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애경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on combustion. For this study, concept test on combustion was administered to 19 elementary 100 신애경*(예) 필요한 경우 3줄 이내로 간략하게 작성한다gifted students. The test composed of 6 item: ‘Definition of combustion’,‘ The reason why a candle in a glass bottle is blown out when the bottle was closed’,‘ The change of gases in the bottle when a candle burns in it’,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candle’, ‘The combustion products of steel wool’, and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substance’. The answer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were analyzed by scientific concept, partial concept, and miscon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who had scientific and partial concepts on combustion were very low, but the ratios of those who had misconceptions were very high. However, most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had partial concept in the item on combustion products of a candle. 이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 19명을 대상으로 물질의 연소시 나타나는 기체의 변화와 반응물과 생성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소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소 검사지는‘연소의 정의’,‘ 집기병으로 덮었을 때촛불이 꺼지는 이유’,‘ 초의 연소 과정에서 집기병 속의 기체 변화’,‘ 초의 연소 생성물’,‘ 철솜의 연소 생성물’, ‘물질의 연소 생성물’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응답을 과학적 개념(S), 부분개념(P), 오개념(M)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과학적 개념과 부분 개념을 가진 영재학생들의 비율은 매우 낮은 반면, 오개념을 가진 영재학생들의 비율은 매우높았다. 그러나 초의 연소 생성물에 대한 문항에서는 초등 영재학생들 중 대부분이 부분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 교재에서 단진자 주기 유도과정의 문제와 해결을 위한 제안
신애경,현동걸,박정우 한국물리학회 2023 새물리 Vol.73 No.1
Simple pendulum is an important material in understanding periodic motions. The common methods for deriving the period of the simple pendulum are presented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and college general physics textbooks. First, the period of the simple harmonic oscillator must be learned, followed by comparing the force equations of the simple pendulum and the simple harmonic oscillator to derive the period of the simple pendulum. However, teachers’ and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se courses caused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this topic. In this study, a method for deriving the period of the simple pendulum without needing to compared with the simple harmonic oscillator was proposed. 단진자는 물리교육에서 주기운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고등학교의 물리 교재와 대학의 일반물리학 교재에서 단진자의 주기를 유도하는 방법은 공통적이다. 이 공통적인 방법은 단진자의 주기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진동자의 주기를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하며, 그리고 단진자와 단진동자의 힘 방정식들을 비교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사들이나 학생들의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은 이에 대한 오개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분방정식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단진동자 주기와 비교 없이 단진자의 주기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타난 언어와 시공간의 고찰
신애경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사무엘 베케트가 바라본 현실은 비논리적이며 비이성적인 것들로 가득 찬 세상이었다. 베케트는 기존의 언어, 시간, 그리고 공간에 대한 해체를 통해 부조리한 세상을 표현한다. 논리에 맞지 않는 대화, 욕설, 그리고 침묵 등과 같은 탈규범적 언어사용은 관객들에게 낯설음을 선사한다. 소리에 불과한 대화와 긴 침묵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단절은 기다림과 망각으로 점철된 멈춰진 시간에 갇혀있다. 정지된 시간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구분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공간의 경계마저 불분명하게 만든다. 파편적 시간의 흐름과 현실과 환상의 모호한 공간의 경계는 도래하는 구원자에 대한 정보수용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희망은 존재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베케트는 이 작품을 통해 어떤 이야기도 직접적으로 전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을 재현하기 위한 도구로서 언어와 시공간을 재배치하여 그것들이 상징하는 바를 숙고하게 만든다. The reality that Samuel Beckett saw was a world filled with illogical and irrational things. Beckett expressed the absurd world through deconstruction of existing language, time and space. Non-normative language use, such as illogical conversations, profanity and silence, is unfamiliar to the audience. The discontinuance of human relations due to conversations that is only sound and long silence is confined to a stopped time marked by wait and oblivion. The paused time makes the boundary of space unclear, as mak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mpossible to be aware. It suggests that hope cannot exist because the fragmentary flow of time and the ambiguous spac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make it impossible to know any information about the coming savior. Beckett does not tell any story directly through this work. However, as a tool for reproducing the purpose he has wanted to convey, he rearranged language, time, and space to contemplate what they symbolize.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after conduct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 making activity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is activity consisted two processes. One i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duct inquiry, understand related science concepts, analyze science textbooks and then make video material. The other is that they watch video materials produced by colleagu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8 weeks. After this activity was completed,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watch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aching-learning, video production, and emotion and attitude toward video material mak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improved their science teaching ability through this activity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his activity. However, they also mentioned several disappointments such as exclusion of learn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lack of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errors in content of materials. This suggests that if these problems are solved, non-face-to-face classes can also be a good form of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활동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탐구를수행하고 관련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교과서를 분석한 후 영상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과 동료들이 제작한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8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이 활동이 종료된 후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분석하였다. 비대면 수업 자료 제작과 시청 과정에서초등 예비교사들은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해 교수-학습, 영상 제작, 정서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활동을 통해 과학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고, 이 활동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의자기 결정권 배제, 다양한 의사소통 통로 부족, 자료내용의 오류 등 아쉬운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비대면 수업도 하나의 좋은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신애경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8
