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사회주택의 개념 정립과 유형화 연구

        신서경,윤영호,권오정,최병숙 한국주거학회 2017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8 No.6

        Housing stability of the disadvantaged exacerbates by economic downturn; furthermore, the lack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service is a major housing policy issue which existing public rental housing bears. To resolve this housing issue the central government begins to consider social housing that could respond to various rental housing demands. As a means of establishing social housing in rental housing market,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mall-scale private enterprises participate in the market with financial supports and tax incentives. Also, the central government makes tenants criteria reasonable to accommodate rental housings for diverse households such as students and newlyweds. This study focuses on such emerging change in rental housing policy and marke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ocial housing in Korea. As a result, the central government plans to support private and non-profit organizations for rental housing supply. Seco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pt of life cycle management blend into tenants criteria which heavily centered on income levels before. Diversifying rental housing suppliers and making reasonable tenants criteria show potential for social housing. Lastly, the market paradigm of rental housing needs to transform from supply-oriented to actively demand-responsive. 개인소득과 경제상황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며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주거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정책이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는 현실에서 임대주택의 양적 공급과 질적 서비스의 향상은 중요한 주택정책과제이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주택이 주택정책의 대안적 방향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며 다양한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중앙정부차원의 주택정책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양질의 임대주택 공급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영리 조직과 개인사업자, 민간기업 등 다양한 민간 임대주택사업자를 임대주택시장에 참여시키기 위한 국가차원의 금융․세제지원 제도를 재정비하고 있다. 또한 최저소득계층뿐만 아니라 차상위계층의 사회초년생, 노인, 신혼부부 등 다양한 임대주택의 수요자를 고려한 다각화된 임대주택 재고와 입주(공급)기준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의 임대주택 정책을 살펴보고 정책적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16년 4월 발표된 맞춤형 주거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한국형 사회주택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존에 공공 중심으로 이루어진 임대주택공급체계를 민간 사업자의 임대주택 공급참여로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임대주택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책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보다 다양한 임대주택 수요자를 포용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특성, 가구별 생애주기 등 을 고려하는 임대주택 입주(공급)기준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임대주택 공급주체의 다양화와 입주(공급)기준 다각화는 한국형 사회주택을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형 사회주택의 정립과 정책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임대주택 시장패러다임을 공급위주에서 수요위주로 바꿔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과 가구의 소득과 주거비용 간에 상관관계를 비롯한 보다 정밀하고 세분화된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 축적 및 분석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Finding the ‘Ideal’ Regimen for Fentanyl-Base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How to Give and What to Mix?

        신서경,유영철,민경태,신양식,주형민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4 Yonsei medical journal Vol.55 No.3

        Purpose: This analysis was done to investigate the optimal regimen for fentanyl-base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by finding a safe and effectivebackground infusion rate and assessing the effect of adding adjuvant drugs to the PCA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Background infusion rate of fentanyl,type of adjuvant analgesic and/or antiemetic that was added to the IV-PCA, and patients that required rescue analgesics and/or antiemetics were retrospectivelyreviewed in 1827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at a single tertiary hospital. Results: Upon multivariate analysis, lower background infusionrates, younger age, and IV-PCA without adjuvant analgesic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rescue analgesic administration. Higher background infusion rates, female gender, and IV-PCA without additional 5HT3 receptor blockers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of rescue antiemetics administration. A background infusion rate of 0.38 μg/kg/hr [area under the curve (AUC) 0.638] or lower required rescue analgesics in general, whereas, addition of adjuvant analgesicsdecreased the rate to 0.37 μg/kg/hr (AUC 0.712) or lower. A background infusionrate of 0.36 μg/kg/hr (AUC 0.638) or higher was found to require rescue antiemeticsin general, whereas, mixing antiemetics with IV-PCA increased the rate to 0.37 μg/kg/hr (AUC 0.651) or higher. Conclusion: Background infusion rates of fentanyl between 0.12 and 0.67 μg/kg/hr may safely be used without any serious side effects for IV-PCA. In order to approach the most reasonable background infusionrate for effective analgesia without increas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dding an adjuvant analgesic and an antiemetic should always be considered.

