broadcasting at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P album record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it was found that <Oclusachang> appeared in broadcasting in 1934 for the first time. In 1934 and 1935, <Oclusachang> was performed most actively and since then it reduced gradually. <Oclusachang>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was performed by women and records of Kim So-hee, Lee So-hyang, Lim So-hyang, Cho So-ok in broadcasting and album were found and Ju Ran-hyang and Park Cho-sun sang <Oclusachang> several times via radio broadcasting. However, most of them seem not to make it their favorite piece of music. When examining words and characteristics of <Oclusachang>, through old album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it was found to have similar forms at large. In words, lyrics of Kim So-hee, Shin Sook, Cho Geum-ok, Ju Song-sa and Lee So-hyang showed nearly same flow but there was only increase or decrease of words depending on singers. <Oclusachang> was reorganized by accepting several pieces of music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The first part is words of <Sonyunhaengraki da jinkeodeun>, saseolsijo and in the second part, it passes to words of <Baekguga>, dan-ga and organization of second part is similar to that of <Dalgeori> and <Gangsangpungwol>, dan-ga. In terms of music, in <Oclusachang>, there is some change depending on singers and considering that similar melody flow and butimsae are shown, it seems that they belong to the same family. Whereas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various dan-ga existed in several versions and lots of pieces were produced in a form of continuous reorganization, <Oclusachang> performed by five singers recognized by old albums showed nearly same flow in terms of lyrics and music, it seems that <Oclusachang> failed to form various derivations. Meanwhile, sound source of <Inhosangi>, gayageum byeongchang performed by Chung Dal-yeong has been handed down and it is not possible to find out when it was recorded but it has melody which is greatly different from <Oclusachang>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and shows genr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byeongchang. In <Oclusachang> that appeared in the middle of 1930s, only gayageum accompaniment was insert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when it was performed in a form of dan-ga or gayageum byeongchang but as time passed, <Oclusachang (Inhosangi)> performed as byeongchang revealed characteristics of byeongchang and overall melody became simple and sound tun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gayageum technique. 20세기 전반은 오늘날에 비하여 훨씬 다양한 단가가 존재하였고, 여러 단가의 사설을 차용하여 새로운 악곡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다. 특히 1930년대에는 새로운 단가 작품이 대거 출현하며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이들 작품 중 상당수는 오늘날 잘 연행되지 않고, 20세기 전반에 비하여 단가 레퍼토리가 대폭 축소되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단가 <옥루사창> 역시 1930년대 등장한 단가로, 20세기 전반 활발히 연행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부르는 이가 없다. 20세기 전반 경성방송국 라디오방송 및 SP음반 발매 기록을 통해 이 무렵 단가 <옥루사창>의 연행에 대해 살펴보면, 1934년 처음 방송 기록이 나타나고, 가장 활발하게 연행된 시기는 1934년과 1935년이며, 이후로 조금씩 감소한다. 단가 <옥루사창> 고음반 역시 1935년과 1936년에 집중적으로 발매되었다. 당시 악곡명으로는 <옥루사창>, <인호상>, <인호상이>, <인호상이 자작하야>의 다양한 형태가 혼용되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악곡명은 <옥루사창>이다. 경성방송국 기록에 의하면 이 단가가 등장한 1934년과 1935년 무렵에는 <인호상이 자작하야>라 하여 노랫말의 첫 구를 딴 악곡명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후로 점차 <옥루사창> 이라는 악곡명으로 정착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특징적인 것은 단가 <옥루사창>을 노래한 이들이 모두 여성 창자들이라는 점인데, 김소희, 이소향, 임소향, 조소옥은 방송과 음반 기록이 모두 발견되고, 주란향과 박초선은 라디오 방송으로 여러 차례 단가 <옥루사창>을 불렀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 단가 <옥루사창>외에 다른 단가를 부른 기록이 더 많이 발견되는 점에서, 단가 <옥루사창>은 이들에게 여러 레퍼토리 중 하나일 뿐, 가장 즐겨 부른 악곡은 아니었던 듯 하다. 20세기 전반 고음반을 통해 단가 <옥루사창>의 노랫말과 음악 특징을 살펴보면, 대체로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먼저, 노랫말은 김소희, 신숙, 조금옥, 주송사, 이소향의 사설이 거의 같은 흐름을 보이고, 창자에 따라 약간씩 노랫말의 가감이 있을 뿐이다. 단가 <옥루사창>은 당시 유행하던 여러 악곡의 노랫말을 수용하여 재구성된 형태로, 김소희의 소리에만 존재하는 도입부의 “옥루사창 화류중으 백마금편 소년들아”는 편수대엽에 얹어 불리던 김태석의 시조 <옥루사창>의 일부이다. “인호상이”로 시작하는 전반부는 사설시조 <소년행락이 다 진커든>의 노랫말이며, 후반부에 단가 <백구가>의 노랫말로 넘어가는데, 후반부의 구성은 단가 <달거리> 및 <강상풍월>과 유사성을 띤다. 음악적으로도 단가 <옥루사창>은 각 창자에 따른 약간의 변화들만 있을 뿐, 전체적으로 유사한 선율 흐름 및 붙임새를 보이는 바, 동일 계보의 소리로 판단된다. 20세기 전반 다양한 단가가 여러 버전으로 존재하였고, 끊임없이 재구성의 형태로 수많은 작품들을 파생해 내었던 것과는 달리, 고음반을 통해 확인된 다섯 창자의 단가 <옥루사창>이 사설 및 음악적으로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파생을 이루지는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정달영의 가야금병창 <인호상이> 음원이 전하는데, 정확한 녹음 시기는 알 수 없으나, 20세기 전반의 단가 <옥루사창>과는 매우 다른 선율로 이루어져 있고,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이 두드러진다. 1936년 단가 <옥루사창>을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녹음했던 이소향 역시 가야금병창으로 이 곡을 부르기도 하였는데,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