George Bernard Shaw is a writer who put on the stage plays that contain the will of social reforms. Shaw tries to bring about changes in people’s behavior by presenting topics that were forbidden in those days. In particular, he argues for changes in women’s statues and values in social, economic, religious structures. Shaw’s will for reform, which started against the tragic women’s lives of that time, adds depth to the subject matters through the absurdity of capitalism, the corruption of religion, and the social class problems. Furthermore, Shaw’s works, which regard women’s inherent femininity and life force as important values, not only expose the problems faced by women in the patriarchal era, but also suggest the direction women should move forward. He urges women to take prompt and enlightening actions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as independent individuals through accurate awareness of wrong conventions and practices. Vivie Warren in Mrs. Warren’s Profession represents as a model of new women with those characteristics of a modern women. Through her higher education, she learns how to earn money and gains the ability to live in a capitalism, so she can choose and make decisions about her life in a male-dominated society on her own. In fact, the changes for women begins with being grafted universal truths in the existing system onto new values. However, Vivie rejects other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her side, and blames and judges all their lives based on her reason and belief, which showing the limitations of establishing another system.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new women shown by Vivie Warren are investigated through comparative and analysis with other characters. 조지 버나드 쇼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사회개혁 의지를 담은 극을 무대로 올리는 작가이다. 쇼는 당대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소재를 가감 없이 선보이며 사람들의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특히, 그는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종교적 구조에서의 여성의 입지와 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한다. 당대의 비극적인 여성의 삶에 대한 반항심에서 시작한 쇼의 개혁 의지는 자본주의 병폐와 종교의 타락, 그리고 사회 계층 문제로 그 깊이를 더한다. 여성이 갖고 있는 고유한 여성성과 생명력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 쇼의 작품들은 비단 가부장적 시대의 여성에 대한 문제점을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먼저 인습과 관행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자각을 통해 독립적인 개체로서 여성들이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신속하고 계몽적인 행동을 촉구한다. 비비는 바로 이러한 현대 여성의 특성을 가진 신여성의 표본으로 등장한다. 고등 교육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겸비하게 된 그녀는 남성 위주의 사회 속에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결정한다. 사실 여성에 대한 진정한 변화는 기존의 체제 속의 보편적 진리를 인정하며 새로운 가치관의 접목을 통한 균형으로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비비는 자신의 이성과 신념을 바탕으로 그것과 다른 선상의 타인들을 거부하고, 나아가 그들의 삶 자체를 비난하고 판단하면서 그녀만의 또 다른 인습 체제를 구축하는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비비 워렌이 보여주는 신여성의 특성과 한계를 인물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신애경,박상우,채동현,현동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7 No.-
전자석의 자기력은 전자석에 핀이나 클립과 같은 철제 물체가 달라붙거나 또는 전자석과 자석 사이에 일어나는 서로 당기거나 미는 자기현상들을 통하여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힘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초등학교의 과학교육에서는 전자석의 자기력을 정성적으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이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에서 초등학교 교사나 중등학교의 과학교사들의 전자석의 자기력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은 편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들에서 마저 전자석의 자기력의 성질에 대하여 `전자석의 자기력의 세기는 전자석에 감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고, 코일의 단위길이당 감은 수에 비례한다`라고 명시하고 있거나(교육부, 1973; 교육인적자원부, 2002) `에나멜선을 감은 수가 많아지면 전자석의 세기도 세어진다. 그리고 전류가 세어지면 전자석의 세기도 세어진다.`라고 모호하게 명시하고 있다(문교부, 1983, 1990; 교육부,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11)전자석과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대한 이론적인 계산은 자기력이 근거리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전자석과 물체가 거의 접촉한 상태에서 전자석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기학 관련 대학 교재(Sadiku, 2001; Popovic and Popovic, 2000; Hayt and Buck, 2012)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전자석과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대한 이론식은 진공의 투자율(permeability) μ<sub>ο</sub>, 전자석의 철심의 단면적 A, 그리고 전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 B 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F<sub>m</sub>=(1/2μ<sub>ο</sub>)AB<sup>2</sup>형태의 식이다. 이러한 형태의 자기력은 실제 릴레이, 회전기, 전자석 기중기와 같은 전자기계에서 자기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이 자기력을 나타내는 식에는 자기력이 작용하는 물체의 자기적 성질에 대한 정보을 나타내는 물리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전자석의 철심과 자기적 성질이 다른 물체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과학교육에서 자기력의 성질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 전자석 관련 실험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기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기반이 될 수 있는 전자석과 물체, 즉 전자석의 철심과 자기적 성질이 다른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전자기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법칙을 바탕으로 유도였으며, 자기력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자기장과 물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전개하여 초등학교 교사에게나 과학교사들에게 전자기학에 대한 배경지식을 습득하도록 도움이 되게 하였다.
신애경 신영어영문학회 2024 신영어영문학 Vol.87 No.-
Neil Simon is a leading American comedy writer. His works reproduce the various daily lives of American families that are commonly seen around him, and are mainly regretful about a difficult life. The reason why Simon's works are basically based on tragic reality is due to hi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He recalls that his childhood was twisted into pain and ugliness because of his mother and father. Simon has a financially difficult and unhappy childhood because of his father’s absence due to an affair. He warns against imperfect families that lead to a negative view of the present and future due to a painful past. Simon, who believes that the right type of family is the most basic requirement for a happy life, reproduces various forms of absence in his plays and tells the audience that. During these difficult times, the comedy he encountered has a great impact on Simon. Through laughter, he feels the purification of his emotions and experiences the power to look at his difficult situation. Simon chooses laughter to overcome the tragic situation as a way to live in a reality full of sadness and pain. One of Simon's many ways to induce laughter is through the play of language. This paper focuses on it. The purpose is to study about the play of language that Simon uses to induce laughter and the value of laughter that positively changes the lives of the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