      • KCI등재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to treat suspected venous air embolism with cardiac arrest during open eye surgery

        신서경,남보경,소사라,구본녀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7 No.5

        We report a case of possible venous air embolism (VAE) during trans pars plana vitrectomy with air-fluid exchange ofthe vitreous cavity. Shortly after initiation of air-fluid exchange, decreases in end-tidal CO2, oxygen saturation, and bloodpressure were observed. The patient rapidly progressed to cardiac arrest unresponsive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and recovered after the application of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rompt termination of air infusionis needed when VAE is suspected during air-fluid exchange, and extracorporeal life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fatal cases. Although the incidence is rare the possibility of VAE during ophthalmic surgery clearly exists, and thereforeawareness and vigilant monitoring seem critical.

      • SCOPUSKCI등재

        외래마취 환아에서 미추차단 시 발생된 방광천자 -증례보고-

        신서경 ( Seo Kyung Shin ),홍정연 ( Jeong Yeon Hong ),이혜영 ( Hye Young Lee ),길혜금 ( Hae Keum Kil ) 대한마취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6 No.3

        Although single-shot caudal blockade is known a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it is not always without complications. We present a case of accidental bladder puncture that was identified with fluoroscopy by chance after single-shot caudal blockade in a 17-months-old, 12 kg boy who underwent inguinal hernioplasty. (Korean J Anesthesiol 2009; 56: 334~6)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영상 사례기반학습 모형 설계 연구

        신서경 ( Suhkyung Shin ),송지수 ( Jisu Song ),최예림 ( Yerim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교수 전문성을 증진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동영상 사례기반학습을 탐색하고, 대학교 예비교사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사례기반학습 수업모형과 구체적인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모형과 설계원리 개발을 위해 설계 개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설계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사례기반학습의 선행 연구분석과 시사점을 고찰한 후 초기 수업모형 및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과 설계원리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내적 타당화와 외적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내적 타당화를 위해 7명의 교수설계 전문가, 4명의 대학 교수자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외적 타당화를 위하여 수업모형과 설계원리를 반영한 교직 수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 반응평가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과정에서 나타난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사례기반 학습 단계별 세부 교수ㆍ학습활동과 수업모형, 교수 설계를 위한 11가지 설계원리와 25가지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동영상 사례기반 수업모형은 Kolb의 학습경험 이론을 적용하여 사례기반학습 준비, 사례관찰 및 분석, 반성적 성찰, 추상적 개념화, 능동적 실천의 5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수업 단계별로 세부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종 개발한 설계원리를 통해서는 과제 및 학습 환경 설계와 사례기반 학습활동 설계로 나누어 수업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동영상 사례기반학습을 적용한 예비교사 교육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instruction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for video case-based learning (CBL)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Video cases appear to capture the complexities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have emerged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initi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internal validity, seven experts and four teacher educators participated in the validation of the initi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through iterative development processes. For external validity, on-sit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CBL activities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developed model and principles. The result is a conceptual model with 11 design principles and 25 specific guidelines that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teacher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CBL in teacher education sett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pre-servic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화학습 기반 플립러닝 수업설계 개념모형 개발

        신서경 ( Suhkyung Shin ),신선애 ( Sunae Shin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에서 개별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학습 경험 지원을 위해 강조되고 있는 개인화 학습의 본질을 탐색하여, 대학교 수업 환경에서 개인화 학습 요소를 기반으로 플립러닝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수업 설계 모형과 구체적인 설계 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개념모형과 설계원리 개발을 위해 설계ㆍ개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업개념모형과 설계원리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주체,’ ‘데이터기반 교수,’ ‘데이터기반 학습’을 주요 요소로 도출하고 초기 수업모형과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초기 수업모형과 설계원리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피드백 반영을 위한 반복 수정과정을 통해 최종 수업모형과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전체모형과 수업 전 과정의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는 수업상세모형, 교수설계를 위한 10가지 설계원리와 23가지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형과 설계원리는 데이터 기반 교수와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학습 전-중-후의 학습환경 설계 관점을 강조하여, 점차 대학교 수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개인화 학습 지원을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개인화학습 기반 플립러닝 수업설계 방안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주요 요소로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에 실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nceptu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for personalized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for more effective design of flipped classrooms. This study emphasizes personalized learning,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promoting individual learning paths and experiences. This study employ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The initial model and design principals, including the main components “student agency,” “data-driven instruction,” and “data-driven learning,”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An expert review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itial model and design principals, which were then finalized through iterative development processes. The result was a conceptual model with 10 design principals and 23 specific guidelines for designing personalized flipped learning. The model and principals developed in this study underscore data-driven instruction and learning in pre-, in-, and after-class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this study’s discussion of how to incorporate the perspective of personalized learning in flipped classrooms is based on not only a theoretical framework but also practical perspectiv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