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화 생명주기 및 전사적아키텍처(EA) 기반의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연구

        강동석,신신애,정승호,최영진,Kang, Dong-Seok,Shin, Shin-Ae,Jung, Seung-Ho,Choi, Young-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6 No.2

        The purposes of e-Government are to connect government agencies without boundary, and to deliver better quality e-services to citizens. The frontier countries try to reach the e-Government goals using 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GIF). Even though Korea also has interoperability regulations, that is obscure. So we have some limitations to take the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advantag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EU, U.S., U.K., and Australia), and reviews Korea's regulations. After that, we suggest EA based Korean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K-GIF), that is to manage the interoperability from business to information technology over the whole IT life cycle. 전자정부는 기관 및 업무의 경계 없이 정부를 하나로 연결하고, 국민에게 최상의 정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전자정부 선진 국가들은 명확한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수립 및 운영함으로써 전자정부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보화 관련 법제도 내에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사항들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을 뿐, 체계화된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가 부재하여 전자정부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U, 영국, 미국 등 주요 해외국가들과 우리나라 간의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분석하고 정보화 생명주기 전체에 걸쳐 상호운용성을 관리하고 업무에서 정보기술까지를 상호운용성 범위로 포괄하는 EA기반의 한국형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K-GIF)를 제안한다.

      • 미래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성배(Cho, Sung-Bae),신신애(Lee, Hun-Jung),이헌중(Shin, Shin-Ae)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정책은 OECD 공공데이터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얻었으나, 쓸만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기술 및 법제도 환경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기존 데이터 생태계 및 데이터 생애주기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을 제안 한다. 또한, 제안된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최근 이 슈된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 개방 사례를 적 용해보았으며, 산·학·연 전문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 구성요소간 상대적인 중요도가 보완된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개방형 혁신 연구동향 분석 및 정책 방향 모색

        조성배 ( Cho Sung-bae ),신신애 ( Shin Shin-ae ),강동석 ( Kang Dong-seok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3

        2018년 2월,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를 실현하고자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의 핵심은 국민 참여이며, 정부 내부의 역량만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닌 시민, 기업의 아이디어와 역량을 함께 모아 정부가 해결할 수 없는 사회 현안을 해결한다는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매우 유사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이 처음 발표된 2003년부터 2018년 4월까지의 영문 초록 데이터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개방형 혁신 연구 주제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주제간 토픽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의 추진과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방형 혁신에 대한 연구 주제와 주제간 관계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과의 비교를 통해 개방형 혁신 관련 우리나라 정책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February 2018,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Government Innov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people-centered government’. The core of the comprehensive plans is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hich is very similar to open innovation where social issues are solved by ideas and capabilities of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ose of the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tracting open innovation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as English abstract-data from 2003, when the plans for open innovation was first announced, to April 2018. Based on the extracted results, it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omprehensive Plans for Government Innovation.” The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der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nalyzes the present policies of Korea on open innova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 KCI등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위한 SQL/MM 표준 개발

        정동원(Dong-Won Jeong),정혜진(Hye-Jin Jeong),김장원(Jang-Won Kim),전근환(Keun-Hwan Jeon),신신애(Shin-Ae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9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응용 분야를 위한 표준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및 응용을 위한 표준화는 ISO/IEC JTC 1/SC 32/WG 4에서 ISO/IEC 13249 SQL/MM 패키지로서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을 위한 표준으로서 현재 개발 중인 SQL/MM 제8부에 대하여 기술한다. 국제 표준인 ISO/IEC 11179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가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 간 정보 교환 및 공유를 위해 요구되는 표준화 된 질의 처리 방식이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기술하는 SQL/MM 제8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Standards for various multimedia and application field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standardization for the multimedia and applications have been making as ISO/IEC 13249 packages by ISO/IEC JTC 1/SC 32/WG 4. This paper describes SQL/MM part 8, which is currently being standardized for providing consistent access support to metadata registries. Systems for ISO/IEC 11179 - metadata registri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have been realized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is no standardized query processing to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systems, and thus it causes many problems. Therefore, SQL/MM part 8 described in this paper resolves these problems as well as makes users easily understand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