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산만 주변 해역에서 오염인자와 해양환경변동과의 관계

        신소영,이충일,황선출,조규대,Shin, So-Young,Lee, Chung-Il,Hwang, Sun-Chool,Cho, Kyu-Dae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2

        1981년부터 1998년까지 연구해역에서 COD와 DIP의 2월, 4월, 8월, 11월의 월별 분포양상은 비슷하였고, 두 항목 모두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DIN의 경우는 2월, 4월, 8월, 11월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D값은 1990년부터 1992년까지점차 증가하다가 1993년, 1994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마산만의 준설기간 중반부터 준설의 효과가 표층까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DIN과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준설의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COD의 공간적인 변동에서 적조가 빈발하였던 연도가 그렇지 않았던 연도에 비해 높은 COD농도의 분포가 마산만 밖으로 확장되어 있었고, 준설에 의한 COD값의 뚜렷한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DIN농도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마산만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오염이 점차 확장되었다. 마산만의 가장 안쪽 지점이 일정한 경향이 없이 높은 DIN농도를 유지하였으며, 내만 유역에 마산만의 오염원이 집중되어 있고, 마산만 유역에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었다. DIP농도의 공간적인 분포에서도 마산만 준설이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과 COD, DIN, DIP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적조발생일수와 COD 농도 사이에는 0.66의 대체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SCOPUS

        정신질환자 자녀의 정신건강과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신소영 ( Shin Soyoung ),김성재 ( Kim Sungjae ) 한국정신간호학회 2021 정신간호학회지 Vol.30 No.2

        Purpose: To increas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mental health who have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in Korea. Methods: The integrative review method by Whittemore and Knafl was applied. Online databases were searched that focused on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The JBI Critical Appraisal Tools were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selected articles. Results: Fourteen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Majority of the articles addressed about the mental health issues and disadvantages that the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have. Compared to the mental health issues and disadvantages discussed, intervention programs were not much and the sample were not enough to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integrative review hav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in future.

      • KCI등재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과 기본권 제한에 대한 실증연구

        신소영(Shin So young),정제용(Jung Je yong) 한국테러학회 2018 한국테러학회보 Vol.11 No.1

        Although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was enacted to conduct effective counterterrorism activities, it is inevitable that the law is to be revised overall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excessive expans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abuses of human rights. In order to prevent such controversy and to recognize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as the fundamental legal basis for counterterrorism activities, effective counterterrorism investigations should be carried out while infringement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should be limited to the minimum level. Ultimately, the amendment of the law should be aimed at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For the success of policy and legislation, understanding public perception is of vital impor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blic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were examined first, and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anti-terrorism law was suggest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erived from Korea General Social Survey (KGSS) survey in 2006 and 2016. This survey focused on restrictions of fundamental rights such as detention, wiretapping, and police questioning. Using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is survey secured the representative of the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citizens had a negative attitude against wiretapping among the whole fundamental rights restrictions. Also, it was found that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and attitudes toward national security could reduce the resistance to fundamental rights restrictions. Three measures were emphasized to generat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fundamental rights restrictions: (1) complementing the control measures of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2) institutional reform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3) securing trust by executing public policies in a transparent manner. 효과적인 대테러활동을 하고자 테러방지법이 제정되었으나 국가정보원의 과도한 권한 확대 논란 및 인권침해 우려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개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고 테러방지법이 대테러활동을 위한 기본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대테러수사를 하되 동시에 국민의 기본권 침해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제한하여 궁극적으로는 기본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져 한다. 정책 및 입법의 성공을 위해서는 국민인식 파악이 필수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본권 제한에 대한 국민의 인식 및 태도를 먼저 확인한 후 테러방지법의 개정 및 보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구류, 전화 도·감청, 불심검문과 같은 기본권 제한을 중심으로 2006년과 2016년에 조사된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 Korea General Social Survey)자료이며 층화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비확률표집방법에 비해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는 특성이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기본권 제한 항목들 중 전화 도·감청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 및 국가 안보에 대한 태도가 기본권 제한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테러방지법의 기본권 제한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 태도를 가져오고자 테러방지법의 통제 수단 보완, 국가정보원의 제도적 개혁, 국가 기관의 투명한 정책 집행을 통한 신뢰 확보가 선행될 것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사고력과 학습관련 변인들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Shin So young),이승희(Lee Seung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사고력과 학업적 자아효능감 및 학습몰입, 그리고 학습성과 등 학습관련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H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몰입, 학업적 자아효능감, 그리고 창의적사고력 순으로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사고력은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아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아효능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창의적사고력은 학습과 관련한 자아효능감 및 학습몰입, 그리고 학습성과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고려한 학습환경 설계와 학습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creative think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experience to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the students in H-university(medium-sized and local university). We employ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these factor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learning flow experience followed by academic self-efficacy as a second and creative thinking as a third variable. Interestingly, creative thinking turned out to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learning flow exper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indirect effect of creative thinking mediated by learning flow exper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relatively bigger than its direct influence of creative thinking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creative thinking, as an inter-related variable amo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experience, indicates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it implies that it needs to apply upmost educational strategies and environments for developing or stimulating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for academic curriculum.

