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장애선수들의 운동에 따른 경구 당부하 검사에 대한 당과 인슐린 반응 개선 효과

        신윤아,홍상민,이준희,이재원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glucose and insulin level at rest and after exercise, and the association among glucose metabolism,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itochondrial DNA amount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with athletic experience comparing to non-SCI control and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training on SCI. Twelve men with SIC (age range, 20-40y) and ten age-matched non-SCI comparis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I and non-SCI individuals undergo an incremental exercise test to exhaustion arm crank ergometer. The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to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measured at rest and after exercise test.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to OGT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point in both of rest and after exercise. Howev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and the interaction group and time in both of rest and after exercise. In conclusion,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SCI who the regular exercise could ameliorate the negative effect of physical inactivity and lose of lower muscle mass after SCI on insulin-mediated glucose metabolism during rest and exercise. 이 연구는 척수장애를 가진 선수들의 안정 시와 운동 후의 포도당과 인슐린 수준, 그리고 심폐능력 및 미토콘드리아 DNA 양을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척수장애인들에게 규칙적인 운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들은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척수장애인 선수(​​20-40세, n=12)와 동일한 연령의 좌업생활자인 비장애인(n=10)으로 하였다. 척수장애인 및 비장애인은 암 크랭크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탈진 시까지 점증적인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75g 경구 포도당 당 부하 검사(OGTT)에 대한 포도당 및 인슐린 반응은 안정 시 및 운동 검사 후에 측정되었다. OGTT에 대한 포도당 및 인슐린 반응은 안정 시 및 운동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안정 시와 운동 후 집단 간 및 집단과 운동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규칙적인 운동은 척수장애 후 신체적 비활동과 하지의 근육량 감소에 따른 안정 시와 운동 중 인슐린을 매개한 당 대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신윤아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4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cle activity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 subjects with or without scapular winging. [METHODS] 40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to 30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24.70±1.38years) and scapular winging group(26.88±1.73years). The subjects performed SSUP, SSTP, LSST2, LSST3 of clinical test for determine the asymmetry.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anterior serratus during 6 rehabilitation exercise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SUP, SSTP, LSST2, LSST3. Lower trapezius activity and UT/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Anterior serratus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on push-up plus and UT/S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push-up on the ball. The exercises of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were found to be the effective on UT/LT ratio and dynamic hug, push-up plus, push-up on the ball were found to be the effective on UT/SA ratio. [CONCLUSION] The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upper trapezius and lower in the lower trapezius and anterior serratu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is needed to improve for muscle balance and trainer should have a preference for exercise with high activation of the LT and SA and low activity of the UT. [서론] 이 연구는 어깨뼈 익상을 가진 환자와 정상인을 비교하여 재활운동 동작 시 어깨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고 재활운동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대상자들은 20~30대의 남자대학생들로 총 40명이 참여하였으며, 정상군(24.70±1.38세) 20명과 어깨뼈 익상군(26.88±1.73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깨뼈 비대칭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SUP, SSTP, LSST2, LSST3의 임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재활운동 7가지 동작에 대한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어깨뼈 위치 검사 결과는 SSUP, SSTP, LSST2, LSST3에서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깨뼈 익상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재활동작에 따른 근활성도는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과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에서 아래등세모근 활성도와 UT/LT비율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ush-up plus 동작에서는 앞톱니근 활성도가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고, push-up on the ball에서는 UT/SA비율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UT/LT비율이 가장 좋은 동작으로는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동작으로 나타났으며, UT/SA비율이 가장 좋은 동작으로는 standing dynamic hug, push-up plus, push-up on the ball동작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반적으로 어깨뼈 익상군은 어깨 재활운동 동작에서 위등세모근의 과발현과 아래등세모근 및 앞톱니근의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깨 재활운동 동작 시 이러한 불균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동작들을 선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Physical Activity Time is the most Important of Mortality Risk Reduction in over Middle Aged

        신윤아,최원호,김재현 융합연구학회 2022 융합연구학회지 Vol.6 No.2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inuation, frequency, and time of physical activity after middle age on all-cause of mortality, and to deter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at should be recommended to Korean adults to reduce total mortality. Data of 3,871 participants in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who reported exercise habit at 2006 and follow-up until 2018 were analyz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chi-square tests to estimate the annual changes in probability of mortality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fully adjusted model,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time and all-cause mortality was statically significant. With every 1-minute rise, hazard ratios (HRs) was 0.003 times lower (p = 0.019) for all-cause mortality. However, no significantly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and dur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This study found that approximately over 65 min/week of physical activity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r duration of physical activity reduced all-cause of mortality in Korean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45 years or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