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애인생산품 유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를 중심으로-

        신원우 ( Shin Won Woo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4

        제점을 파악하고 마케팅 관점에서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8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시설 및 장애인근로자와 중증장애 인근로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및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의 의무구매비율(1%) 미충족, 생산자와 수요자간의 품목 불균형, 생산시설과 판매시설간의 상호연계 부족, 장애인생산품의 품질 개선 요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및 공공기관의 의사결정자들의 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가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등을 통하여 중증장애인생 산품 구매에 대한 제반 지원이 명문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생산시설의 생산품 품질관리 및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내 관련된 전문인력의 재능기부 참여를 통한 자체적인 개선 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일반 소비자도 중증장애인생산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of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in affirmative action in Korea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suggestions for employment policy for disabled people. Since 2008, the sales figure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agencies, which have legal obliga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has increased sustainedly.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roduct facilities and severe disabled workers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of sales figure.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non-fulfillment of the legal obligation of sales (1%), product imbalanc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lack of interconnectedness between product facilities and sales facilities, and poor quality of products. The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most desirable to strengthen publicity targeted for decision-makers of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and marketing system in product facil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urchase system for purchasers in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general consumers such as e-business purchasing system.

      • KCI등재후보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 차이에 관한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 KCI등재후보

        알코올의존 노숙인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3개월 입소유지자의 심리사회적 변화를 중심으로

        신원우 ( Won Woo Shi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지역과 세계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의존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숙인의 회복에 필요한 다양한 심리사회적 변화를 3개월 입소기간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근거로 알코올의존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 노숙인 전문재활쉼터의 입소자 16명의 입소 직후와 3개월 시점에 측정한 자존감, 금주 자기효능감, 변화단계, 치료공동체 회복과정을 대응표본 T-test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자존감과 금주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화단계의 하위 영역(인식, 양가성, 실천)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회복과정에 대한 분석에서 CAI와 SAS의 일부 영역과 전체 합산값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변화가 제한된 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와 실천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psycho-social changes of homeless participants in a therapeutic community(TC) of alcohol dependence program for three month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analyze the particular changes under the treatment in order to expect the effect of the program- abstinence of alcohol and rehabilitation.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 first three months are critical points to the effect of alcohol dependency treatmen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C program, 16 homeless persons who joined a therapeutic community for three months were measured by scales concerning self-esteem, abstinence self-efficacy, the stages of change and recovery process(CAI, CAS, SAS). And paired groups t-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ients` self-esteem, abstention,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positive change. Second, the stage of the change process(recognition, ambivalence, taking steps) did not appear in the analysis. Finally, the changes of part of CAI and SAS and total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Through these results,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 is somewhat effective to handle the participants` psycho-social change positively. The study implies the effect of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 and suggests practice implication and limitation.

      • KCI등재

        심리적 취약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신원우(Won-Woo Shi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This study analysed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motives between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and alcohol problems. Data included 384 community dwelling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a community survey. This study analysed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motiv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6.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which included depression and stress influenced drinking motives. Second, various drinking motives influenced the alcohol problem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that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influenced the alcohol problem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These findings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alcohol problem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