      • KCI등재

        한국무용과 짐스틱 운동이 여고생의 혈중지질 농도와 뇌신경세포 생성인자 및 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신소영 ( Shin So Young ),장미경 ( Jang Mi Kyoung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6 한국무용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gymstick exercise on the levels of blood lipids, brain-derived neurotropic factor (BDNF), serotonin, and cortisol in female adolescents. Twenty eight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 subjects in traditional Korean dance group (KG) and eight subjects in the gymstick exercise group (GG) participated in 50-minutes, four days/week exercise programs for 12 weeks, respectively. Eight subjects were in the control group (CG).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BDNF, serotonin, and cortisol in all subject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Mean (±SD) age of 24 subjects was 17.64(±27). The level of TC and LDL-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s (p<.05) in the KG and GG compared to the CG. In addition, the levels of BDNF, sero-tonin, and cortis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s (p<.05). In particular, the level of BDNF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05) in the KG compared to the GG and the CG. The level of BDNF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05) in the GG compared to the C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gular exercise program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blood lipids and activating brain cells in female adolescents.

      • KCI등재

        글로벌 역량에 대한 중요도 - 실행도 분석(IPA): H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신소영(Shin, Soyoung),홍유나(Hong, Y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구성 요소들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지방소재 4년제 대학인 H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2,085명)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에 포함된 글로벌 역량에는 영어능력과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 및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분석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나 글로벌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특히,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IPA)에서 학생들의 교육 요구가 높은 요인은 영어능력의 하위요인인 읽기, 듣기, 말하기 능력이 도출되어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해 학생들은 영어능력을 우선적 해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학에서 다양한 영어능력 제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는 것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에 대한 개선이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밖에 지속유지가 필요한 영역에는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이 포함되었다.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에는 영어능력 중 쓰기와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과잉노력 지양영역에 포함된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increasing social demand and interest in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ence. As a result, universities are working on a variety of efforts to enhance the students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glob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in sett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se global competence, this study measur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ith 2,085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Global competence consisted of 8 factors including English proficiency(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cultural flexibility, and global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which means an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erformance in the whole global competence education. Especially, the factor of high demand for students education was the ability of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English ability. In order to improve global competence, students confirmed that English ability is a priority issue. Despite the efforts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in the university, these result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PA also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ultural flexibility should keep up their good work and writing and global activities marked low in priority. There were no possible overkill factors.

      • KCI등재

        학생특성에 따른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분석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지침 제공을 목적으로 C시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교에서 계절학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강의 추천 이유와 좋은 강의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 8일~12일까지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415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좋은 강의 추천이유는 3개의 영역(인지적, 정의적, 행동적)별로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성별, 학년, 단과대학) 및 성적에 따른 분석 결과, 단과대학에 따른 차이가 행동적 영역의 추천이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른 영역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 특성별로 선택비율이 높은 문항이 다르게 나타나 학생 특성에 따라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좋은강의 추천이유의 영역별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항목을 종합한 결과, 지적인 만 족감을 주고, 교수님의 열정을 느낄 수 있으며, 공부하게 만드는 강의가 학생들이 좋은 강의로 추천한 강의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의 좋은 강의 선택 이유에 대해서는 모두 가장 낮은 선택비 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수와 학생의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특정대학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학생특성에 따른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 차이의 후속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ing good teaching which meets college students’ need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f good teaching was conducted targeting 415 H-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C city.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s except behavioral category of students’ major. Even 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 some different perception was founded by students’ characteristic. This impli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In general, the most frequent characteristic of good teaching by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respectively was intellectually satisfying teaching, passionate professor, inducing to study. The perception of professor about the reason of students’ selection of good teaching was different from the reason of students’ own selection of good teaching.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but provided the beginning of th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교수자 특성에 따른 영어교수효능감 차이 분석: 대학의 전공영어강의를 중심으로

        신소영 ( So Young Shin ),강민정 ( Min Jeng Kang ),신윤미 ( Yun Mi Shi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014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support EMI courses by analysing how professors` characteristics influence teaching 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to 82 professors at H University, a medium-sized local university in Korea. The analysis was focused on factors such as instructors`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experiences with English language and teaching.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gender factor and teaching experiences do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in EMI. The length of the professor` stay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shows having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but post-hoc analysis shows teaching experienc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eaching efficacy in EMI. However, teaching experience in EMI plays a role in enhancing teaching efficacy in EMI. Accordingly, the result suggests that a support system should be in place to encourage professors to be more involved in EMI and to raise teaching efficacy in EMI courses.

      • KCI등재

        대학교육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교육만족도 제고방안 탐색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 만족도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방 중소대학인 H대학의 학생 6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구성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교육과정 및 수업, 교육환경, 행정서비스, 학생지도, 학생지원, 대학생활, 학교이미지 등 7개요인, 27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α값이 중요도, 만족도 각각 .93이었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모두 .73이상을 나타냈다. 7개의 요인은 전체분산의 67.72%를 설명 하였다.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7개 영역 27개 문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식에 비해(M=4.45, SD=.41)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M=3.27, SD=.53).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을 통해 집중적으로 개선노력이 필요한 영역으로 학생지원 3개, 교육과정 및 수업 2개, 대학생활 1개, 학생지도 1개, 행정서비스 1개가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항목으로 ‘자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기회제공’, ‘장학금 수혜 기회와 배분의 공정성’, ‘학생들의 요구를 고려한 지원’, ‘다양한 과목개설’, ‘성적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 ‘업무처리 결과의 신뢰성’, ‘취업 및 진로설정’, ‘학생들의 취업 및 진로지도에 대한 열의’가 제시되었다. 이들 결과 및 학생들의 서술형 답변을 중심으로 대학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the survey to analyze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student satisfaction in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646 students in H-university(medium-sized and local university). To develop a questionnaire,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7 factors and 27 questions were presented. They are educational environments, administrative services, support for students, college life, advice for students,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image. The cronbach α of the overall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is questionnaire was .93 respectively, each cronbach α of the factors was over .73. These 7 factors accounted for 67.72% of variances. The results of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every 27 questions,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M=3.27, SD=.53) was lower than that of satisfaction(M=4.45, SD=.41). According to ISA, the items located in “concentrate here” were deduced. They are 3 items from support for students, 2 from curriculum and instruction, 3 from college life, advice for students, administrative services respectively. To put in concretly, They were ‘providing various program for self-improvement’, ‘a fair and abundant scholarship’,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student needs’, ‘offering diverse courses’. ‘a fair and valid evaluation of student achievement’, ‘a reliabi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job placement and career path’, ‘an enthusiasm in guidance for job and career’. Based on these results and descriptive responses from the students, the strategies for student satisfac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글로벌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신소영 ( So Young Shin ),노은미 ( Eun Mi Noh )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013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global competence to enhance global capabilities and efficacy among university graduates in an era of globalization. Twenty-eight questionnaire items of preliminary tool were obtai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global competence. We conducted the first survey to 224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using the preliminary tool and apply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the result.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1,035 students to test goodness of fit,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ve measurement tool factors for global competence tested in this study are English proficiency,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cultural flexibility, and global activities and 27 sub-questions, which explained 65.632% of total variable.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 factors of which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ed in this study,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need to app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further developing and utilizing measurement tools for global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